에스페란토 데 마소리스 Esperanto de Masoris

에스페란토 문법 PMEG

한국어와 에스페란토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 - 박기완 중국 짜오좡대학 교수

마소리스20 2022. 12. 12. 13:53

 

유튜브 링크: https://youtu.be/9BmApvfPPsM

특강-1 | 한국어와 에스페란토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 | Simileco k Malsimileco inter la korea k Esperanto | 박기완 중국 짜오좡대학 교수

먼저 알아 두면 좋은 것

언어 연구의 5분야: 소리(음운론) 단어(형태론) 문장(통어론) 의미(의미론) 어휘(어휘론)

언어의 구성 단위: 형태(소) - 단어 - 구 - 절 - 문장

“동생-이 친구-와 함께 노래-하-는 것-을 들-었-다”

“Mi aŭd-is, ke mi-a frat-o kant-as kun si-a amik-o.”

 

(비슷한 점) 음운(소리)

  • <한 글자 한 소리>의 원칙

에스페란토가 더 철저함

( ekzerci → egzerci   lingvo → li(ng)gvo  e(dz)o ) (?)

한국어에는 여러 가지 음운규칙이 있어 음운의 변화가 있음 (자음접변, 7종성법칙 등)

한국어: 2가지 소리를 가진 글자들: ㄱ ㄷ ㅂ ㅈ ㄹ ㅇ

에스페란토의 모음 발음은 한국인엑게 쉽다 (a e i o u)

 

(비슷한 점) 형태(단어)

  • 첨가어적 구조 (단어의 구조 파악이 쉬움)

에스: 접두어+어근+접미어+어미    (모든 단어는 어근 중심)

한국어: 접두어+어근/어간+접미어+조사/어미    (용언: 어간 중심 / 그 외: 어근 중심)

  • 목적격 조사 (에스: finaĵo ‘-n’)의 존재와 용법

방향, 시간, 거리 등 (서울을 간다 / 한 시간을 기다렸다 / 10킬로미터를 달렸다)

  • 조어법 중 합성법(어근+어근)의 풍성함

surdorse dekstramane unuanime antaŭtagmeze manoĉemane miaopinie antaŭlonga

귓등으로 양손으로 한마음 오전에 오다가다

  • 태(능동, 수동)를 접미사로 나타냄

한국어: 형태적 구성 (보이다 먹히다 안기다 풀리다) / 통어적 구성 (-어 지다)

에스: 통어적 구성 (esti vidata   esti manĝita)

  • 수 읽기의 10진법

 

(비슷한 점) 통어(문장)

  • 가지뻗기 (내포절 관계절 분사구문 등)

한국어: 왼쪽 가지뻗기   (고양이가 잡아먹은 쥐가 먹은 치즈는 상했다.)

에스: 일반적으로 오른쪽 가지뻗기 (Putra estis la formaĝo, kiun manĝis la rato, kiun mortigis la kato.)

(자멘호프 문장에선 왼쪽 가지뻗기도 많이 쓰임, 주로 분사구문)

… kaj atente tralegos la nun proponatan broŝuron ĝis la fino …

  • 문장성분 차례의 유연성 (의문사 관계사 등 제외)

목적격 조사 (에스 finaĵo ‘-n’) 덕분

  • 의문문 만드는 방법

일반의문문: … -까? / Ĉu … ?

특수의문문: 에스페란토에서 의문사 위치를 한국어처럼 해도 됨 (Vi kion manĝis?)

 

(다른 점) 언어의 전반적 특성

  • 한국어: 쌍방향 대화 중심의 언어 (interparola lingvo)

주어 생략 가능 / 존대법 발달

  • 에스: 서술(기술) 중심의 언어 (priskriba lingvo)

주어를 꼭 써야함 / 2인칭 원망문(명령문) 제외

  • 중요한 문법범주

한국어: 형태론(단어)과 음운론(소리)이 중요

에스: 통어론(문장)과 형태론(단어)이 중요

  • 글쓰기 (skribado)

한국어: 모아쓰기 (laŭ-silaba skribado: 1 silabo en 1 kvadrata formo)

에스: 오른쪽으로 이어쓰기 (laŭ-litera skribado en dekstra direkto)

  • 띄어쓰기: 한국어 쓰기에는 띄어쓰기 규정이 있음 (regulo de interspacado en la korea skribado)



(다른 점) 음운(소리)

  • 음소

에스: 단모음5개 (a e i o u), 반모음 2개 (j ŭ, 자음 취급), 복모음 (aj ej ja je aŭ ŭa 등 다수)

한국어: 단모음 10개, 반모음2개, 복모음12개

(단모음 ㅏㅓㅗㅜㅡㅣㅐㅔㅚㅟ ; 글자가 아님)

(기본 모음 글자 10개: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)

(복모음: ㅑㅕㅛㅠㅢㅒㅖㅘㅝㅙㅞ)

청각적 구분: 양성(ㅏㅗㅑㅛ), 음성(ㅓㅜㅕㅠ), 중성(ㅣ, 복모음), 특수(ㅡ)

  • 자음 

한국인이 발음하기 어려운 에스페란토 자음들:

한국어: 2가지 소리를 가진 글자들: ㄱ ㄷ ㅂ ㅈ ㄹ ㅇ

  • 운소

한국어: 장단 (길이) (밤/밤:  눈/눈:  발/발:  줄/줄:)

에스: 악센트(강세) (에스페란토의 악센트는 문법적 기능 없음)

  • 음운 규칙

한국어: 음운규칙 있음: 모음조화, 자음접변, 7종성법칙(ㄱㄴㄷㄹㅁㅂㅇ; 글자가 아님) 등

에스: 특별한 음운규칙이 없음 (예외: ng), 에스페란토에선 항상 끝에서 둘째 음절에 강세가 있음 → 그래서 문법적 기능을 못 함

  • 음절 구조

한국어나 에스페란토 모두 기본적으로 음절구조는 같다: K-V-K

(아 알 앓 가 각 갉 / a al la i-e sa-lo sa-lon lin-gvo(ling-vo) kon-tak-ton eks=ter(ek-ster))

한국어: 폐쇄음절(받침)로 끄타는 단어가 많음 (그러나 실제 발화에서는 연음이 됨)

에스: 원칙적으로 모든 단어가 개방음절로 끝남 (폐쇄음절로 끝날 경우: 목적격, 끝 모음 생략의 경우, 무어미 단어들 중 el en nek sed 등)

 

(다른 점) 형태(단어)

단어의 구성

  • 한국어: 어근, 어간+어미 (사람 / 가다, 예쁘다, 이다)

조사는 체언(명사 대명사 수사)에 붙음 (통어적 구성) (사람-이 친구-가)

어미는 용언(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)의 어간에 붙음 (형태적 구성; 가-다, 예쁘-ㄴ, 이=ㄴ)

(어미의 종류: 선어말어미, 어말어미 (종결어미, 연결어미, 전성어미))

조사는 하나의 단어 / 어미는 단어가 아님, 하나의 형태소 (“나는” ?)

  • 에스: 어근+어미 (hom-o / ir-i / bel-a / bon-e)

보통의 단어에서는 어근만으로는 단어가 되지 못함 (예외: am’ l’ )

(어근만으로 된 본래부사, 전치사, 상관사, 감탄사 등이 있음)

모듬 없이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어근 없음 (그래서 관사 ‘la’는 분해할 수 없음)

자음 없이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단어 없음 (상관사 제외, io ia ie)

  • 품사(parolelemento)

한국어: 9품사 (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 관형사 조사)

에스: 9품사 (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 전치사 접속사)

  • 관사의 유무

한국어: 관사가 없음

에스: 정관사만 있고(la), 부정관사는 없음 (iu/ia를 부정관사처럼 사용함)

  • 형용사와 용언의 관형사형 (용언: 동사, 형용사, 서술격조사)

에스: bela (형용사)

한국어: 아름다운 (형용사 ‘아름답다’의 관형사형)

  • 형용사의 쓰임 

한국어: 관형어(수식어)와 서술어로 쓰임 (어미변화 필요), “아름다운, 아름답다”

에스: 수식어로 쓰임 / <esti + 형용사>가 서술어가 됨, “esti bela” / <beli>도 가능 (동사가 됨)

  • 수를 읽는 법

한국어: 만 단위로 나눔 (만 억 조 경 해…)

에스: 천 단위로 나눔 (mil milion miliardo duiliono…)

  • 인칭대명사

에스페란토의 일반칭 <oni>가 한국어에는 없음

3인칭 재귀대명사 “si, 자기”의 용법이 다름

  • 시제와 시상

한국어: ‘시상’ (시제+상) (현실 완료 추정 회상) / 선어말어미로 나타냄 (선어말어미 = 보조어간)

에스: 시제 (현재 과거 미래) / ‘상’은 분사로 나태남 (접미사 취급)

(분사: 동사가 형용사나 부사, 명사 등으로 쓰이는 것)

  • 동사(용언)의 문법정보

한국어: 태, 존대법, 시상(시제+상), 서법 등 (잡수시었습니다마는)

에스: 태, 상, 시제, 서법  (manĝis manĝanta manĝitis)

  • 서법

한국어: 서술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 … 서술어의 종결어미 변화로 처리, ‘가정법’은 제외

에스: 직설법 원망법(명령법) 가정법 … ‘의문법’은 통어적으로 처리

 

(다른 점) 통어(문장)

  • 문장성분 (frazelemento)

한국어: 7성분 (주어 서술어 보어 목적어 부사어 관용어 독립어)

에스: 8성분 (주어 서술어 보어 목적어 상황어 수식어 접속어 독립어) … 박기완 분류

  • 문장성분 간의 관계

한국어: 조사(후치사, 토씨)로 나타냄 / 격조사, 보조사, 접속조사

에스: 전치사 혹은 목적격 어미(-n)로 나타냄

  • 부정의 표현

에스페란토의 nenio nenie 등 부정의 명사와 부사가 한국어에는 없음

  •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

에스: 문장 앞에 의문부사나 의문사 사용 (통어론적 처리)   Ĉu, Kio …?

한국어: 문장 끝 서술어에 의문의 어미 사용 (형태론적 처리, 서법의 하나) …(습니)까?

  • 내포절과 관계절

한국어: 관계사가 없고, 용연의 관형사ㅏ형 전성어미로 내포절을 만듦. 내포절은 관계되는 말 앞에 (왼쪽에) 옴

에스: 관계사(관계대명사, 관계부사)로써 관계절을 만듦. 관계절은 주로 선행사 뒤에 (오른쪽에) 옴

가지뻗기

에스: 대체적으로 오른쪽 가지뻗기 (관계사가 쓰이기 때문, 관계절)

La fromaĝo, kiun manĝis la rato, kiun mortigis la kato.

한국어: 왼쪽 가지 뻗기 (서술어의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쓰이기 때문, 내포절)

고양이가 잡아먹은 쥐가 먹은 치즈.

  • 문장성분의 일반적 차례

한국어 S-O-V (주어-각종 부사어-목적어-서술어)

((어제) 나는 그 친구화 함께 그 식당에서 국수를 먹었다.)

에스: S-V-O (주어-서술어-목적어-각종 부사어)

((Hieraŭ) Mi manĝis nudelon kun la amiko ĉe la manĝejo.)

의문사의 위치, 종속절의 위치에 주의

  • 접속사

한국어: 학교문법에서 접속사 대신 접속부사 인정, 특별한 문법적 기능이 없음

에스: 접속사가 대등절과 종속절을 만듦

  • 수동태

한국어: 접미사로 처리함, 형태적 구성

(어간 + 수동접미사(이 히 기 리) + 어미)    잡히었다

에스: 접미사로 처리함, 통어적 구성

(esti + 수동접미사(at, it, or)의 형용사형)   estis kaptita

  • 수량 표현의 위치

한국어: 관련된 단어 뒤에 나옴 (책 두 권)

에스: 관련된 단어 앙ㅍ에 나옴 (du libroj)

  • 물음에 대한 대답의 차이

한국어: 물음에 동의하면 ‘네’, 아니면 ‘아니오’

(쌍방향 대화 중심 언어의 영향)

예스: 대답하는 문장이 긍정문이면 ‘Jes’, 부정문이면 ‘Ne’

(서술 중심 언어의 영향)

 

 

한국어와 에스페란토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.docx
0.38MB