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중일 공통한자 800자를 한자 공부도 할겸 자전을 찾아 붙여서 블로그에 올리는 중입니다.
1차 올리기는 1~300번 까지 입니다.
2차 올리기는 301~600번 까지 입니다.
3차 올리기는 601~800번 까지 입니다. 긴 작업이 이제 끝나네요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1 | 一 | 一 | 一 | 一 | 한 일; ⼀-총1획; [yī] 하나, 한 번, 처음, 오로지, 모두 【수사】 하나. |
2 | 乙 | 乙 | 乙 | 乙 | 새 을; ⼄-총1획; [yǐ] 새, 굽다, 십간(十干)의 둘째 【명사】 차례나 등급에서 둘째의 뜻. |
3 | 人 | 人 | 人 | 人 | 사람 인; ⼈-총2획; [rén] 사람, 인간, 백성, 남, 타인 【명사】‘사람’을 예스럽게 한문투로 일컫는 말. ∼의 장막. |
4 | 十 | 十 | 十 | 十 | 열 십; ⼗-총2획; [shí] 열, 열 번, 열 배 【수사】【관형사】열. ∼의 2배는 20이다 ∼ 년의 세월. [속담][십 년 세도(勢道)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] 부귀 영화란 오래 지속하지 못한다. |
5 | 二 | 二 | 二 | 二 | 두 이; ⼆-총2획; [èr] 둘, 두 번, 두 마음 이ː (二·貳) |
6 | 又 | 又 | 又 | 又 | 또 우; ⼜-총2획; [yòu] 또, 다시, 오른손, 오른쪽(右) |
7 | 力 | 力 | 力 | 力 | 힘 력{역}; ⼒-총2획; [lì] 힘, 힘쓰다, 부지런히 일하다, 【접미사】‘능력·힘’ 따위의 뜻. 단결∼ 인내∼ 지도∼. |
8 | 九 | 九 | 九 | 九 | 아홉 구; ⼄-총2획; [jiǔ] 아홉, 아홉 번, 수효의 끝 |
9 | 八 | 八 | 八 | 八 | 여덟 팔; ⼋-총2획; [bā,bá] 여덟, 여덟 번, |
10 | 七 | 七 | 七 | 七 | 일곱 칠; ⼀-총2획; [qī] 일곱, 일곱 번, 문체 이름 |
11 | 入 | 入 | 入 | 入 | 들 입; ⼊-총2획; [rù] 들다, 수입, 사성(四聲)의 하나 |
12 | 刀 | 刀 | 刀 | 刀 | 칼 도; ⼑-총2획; [dāo] 칼, 통화(通貨)의 이름, 작은 배 |
13 | 丁 | 丁 | 丁 | 丁 | 넷째 천간 정; ⼀-총2획; [dīng,zhēng] 넷째 천간(天干), 【명사】 천간(天干)의 넷째. |
14 | 上 | 上 | 上 | 上 | 위 상; ⼀-총3획; [shàng,shǎng,shȧng] 위, 하늘, 임금 【명사】 ‘상감(上監)’의 준말. 품질이나 등급 따위가 가장 빼어남. 이 제품의 품질 등급은 ∼이다. ↔하(下). |
15 | 大 | 大 | 大 | 大 | 큰 대; ⼤-총3획; [dà,dài] 크다, 넓다, 두루 【명사】큼. 큰 것. ∼를 살리기 위해서는 소를 희생하자 |
16 | 子 | 子 | 子 | 子 | 아들 자; ⼦-총3획; [zǐ,zi] 아들, 맏아들, 자식, 어조사 【명사】 아들 또는 자식. 공자(孔子)의 존칭. ∼ 왈(曰). |
17 | 小 | 小 | 小 | 小 | 작을 소; ⼩-총3획; [xiǎo] 작다, 적다, 짧다 【명사】 크기에 따라 세 가지 또는 두 가지로 나눌 때의 가장 작은 것.• 대, 중, ∼. |
18 | 下 | 下 | 下 | 下 | 아래 하; ⼀-총3획; [xià] 아래, 아랫사람, 뒤 【명사】 아래. 밑. 성적이 ∼에서 맴돌다. ↔상. |
19 | 工 | 工 | 工 | 工 | 장인 공; ⼯-총3획; [gōng] 장인, 물건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, 만드는 일 【명사】‘공업’의 준말. |
20 | 三 | 三 | 三 | 三 | 석 삼; ⼀-총3획; [sān] 석, 셋, 세 번, 거듭, 자주 [속담][삼 년 가뭄에는 살아도 석 달 장마에는 못 산다] 가뭄 피해보다 장마 피해가 더 무섭다는 말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21 | 口 | 口 | 口 | 口 | 입 구; ⼝-총3획; [kǒu] 입, 어귀, 드나드는 목의 첫머리 【접미사】 ① 일부 명사 뒤에 붙어, ‘작은 구멍·구멍이 나 있는 곳’을 나타내는 말. 접수∼ 통풍∼ 하수∼. ② 일부 명사 뒤에 붙어, ‘드나드는 곳’을 나타내는 말. 출입∼ 비상∼ 승강∼. |
22 | 己 | 己 | 己 | 己 | 자기 기; ⼰-총3획; [jǐ] 자기, 여섯째 천간, 다스리다 【명사】⦗민⦘ 천간(天干)의 여섯째. |
23 | 女 | 女 | 女 | 女 | 여자 여{녀}; ⼥-총3획; [nǔ,nǜ,rǔ] 여자, 딸, 처녀, 계집, 음양에서는 음(陰), 역(易)에서는 곤(坤), 태(兌), 등에 해당됨 |
24 | 山 | 山 | 山 | 山 | 뫼 산; ⼭-총3획; [shān] 뫼, 산, 산신(山神), 무덤 【명사】① 평지보다 썩 높이 솟아 있는 땅덩이. ∼ 좋고 물 좋은 고장 ∼에 오르다 [속담][산 넘어 산이다] 고생이 갈수록 점점 더 심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[속담][산에 가야 범을 잡는다]모든 일은 그 요소(要所)를 찔러야 한다. |
25 | 已 | 已 | 己 | 已 | 자기 기; ⼰-총3획; [jǐ] 자기, 여섯째 천간, 다스리다 【명사】⦗민⦘ 천간(天干)의 여섯째. |
26 | 及 | 及 | 及 | 及 | 미칠 급; ⼜-총4획; [jí] 미치다, 이르다, 미치게 하다 |
27 | 才 | 才 | 才 | 才 | 재주 재; ⼿-총3획; [cái] 재주, 재능이 있는 사람, 기본 |
28 | 千 | 千 | 千 | 千 | 일천 천; ⼗-총3획; [qiān] 일천, 천 번, 많다 【수사】【관형사】 백의 열 배(의). ∼ 원 [속담][천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] 사람의 속마음을 알기가 매우 어렵다는 말. |
29 | 土 | 土 | 土 | 土 | 흙 토; ⼟-총3획; [tǔ] 흙, 땅, 오행(五行)의 하나 【명사】⦗민⦘ 오행(五行)의 하나《방위로는 중앙, 색(色)으로는 황색을 가리킴》. |
30 | 士 | 士 | 士 | 士 | 선비 사; ⼠-총3획; [shì] 선비, 일을 하다, 【명사】 ① 선비.② 장기에서, 궁밭 안에서 궁을 호위하는 두 개의 말. |
31 | 久 | 久 | 久 | 久 | 오랠 구; ⼃-총3획; [jiǔ]오래다, 변하지 아니하다 |
32 | 凡 | 凡 | 凡 | 凡 | 무릇 범; ⼏-총3획; [fán] 무릇, 모두, 다, 합계 |
33 | 亡 | 亡 | 亡 | 亡 | 망할 망; ⼇-총3획; [wáng,wú] 망하다, 달아나다, 죽다 |
34 | 寸 | 寸 | 寸 | 寸 | 마디 촌; ⼨-총3획; [cùn] 마디, 손가락 하나의 굵기의 폭, 【의존명사】 친족 관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어 세는 말. 자네와는 몇 ∼ 사이인가. 〔주의〕 직계 혈족에 관해서는 촌수로 대칭(代稱)하지 않는 것이 관습임. |
35 | 川 | 川 | 川 | 川 | 내 천; ⼮-총3획; [chuān] 내, 물귀신 【접미사】 어떤 말 뒤에 붙어, ‘내’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. 청계∼. |
36 | 弓 | 弓 | 弓 | 弓 | 활 궁; ⼸-총3획; [gōng] 활, 궁술, 활을 쏘는 법이나 기술, 길이의 단위 【명사】활. |
37 | 夕 | 夕 | 夕 | 夕 | 저녁 석; ⼣-총3획; [xī] 저녁, 밤, 쏠리다 |
38 | 不 | 不 | 不 | 不 | 아닐 불; ⼀-총4획; [bù] 아니다, 말라(금지의 뜻), |
39 | 中 | 中 | 中 | 中 | 가운데 중; ⼁-총4획; [zhōng,zhòng] 가운데, 마음 【명사】 ① 가치·등급·순위·정도 등이 중간 정도임. 성적이 ∼에 든다. ② 현재 진행되고 있음. 무엇을 하는 동안《‘―는 중’·‘―던 중’의 꼴로도 씀》. 회의 ∼ 작업 ∼ |
40 | 天 | 天 | 天 | 天 | 하늘 천; ⼤-총4획; [tiān] 하늘, 천체, 천체의 운행, 태양 【명사】 하늘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1 | 太 | 太 | 太 | 太 | 클 태; ⼤-총4획; [tài] 크다, 심히, 매우, 통하다 |
42 | 日 | 日 | 日 | 日 | 해 일; ⽇-총4획; [rì] 해, 태양, 햇볕, 햇살, 햇빛, 햇발 【명사】 ① ‘일요일’의 준말.② 날. 하루. 1∼ 2회 복용. |
43 | 方 | 方 | 方 | 方 | 모 방; ⽅-총4획; [fāng] 모, 각(角), 사방(四方), 방위, |
44 | 分 | 分 | 分 | 分 | 나눌 분; ⼑-총4획; [fēn,fèn] 나누다, 구별하다 |
45 | 五 | 五 | 五 | 五 | 다섯 오; ⼆-총4획; [wǔ] 다섯, 별 이름, 제위(帝位) |
46 | 心 | 心 | 心 | 心 | 마음 심; ⼼-총4획; [xīn] 마음, 심장, 가슴 【명사】 ① 죽에 곡식 가루를 잘게 뭉쳐 넣은 덩이《팥죽의 새알심 따위》.② 종기 구멍에 약을 발라 찔러 넣은 헝겊이나 종잇조각.③ 나무의 고갱이.④ 무 따위의 뿌리 속에 섞인 질긴 줄기. |
47 | 水 | 水 | 水 | 水 | 물 수; ⽔-총4획; [shuǐ] 물, 물의 범람, 홍수, 오행(五行)의 하나 【명사】 ① ⦗민⦘ 오행(五行)의 하나. 방위는 북쪽, 계절로는 겨울, 빛깔로는 검정을 가리킴. ‘수요일’의 준말. |
48 | 月 | 月 | 月 | 月 | 달 월; ⽉-총4획; [yuè] 달, 달빛, 나달, 광음(光陰) 【명사】① 한 달.∼ 평균 기온.② ‘월요일’의 준말. |
49 | 化 | 化 | 化 | 化 | 될 화; ⼔-총4획; [huà,huā] 되다, 모양이 바뀌다 【명사】천지자연이 만물을 생육(生育)하는 작용. |
50 | 比 | 比 | 比 | 比 | 견줄 비; ⽐-총4획; [bǐ,bì] 견주다, 본뜨다, 모방하다 【명사】⦗수⦘ 어떤 두 개의 수나 양을 서로 비교해 몇 배인가를 보이는 관계. |
51 | 公 | 公 | 公 | 公 | 공변될 공; ⼋-총4획; [gōng] 공변되다, 숨김없이 드러내 놓다, 공적, 공적(公的)인 것 【명사】 ① 여러 사람에게 관계되는 국가나 사회의 일. ∼과 사를 구분하다. 사(私). ② ‘공작(公爵)’의 준말. 【인칭대명사】 ① 당신. 그대.② 남자 삼인칭의 공대말. |
52 | 內 | 内 | 内 | 內 | 안 내; ⼊-총4획; [nèi] 안, 들다, 들이다, 어머니 【의존명사】시간·공간 등의 일정한 범위의 안. 이 달 ∼에 제출해라 기한 ∼에 끝마치다 |
53 | 今 | 今 | 今 | 今 | 영 령{영}; ⼈-총5획; [lìng,lǐng] 영, 우두머리, 좋다 【접미사】‘법령·명령’의 뜻. 금지∼ 총동원∼ 시행∼. |
54 | 手 | 手 | 手 | 手 | 손 수; ⼿-총4획; [shǒu] 손, 사람, 힘, 【명사】바둑·장기 등을 두는 기술.• 멋진 ∼ ∼를 읽다 【의존명사】바둑·장기 등을 번갈아 두는 횟수를 세는 말. |
55 | 六 | 六 | 六 | 六 | 여섯 육{륙}; ⼋-총4획; [liù,lù] 여섯, 여섯 번, 죽이다 |
56 | 反 | 反 | 反 | 反 | 되돌릴 반; ⼜-총4획; [fǎn] 되돌리다, 뒤집다, 뒤엎다 【명사】⦗철⦘ 변증법의 논리 전개의 세 단계 가운데, 부정을 뜻하는 단계. 반정립. ↔정(正). |
57 | 少 | 少 | 少 | 少 | 작을 소; ⼩-총3획; [xiǎo] 작다, 적다, 짧다 【명사】 크기에 따라 세 가지 또는 두 가지로 나눌 때의 가장 작은 것. 대, 중, ∼. |
58 | 文 | 文 | 文 | 文 | 글월 문; ⽂-총4획; [wén] 무늬, 채색, 얼룩 【명사】 ① 문자. 글.② ⦗언⦘ 문장.③ 학문·문화·예술 등을 무(武)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. ∼은 무(武)보다 강하다. 무(武). |
59 | 夫 | 夫 | 夫 | 夫 | 지아비 부; ⼤-총4획; [fū] 지아비, 사나이, 장정 【명사】 인 관계에 있는 남자. 남편. |
60 | 火 | 火 | 火 | 火 | 불 화; ⽕-총4획; [huǒ] 불, 오행(五行)의 하나, 타다 【명사】 화요일’의 준말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1 | 元 | 元 | 元 | 元 | 으뜸 원; ⼉-총4획; [yuán] 으뜸, 근본, 연호(年號)원― (元·原) 【접두사】‘본디·시초’의 뜻. ∼주인 ∼작자┈┈• |
62 | 毛 | 毛 | 毛 | 毛 | 털 모; ⽑-총4획; [máo] 털, 사람․동물의 살갗이나 식물의 줄기․잎․열매 등에 난 털, 모(毛) 섬유 |
63 | 王 | 王 | 王 | 王 | 임금 왕; ⽟-총4획; [wáng,wàng] 임금, 제후, 제실(帝室)의 남자 【명사】 ① ⦗역⦘ 군주. 임금. ∼을 옹립하다. |
64 | 友 | 友 | 友 | 友 | 벗 우; ⼜-총4획; [yǒu] 벗, 벗하다, 우애 있다 |
65 | 支 | 支 | 支 | 支 | 가를 지; ⽀-총4획; [zhī] 가르다, 가지, 지탱하다 |
66 | 片 | 片 | 片 | 片 | 조각 편; ⽚-총4획; [piàn,piān] 한쪽, 조각, 납작한 조각, 납작한 조각을 이루는 것을 세는 말 【명사】 작은 조각의 물건. |
67 | 木 | 木 | 木 | 木 | 나무 목; ⽊-총4획; [mù] 나무, 오행(五行)의 첫째, 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기구 【명사】 오행(五行)의 하나《방위로는 동쪽, 계절로는 봄, 색으로는 청(靑)이 됨》. |
68 | 引 | 引 | 引 | 引 | 끌 인; ⼸-총4획; [yǐn] 끌다, 끌어당기다, 활을 쏘다, 물러나다, 물리치다 |
69 | 止 | 止 | 止 | 止 | 발 지; ⽌-총4획; [zhǐ] 발, 멎다, 멈추다, 머무르다 |
70 | 父 | 父 | 父 | 父 | 아비 부; ⽗-총4획; [fù,fǔ] 아비, 아버지, 만물을 나게 하여 기르는 것, 친족의 부로(父老)를 일컬음, 【명사】 아버지. |
71 | 尺 | 尺 | 尺 | 尺 | 자 척; ⼫-총4획; [chǐ,chě,chè] 자, 법, 법도, 길이 【의존명사】자. ∼ 대어(大魚). |
72 | 午 | 午 | 午 | 午 | 일곱째 지지 오; ⼗-총4획; [wǔ] 일곱째 지지, 교착(交錯)하다, 거스르다, 거역하다 【명사】 지지(地支)의 일곱째. ‘오시(午時)’의 준말. |
73 | 牛 | 牛 | 牛 | 牛 | 소 우; ⽜-총4획; [niú] 소, 무릅쓰다, 별 이름, 견우성 |
74 | 戶 | 户 | 戸 | 戶 | 지게 호; ⼾-총4획; [hù] 지게, 지게 문, 외짝 문) 【명사】호적상(戶籍上)의 집. 【의존명사】집의 수를 세는 단위. 50 ∼가량 되는 마을. |
75 | 氏 | 氏 | 氏 | 氏 | 각시 씨; ⽒-총4획; [shì,zhī] 각시, 옛날에 부인은 이름이 없고 성(姓)에 이 자를 붙여 이름을 대신함, 【명사】 같은 성(姓)의 계통을 표시하는 말. 【의존명사】 성명 또는 이름 뒤에 붙여 존대하는 뜻을 나타내는 호칭어. 신일연 ∼ 영숙 ∼. 【인칭대명사】 이름 대신 높여 일컫는 말. ∼는 당대 문단의 제일인자이었다. |
76 | 井 | 井 | 井 | 井 | 우물 정; ⼆-총4획; [jǐng] 우물, 정자형(井字形), |
77 | 丹 | 丹 | 丹 | 丹 | 붉을 난{원음(原音);단,란}; ⼂-총4획; [dān] 붉다, 붉게 칠하다, 단사(丹砂) |
78 | 仁 | 仁 | 仁 | 仁 | 어질 인; ⼈-총4획; [rén] 어질다, 자애, 만물을 낳다 【명사】 공자가 주장한 유교의 정치상·윤리상의 이상(理想). 극기복례(克己復禮)를 내용으로 하는 윤리적 모든 덕(德)의 기초가 되는 심적 상태. 남을 사랑하고 어질게 행동하는 일《어짊·착함·박애》. |
79 | 凶 | 凶 | 凶 | 凶 | 흉할 흉; ⼐-총4획; [xiōng] 흉하다, 재앙, 재난, |
80 | 匹 | 匹 | 匹 | 匹 | 필 필; ⼖-총4획; [pǐ] 필(疋), 짝, 맞서다 【의존명사】 마소를 세는 단위. 말 두 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81 | 犬 | 犬 | 犬 | 犬 | 개 견; ⽝-총4획; [quǎn] 개, 하찮은 것의 비유 |
82 | 他 | 他 | 他 | 他 | 다를 타; ⼈-총5획; [tā] 다른, 그, 저, 그이, 저이, 누구 【명사】 다른 사람. ∼의 추종을 불허하다. 【관형사】 ‘다른’·‘딴’의 뜻. ∼ 회사 ∼ 지역. |
83 | 以 | 以 | 以 | 以 | 써 이; ⼈-총5획; [yǐ] 써, -로써, 부터, -에서, 까닭 |
84 | 可 | 可 | 可 | 可 | 옳을 가; ⼝-총5획; [kě,kè] 옳다, 가히, 쯤, 정도 【명사】【~하다 → 형용사】① 옳거나 좋음. 이 사람 말도 ∼요 저 사람 말도 ∼요 한다. ② 어떤 행위가 허용되거나 가능함. 연소자 관람 ∼분할 상환 ∼함. ③ 찬성하는 의사의 표시. ∼가 부(否)보다 많다. ↔부(否). ④ 성적을 매기는 등급의 하나《‘수·우·미·양·가’ 다섯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》. |
85 | 生 | 生 | 生 | 生 | 날 생; ⽣-총5획; [shēng] 나다, 태어나다 【명사】 ① 생명.∼을 받다 ∼을 누리다. ② 삶. ∼과 사(死) ∼에 대한 회의 ∼을 마감하다. ↔사(死). |
86 | 出 | 出 | 出 | 出 | 날 출; ⼐-총5획; [chū] 나다, 나타나다, 나가다, 내다 |
87 | 主 | 主 | 主 | 主 | 주인 주; ⼂-총5획; [zhǔ] 주인, 임금, 공경대부 【명사】 ① 주요하거나 기본이 되는 것. ∼가 되는 요지 ② ⦗기⦘ 만백성의 주인이라는 뜻으로, 하나님 또는 예수를 이르는 말. 【관형사】 주요한. 일차적인. ∼ 무기 ∼ 관심 사항. |
88 | 用 | 用 | 用 | 用 | 쓸 용; ⽤-총5획; [yòng] 쓰다, 베풀다, 부리다, 【접미사】‘쓰임’의 뜻. 자가∼ 아동∼ 사무∼ 업무∼. |
89 | 去 | 去 | 去 | 去 | 갈 거; ⼛-총5획; [qù] 가다, 떠나다, 잃다, 잃어버리다 |
90 | 民 | 民 | 民 | 民 | 백성 민; ⽒-총5획; [mín] 백성, 역(易)에서의 곤(坤) 【인칭대명사】⦗역⦘ 자기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곳에 사는 백성이 그 고을 원에게 자기를 일컫던 말. |
91 | 本 | 本 | 本 | 本 | 밑 본; ⽊-총5획; [běn] 밑, 뿌리, 기초, 근본, 기원 【명사】 ① 본보기가 될 만한 올바른 방법. ∼을 따르다 ② ‘본보기’의 준말. ∼을 보이다. ③ 관향(貫鄕). 그와는 ∼이 다르다 ∼이 어디십니까. |
92 | 外 | 外 | 外 | 外 | 밖 외; ⼣-총5획; [wài] 밖, 바깥, 이전, 【의존명사】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남을 나타내는 말. 그 ∼에도 할 일이 많다. |
93 | 加 | 加 | 加 | 加 | 더할 가; ⼒-총5획; [jiā] 더하다, 있다,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⦗수⦘ ‘더하기’의 구용어. 원금에 이자를 ∼하다. ↔감(減). |
94 | 四 | 四 | 四 | 四 | 넉 사; ⼞-총5획; [sì] 넉, 넷, 네, 네 번, 사방(四方) 【수사】【관형사】넷. 넷째. ∼ 년 ∼ 권 ∼ 등 ∼ 미터. |
95 | 正 | 正 | 正 | 正 | 바를 정; ⽌-총5획; [zhèng,zhēng] 바르다, 바로잡다 【명사】 ① 옳은 길. 올바른 일. ↔사(邪). |
96 | 由 | 由 | 由 | 由 | 말미암을 유; ⽥-총5획; [yóu] 말미암다, 인연하다 |
97 | 平 | 平 | 平 | 平 | 평평할 평; ⼲-총5획; [píng] 평평하다, 다스리다 |
98 | 代 | 代 | 代 | 代 | 대신할 대; ⼈-총5획; [dài] 대신하다, 번갈아, 시대 【명사】 ① 한 집안에서 이어 내려오는 혈통과 계보. ∼를 잇다 ∼가 끊기다. ② 임금의 치세. 세종 ∼. 【의존명사】① 사람의 나이를 십 년 단위로 끊어 나타내는 말. 십 ∼ 소녀 70∼ 노인. |
99 | 白 | 白 | 白 | 白 | 흰 백; ⽩-총5획; [bái] 흰 빛, 희다, 날이 새다 【명사】 ① ‘백색’의 준말. 흑과 ∼의 조화. ↔흑(黑). |
100 | 立 | 立 | 立 | 立 | 설 립{입}; ⽴-총5획; [lì] 서다, 확고히 서다, 정해지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101 | 打 | 打 | 打 | 打 | 칠 타; ⼿-총5획; [dǎ,dá] 치다, 때리다, 공격하다 【의존명사】 ① 물건 12개를 한 단위로 세는 말. 다스. 연필 5∼.② 골프 따위에서, 공을 친 횟수를 세는 말. 한 ∼ 차이로 우승을 놓치다. |
102 | 北 | 北 | 北 | 北 | 북녘 북; ⼔-총5획; [běi,bó,bèi] 북녘, 북쪽으로 가다, |
103 | 世 | 世 | 世 | 世 | 대 세; ⼀-총5획; [shì] 대(代), 세상, 때 【접미사】 ① ‘세상’의 뜻. 인간∼. ② 서양에서, 부자(父子)가 같은 이름을 계속 쓰거나 한 왕조에서 같은 왕호를 대를 이어 사용할 때 그 차례를 나타내는 말. 나폴레옹 3∼ 헨리 8∼ 록펠러 2∼. |
104 | 必 | 必 | 必 | 必 | 반드시 필; ⼼-총5획; [bì] 반드시, 틀림없이, 꼭, |
105 | 目 | 目 | 目 | 目 | 눈 목; ⽬-총5획; [mù] 눈, 눈알, 안구, 보다, 눈여겨보다, 주의하여 보다, 응시하다, 눈짓하다, 부릅뜨다 【명사】 ① 예산 편제상의 단위《항(項)과 절(節)의 사이》. ② ⦗생⦘ 생물 분류학상의 단위《강(綱)과 과(科)의 사이》. 나비∼. |
106 | 市 | 市 | 市 | 市 | 저자 시; ⼱-총5획; [shì] 저자,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, |
107 | 且 | 且 | 且 | 且 | 또 차; ⼀-총5획; [qiě,jū] 또, 잠깐, 장차 |
108 | 布 | 布 | 布 | 布 | 베 포; ⼱-총5획; [bù] 베, 돈, 화폐, 펴다, 넓게 깔다 |
109 | 石 | 石 | 石 | 石 | 돌 석; ⽯-총5획; [shí,dàn] 돌, 돌로 만든 악기, 비석 【의존명사】섬¹. 공양미 300 ∼. |
110 | 母 | 母 | 母 | 母 | 어미 모; ⽏-총5획; [mǔ] 어미, 할미, 암컷 【명사】어머니. |
111 | 未 | 未 | 未 | 未 | 아닐 미未 아닐 미; ⽊-총5획; [wèi] 아니다, 아직 -하지 못하다, 아직 그러하지 아니하다, 미래, 장래, 오후 1-3시 【명사】 지지(地支)의 여덟째. 양을 상징함. |
112 | 半 | 半 | 半 | 半 | 반 반; ⼗-총5획; [bàn] 반, 한창, 절정, 조각 【명사】 ① 둘로 똑같이 나눈 것의 한 부분. 연필 ∼ 다스 ② 일이나 사물의 중간. 시작이 ∼이다 ③ 일부 명사 앞에 붙어, ‘거의 비슷한’·‘절반 정도의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바지 ∼죽음 ∼평생 ∼달. |
113 | 示 | 示 | 示 | 示 | 示 보일 시; ⽰-총5획; [shì] 보이다, 가르치다, 알리다 |
114 | 古 | 古 | 古 | 古 | 옛 고; ⼝-총5획; [gǔ] 옛, 예, 오래다, 예스럽다 【접두사】‘오랜’·‘오래된’의 뜻. ∼서적 ∼시조. |
115 | 史 | 史 | 史 | 史 | 역사 사; ⼝-총5획; [shǐ] 역사, 기록된 문서, 사관(史官), 문필에 종사하는 사람 【접미사】‘역사’의 뜻. 동양∼ 국문학∼. |
116 | 失 | 失 | 失 | 失 | 잃을 실; ⼤-총5획; [shī] 잃다, 잘못, 지나침 【명사】 ① 노름판에서 잃은 돈.② 손실. 잃음. 득과 ∼ 득보다 ∼이 많다. |
117 | 功 | 功 | 功 | 功 | 공 공; ⼒-총5획; [gōng] 공, 공로, 공치사하다, 공을 자랑하다, 일, 직무 【명사】 ① ‘공로’의 준말. ∼을 다투다 ∼이 크다 혁혁한 ∼을 세우다. ② ‘공력(功力)’의 준말. ∼이 들다 ∼을 들이다. ♣ 공(을) 닦다 【관용구】 노력과 정성을 들이다. |
118 | 田 | 田 | 田 | 田 | 밭 전; ⽥-총5획; [tián] 밭, 경지 구획의 이름, 심다 |
119 | 皮 | 皮 | 皮 | 皮 | 가죽 피; ⽪-총5획; [pí] 가죽, 껍질, 겉, 거죽 |
120 | 令 | 令 | 令 | 令 | 영 령{영}; ⼈-총5획; [lìng,lǐng] 영, 우두머리, 좋다 【접미사】 ‘법령·명령’의 뜻. 금지∼ 총동원∼ 시행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121 | 左 | 左 | 左 | 左 | 왼 좌; ⼯-총5획; [zuǒ] 왼, 왼쪽으로 하다, 그르다 【명사】‘왼쪽’의 뜻. ∼로 돌다. ↔우(右). |
122 | 句 | 句 | 句 | 句 | 글귀 구; ⼝-총5획; [jù,gōu] 글귀, 문장이 끊어지는 곳, 굽다 【명사】 ① ⦗언⦘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절이나 문장의 일부분이 되는 말.② ⦗문⦘ 시조·시구의 짧은 토막. |
123 | 右 | 右 | 右 | 右 | 오른쪽 우; ⼝-총5획; [yòu] 오른쪽, 숭상하다, 오른쪽에 적은 글이나 내용 【명사】 ① 오른쪽. ∼로 향하다.② ⦗정⦘ 우익. ∼도 좌(左)도 아니다. ↔좌(左). |
124 | 玉 | 玉 | 玉 | 玉 | 옥 옥; ⽟-총5획; [yù] 옥, 사물을 칭찬하거나 귀히 여김을 나타내기 위한 미칭(美稱), 옥같이 여기다, 【명사】 ① 구슬. 보석. ∼같이 고운 손. ② 경옥(硬玉)·연옥(軟玉)·백옥·비취·황옥(黃玉) 따위의 총칭. [속담][옥도 갈아야 빛이 난다] 소질이 좋아도 닦고 기르지 않으면 훌륭한 것이 될 수 없다는 말. [속담][옥에도 티가 있다]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나 좋은 물건일지라도 조그만 흠은 있다. |
125 | 冬 | 冬 | 冬 | 冬 | 겨울 동; ⼎-총5획; [dōng] 겨울, 동면하다 |
126 | 兄 | 兄 | 兄 | 兄 | 맏 형; ⼉-총5획; [xiōng] 맏이, 형, 【명사】 동기(同氣)나 같은 항렬(行列)에서 나이가 많은 사람. [속담][형만 한 아우 없다] 무슨 일을 하든 아우가 형만 못하다는 말. 【인칭대명사】 친구 사이에서 상대방의 존칭. 김 ∼ |
127 | 永 | 永 | 永 | 永 | 길 영; ⽔-총5획; [yǒng] 길다, 오래다, 오래도록, 길게 하다, 오래되게 하다, 멀다, 멀리, 공간적으로 길다 【부사】‘영영(永永)’의 준말. ∼ 소식이 없다 ∼ 떠나 버렸다. |
128 | 甲 | 甲 | 甲 | 甲 | 첫째 천간 갑; ⽥-총5획; [jiǎ] 첫째 거북의 등딱지 【명사】 ① 차례나 등급의 첫째. ② 둘 이상의 사물 가운데 그 하나의 이름을 대신해 쓰는 말. 이하 피고를 ∼, 원고를 을이라 칭한다. ③ 천간(天干)의 첫째. |
129 | 末 | 末 | 末 | 末 | 끝 말; ⽊-총5획; [mò,mė] 끝, 나무 끝, 서 있는 물건의 꼭대기, 지엽(枝葉), 중요하지 아니한 부분, 신하, 백성 【의존명사】어떤 기간의 끝이나 끝 무렵. 학년 ∼ 고려 ∼ |
130 | 瓦 | 瓦 | 瓦 | 瓦 | 기와 와; ⽡-총5획; [wǎ,wà] 기와, 질그릇, 실패, |
131 | 巨 | 巨 | 巨 | 巨 | 클 거; ⼯-총5획; [jù] 크다, 많다, 거칠다 |
132 | 幼 | 幼 | 幼 | 幼 | 어릴 유; ⼳-총5획; [yòu] 어리다, 어린아이, 사랑하다 |
133 | 甘 | 甘 | 甘 | 甘 | 달 감; ⽢-총5획; [gān] 달다, 맛이 있다, 상쾌하다, 달게 여기다, 즐기며 지칠 줄을 모르다, 맛의 중심이 되는 것 |
134 | 仙 | 仙 | 仙 | 仙 | 신선 선; ⼈-총5획; [xiān] 신선, 고상한 사람, 도교(道敎)의 딴 이름 |
135 | 申 | 申 | 申 | 申 | 아홉째 지지 신; ⽥-총5획; [shēn] 아홉째지지(원숭이), 방향으로는 서남서, 시각으로는 오후 4시 |
136 | 冊 | 册 | 冊 | 冊 | 책 책; ⼌-총5획; [cè] 책, 칙서, 꾀, 권 |
137 | 丙 | 丙 | 丙 | 丙 | 남녘 병; ⼀-총5획; [bǐng] 남녘, 십간(十干)의 셋째, |
138 | 在 | 在 | 在 | 在 | 있을 재; ⼟-총6획; [zài] 있다, 보다, 살피다 【명사】 물건이나 돈 따위의 쓰고 남은 나머지. |
139 | 有 | 有 | 有 | 有 | 있을 유; ⽉-총6획; [yǒu,yòu] 있다, 존재하다, 많다, 넉넉하다, 자재(資財), 소유물(所有物) ↔무(無). ↔공(空). 【명사】 ① 있거나 존재함. 무(無)에서 ∼를 창조하다. |
140 | 地 | 地 | 地 | 地 | 땅 지; ⼟-총6획; [dì,dė,di] 땅, 토지의 신, 처지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141 | 全 | 全 | 全 | 全 | 온전할 전; ⼊-총6획; [quán] 온전하다, 온전하게 하다 【관형사】(한자어 명사 앞에 쓰여) ‘모든’·‘전체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 국민 ∼ 인류 ∼ 장병. |
142 | 年 | 年 | 年 | 年 | 해 년; ⼲-총6획; [nián] 해, 365일, 나이, 연령, 새해, 【의존명사】 (주로 한자어 뒤에 쓰여) ‘해’를 세는 단위. 오십 ∼ 그와 헤어진 지 삼 ∼이 되었다. |
143 | 多 | 多 | 多 | 多 | 많을 다; ⼣-총6획; [duō] 많다, 넓다, 도량이 넓다 【접두사】 명사 앞에 붙어, 많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목적 ∼방면 ∼용도. |
144 | 自 | 自 | 自 | 自 | 스스로 자; ⾃-총6획; [zì] 스스로, 몸소, 자기, 자연히 |
145 | 好 | 好 | 好 | 好 | 좋을 호; ⼥-총6획; [hǎo,hào] 좋다, 옳다, 마땅하다 【접두사】 일부 명사 앞에 붙어, ‘좋은’의 뜻을 나타냄. ∼경기 ∼시절. |
146 | 行 | 行 | 行 | 行 | 갈 행; ⾏-총6획; [xíng,háng] 가다, 걷다, 나아가다, 달아나다, 돌아다니다, 겪다, 흐르다, 움직이다, 보내다 |
147 | 同 | 同 | 同 | 同 | 한가지 동; ⼝-총6획; [tóng,tòng] 한가지, 서로 같게 하다, 같게, 함께, 다같이 【관형사】 명사 앞에 붙어, ‘같은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2006년 3월 1일부터∼12월 30일까지 |
148 | 成 | 成 | 成 | 成 | 이룰 성; ⼽-총7획; [chéng] 이루다, 이루어지다 【접미사】 은이나 황금의 순도(純度)를 나타내는 말《십 등분하여 십성(十成)이면 순은이나 순금임》. |
149 | 如 | 如 | 如 | 如 | 같을 여; ⼥-총6획; [rú] 같다, 같게 하다, 따르다 |
150 | 老 | 老 | 老 | 老 | 늙은이 노{로}; ⽼-총6획; [lǎo] 늙은이, 늙다, 쇠하다 【접두사】‘늙은’·‘나이가 많은’의 뜻. ∼총각 ∼부부. |
151 | 因 | 因 | 因 | 因 | 인할 인; ⼞-총6획; [yīn] 인하다, 인(因), 유래, 연유 【명사】 ① 원인을 이루는 근본 동기. ② ⦗불⦘ 인명(因明)에서 논증의 근거가 되며 논증을 성립시키는 이유. ↔과(果). |
152 | 向 | 向 | 向 | 向 | 향할 향; ⼝-총6획; [xiàng] 향하다, 구(救)하다, 창 【명사】 묏자리·집터 따위의 앞쪽 방향. ↔좌(坐). |
153 | 合 | 合 | 合 | 合 | 합할 합; ⼝-총6획; [hé,gě] 합하다, 맞다 【명사】 ① ⦗수⦘ 여럿을 한데 모은 수. 둘 이상의 수를 합해서 얻은 수치.② 헤겔의 변증법에서 논리 전개의 세 단계의 하나. 종합. |
154 | 各 | 各 | 各 | 各 | 각각 각; ⼝-총6획; [gè,gě] 각각, 각기, 여러, 서로 【관형사】각각의. 낱낱의. ∼ 학교 ∼ 가정 ∼ 지방. |
155 | 百 | 百 | 百 | 百 | 일백 백; ⽩-총6획; [bǎi,bó] 일백, 모든, 백 번 하다 【수사】 열의 열 배. ∼ 개 모인 인원이 ∼이 넘는다. [속담][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] 듣기만 하는 것보다는 직접 보는 것이 확실하다. |
156 | 西 | 西 | 西 | 西 | 서녘 서; ⾑-총6획; [xī] 서녘, 서쪽, 서쪽으로 향하여 가다 【명사】‘서쪽’의 준말. ↔동(東). |
157 | 回 | 回 | 回 | 回 | 돌 회; ⼞-총6획; [huí] 돌다, 돌아오다, 돌리다 【의존명사】횟수를 세는 말. 마지막 ∼ 제3∼ 정기 총회. |
158 | 次 | 次 | 次 | 次 | 버금 차; ⽋-총6획; [cì] 버금, 다음, 둘째, 잇다 【의존명사】 ⦗수⦘ 차수(次數)를 가리키는 말. 일∼ 방정식. |
159 | 先 | 先 | 先 | 先 | 먼저 선; ⼉-총6획; [xiān] 먼저, 나아가다, 옛날 【명사】【~하다 → 자동사】① 첫째 차례. 선번(先番). |
160 | 名 | 名 | 名 | 名 | 이름 명; ⼝-총6획; [míng] 이름, 인륜상, 외관, 외형名) 【명사】 이름1. 학교∼ 동물∼ 단체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161 | 再 | 再 | 再 | 再 | 두 재; ⼌-총6획; [zài] 두, 둘, 재차, 거듭, 다시 한 번 【접두사】 ‘두 번째’·‘다시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검토 |
162 | 安 | 安 | 安 | 安 | 편안할 안; ⼧-총6획; [ān] 편안하다, 즐기다, 좋아하다 |
163 | 共 | 共 | 共 | 共 | 함께 공; ⼋-총6획; [gòng] 함께, 함께하다, 같게 하다 |
164 | 光 | 光 | 光 | 光 | 빛 광; ⼉-총6획; [guāng] 빛, 빛나다, 광택 【명사】 ① ⦗물⦘ 빛. ② 화투의 스무 끗짜리 패. |
165 | 至 | 至 | 至 | 至 | 이를 지; ⾄-총6획; [zhì] 이르다, 새가 땅에 내려앉다. 도래하다, 미치다, 닿다, 두루 미치다, 끝 가다, 지극히 |
166 | 收 | 收 | 収 | 收 | 거둘 수; ⽁-총6획; [shōu] 거두다, 정제(整齊)하다, 거두어들여 정리하다, 쉬다, 그만두다, 그치다 |
167 | 交 | 交 | 交 | 交 | 사귈 교; ⼇-총6획; [jiāo] 사귀다, 주고받고 하다, 서로 |
168 | 字 | 字 | 字 | 字 | 글자 자; ⼦-총6획; [zì] 글자, 아이를 배다, 기르다 【명사】 사람의 본이름 외에 부르는 이름《흔히 장가든 뒤에 본이름 대신으로 부름》. |
169 | 米 | 米 | 米 | 米 | 쌀 미; ⽶-총6획; [mǐ] 쌀, 껍질을 벗긴 조․수수․보리․옥수수 등도 이른다, 나라 이름, America의 취음 |
170 | 色 | 色 | 色 | 色 | 빛 색; ⾊-총6획; [sè,shǎi] 빛, 빛깔, 얼굴빛, 색채, 윤, 광택, 기색, 형상, 용모의 예쁨, 갈래, 종류, 여색, 정욕 【명사】 ① 빛. 짙은 ∼ ∼이 바래다 ∼을 칠하다 ② 같은 부류를 가리키는 말. 그 친구는 ∼이 다르다. ③ 색정이나 여색(女色), 색사(色事) 따위를 이르는 말. ∼에 빠지다 ∼을 밝히다 ④ ⦗불⦘ 오온(五蘊)의 하나. 눈에 보이는 현상(現象) 세계, 곧 물질 세계. |
171 | 式 | 式 | 式 | 式 | 법 식; ⼷-총6획; [shì] 법, 법규, 규정, 본받다, 기준으로 삼고 따르다, 드러내다, 표창하다 【명사】 ① 일정한 전례·표준·규정. ② ‘의식’의 준말. ∼을 올리다 ∼이 거행되다. ③ ⦗수⦘ 숫자·문자·기호 따위를 써서 이들 사이의 수학적 관계를 나타낸 것. 산식(算式). x를 구하는 ∼을 써라. 【의존명사】일정한 방식이나 투. 그런 ∼이라면 나도 할 수 있다 자기는 모르겠다는 ∼으로 뒤로 물러섰다. |
172 | 死 | 死 | 死 | 死 | 죽을 사; ⽍-총6획; [sǐ] 죽다, 죽음, 죽은 이 【명사】죽음. 생과 ∼의 갈림길에 서다. ↔생(生). |
173 | 早 | 早 | 早 | 早 | 새벽 조; ⽇-총6획; [zǎo] 새벽, 이른 아침, 이르다 |
174 | 列 | 列 | 列 | 列 | 벌일 열{렬}; ⼑-총6획; [liè] 벌이다, 늘어놓다, 가지런하다 |
175 | 江 | 江 | 江 | 江 | 강 강; ⽔-총6획; [jiāng] 강, 큰 내, 양자강(陽子江)) 【명사】 넓고 길게 흐르는 큰 물줄기. 얼었던 ∼이 풀리다 ♣ 강 건너 불구경 【관용구】 자기에게 상관없는 일이라 하여 무시하고 방관하는 모양. |
176 | 衣 | 衣 | 衣 | 衣 | 옷 의; ⾐-총6획; [yī,yì] 옷, 예복, 나들이 옷, 가사(袈裟), 싸는 것, 또는 덮는 것, 이끼 |
177 | 存 | 存 | 存 | 存 | 재있을 존; ⼦-총6획; [cún] 있다, 안부를 묻다, 가엾게 여기다 |
178 | 忙 | 忙 | 忙 | 忙 | 바쁠 망; ⼼-총6획; [máng] 바쁘다, 겨를이 없다, 조급하다 |
179 | 守 | 守 | 守 | 守 | 지킬 수; ⼧-총6획; [shǒu] 지키다, 직무, 직책, 정조 |
180 | 充 | 充 | 充 | 充 | 진실로 윤; ⼉-총4획; [yǔn] 진실로, 동의하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181 | 考 | 考 | 考 | 考 | 상고할 고; ⽼-총6획; [kǎo] 상고하다, 곰곰이 생각하다 【명사】 죽은 아버지의 일컬음. ↔비(妣). *현고(顯考). |
182 | 血 | 血 | 血 | 血 | 피 혈; ⾎-총6획; [xiě,xuè] 피, 물들이다 |
183 | 印 | 印 | 印 | 印 | 도장 인; ⼙-총6획; [yìn] 도장, 찍다, 찍히다, 박히다 【명사】 도장. ∼을 치다. |
184 | 肉 | 肉 | 肉 | 肉 | 고기 육; ⾁-총6획; [ròu] 고기, 베어낸 고기, 동물의 살, 과실․채소 등의 껍데기에 싸인 연한 부분, 몸, 피부 【명사】 짐승의 고기. 살코기 |
185 | 危 | 危 | 危 | 危 | 위태할 위; ⼙-총6획; [wēi] 위태하다, 위태롭게 하다 |
186 | 曲 | 曲 | 曲 | 曲 | 굽을 곡; ⽈-총6획; [qū,qǔ] 굽다, 휘다, 굽히다, 휘게 하다, 마음이 바르지 아니하다, 사악하다 【명사】 ① ‘곡조’의 준말. ② ‘악곡’의 준말. ③ 악곡·노래를 세는 단위 노래 두 ∼을 이어 부르다. |
187 | 耳 | 耳 | 耳 | 耳 | 귀 이; ⽿-총6획; [ěr] 귀, 청각 기관, 오관(五官)의 하나 |
188 | 羊 | 羊 | 羊 | 羊 | 양 양; ⽺-총6획; [yáng] 양, 상서롭다, 배회(徘徊)하다 【명사】 ① ⦗동⦘ 솟과의 가축. 대체로 회백색의 섬세한 털로 싸였음. 건조지를 좋아하며 초식성으로 소화력이 강함. 양모는 섬유용, 지방은 비누 제조용임. 면양(緬羊). ② 성질이 매우 온순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. |
189 | 休 | 休 | 休 | 休 | 쉴 휴; ⼈-총6획; [xiū] 쉬다, 그치다, 그만두다, 휴가 |
190 | 伐 | 伐 | 伐 | 伐 | 칠 벌; ⼈-총6획; [fá,fā] 치다, 베다, 공적, 공훈 |
191 | 竹 | 竹 | 竹 | 竹 | 대 죽; ⽵-총6획; [zhú] 대, 대나무, 피리, 대나무로 만들어 불면 소리 나는 악기, |
192 | 吉 | 吉 | 吉 | 吉 | 길할 길; ⼝-총6획; [jí] 길하다, 좋다, 아름답거나 착하거나 훌륭하다 |
193 | 伏 | 伏 | 伏 | 伏 | 엎드릴 복; ⼈-총6획; [fú] 엎드리다, 숨다, 굴복하다 【명사】 ‘복날’의 준말. |
194 | 刑 | 刑 | 刑 | 刑 | 모양 형; ⼺-총7획; [xíng] 모양, 몸, 육체, 형세, 세력 【명사】 ‘형상(形狀)’의 준말. 【접미사】 도형의 모양을 일컫는 말. 타원∼ 오각∼. |
195 | 朱 | 朱 | 朱 | 朱 | 붉을 주; ⽊-총6획; [zhū] 붉다, 붉은빛, 붉은 빛깔을 띤 물건, 적토(赤土) 【명사】 누른빛이 섞인 붉은빛. |
196 | 仰 | 仰 | 仰 | 仰 | 우러를 앙; ⼈-총6획; [yǎng] 우러르다, 믿다, 따르다 |
197 | 舌 | 舌 | 舌 | 舌 | 혀 설; ⾆-총6획; [shé] 혀, 목관 악기에 끼워 소리를 내는 물건, 과녁의 좌우의 귀 |
198 | 宅 | 宅 | 宅 | 宅 | 댁 댁{집 택}; ⼧-총6획; [zhái,zhè] 댁, 집, 대지, 정하다, 살다, 무덤 【명사】 ① 남의 집이나 가정의 높임말. 선생님 ∼ ∼은 어디십니까. ② 예전에, 양반이 하인에게 자기 집을 일컫던 말. 【인칭대명사】 상대를 높여, 직접 부르지 않고 완곡하게 이르는 말. ∼은 뉘시오. |
199 | 宇 | 宇 | 宇 | 宇 | 집 우; ⼧-총6획; [yǔ] 집, 지붕, 처마 |
200 | 寺 | 寺 | 寺 | 寺 | 절 사; ⼨-총6획; [sì] 절, 부처를 모시는 곳, 내시, 환관, 관청, 공무를 집행하는 기관이나 곳 【접미사】절 이름 뒤에 붙이는 말. 불국∼통도∼ 해인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201 | 兆 | 兆 | 兆 | 兆 | 조짐 조; ⼉-총6획; [zhào] 조짐, 점괘, 점치다 【수사】【관형사】억의 만 배가 되는 수(의). |
202 | 我 | 我 | 我 | 我 | 나 아; ⼽-총7획; [wǒ] 나, 우리, 외고집 |
203 | 作 | 作 | 作 | 作 | 지을 작; ⼈-총7획; [zuó,zuō,zuò] 짓다, 일어나다, 일으키다 【의존명사】제작이나 저작의 뜻. 이광수 ∼ ‘무정’. |
204 | 見 | 见 | 見 | 見 | 볼 견; ⾒-총7획; [jiàn,xiàn] 보다, 눈으로 보다, 생각해 보다, 돌이켜 보다, 변별하다, 보이다, 마음에 터득하다, 보는 바, 소견, 생각 |
205 | 利 | 利 | 利 | 利 | 날카로울 이{리}; ⼑-총7획; [lì] 날카롭다, 화(和)하다, 통하다 |
206 | 位 | 位 | 位 | 位 | 자리 위; ⼈-총7획; [wèi] 자리, 자리하다, 품위 【명사】 지위나 직위. 【의존명사】 ① 등급이나 등수를 나타내는 말. 제2 ∼. ② 신주(神主)나 위패에 모신 신의 수효를 세는 말. 10∼의 영령(英靈). |
207 | 走 | 走 | 走 | 走 | 달릴 주; ⾛-총7획; [zǒu] 달리다, 빨리 가다, 가다, 향하여 가다, 달아나다, 도망치다 |
208 | 完 | 完 | 完 | 完 | 완전할 완; ⼧-총7획; [wán] 완전하다, 완전하게 하다, 끝내다, 일을 완결 짓다 |
209 | 別 | 别 | 別 | 別 | 나눌 별; ⼑-총7획; [bié] 나누다, 헤어지다, 갈라짐 【부사】‘별로’의 준말. 아무래도 ∼ 뾰족한 수가 없다. |
210 | 形 | 形 | 形 | 形 | 모양 형; ⼺-총7획; [xíng] 모양, 몸, 육체, 형세, 세력 【명사】 ① ‘형상(形狀)’의 준말. ② ⦗언⦘ ‘활용형’의 준말. 【접미사】 도형의 모양을 일컫는 말. 타원∼ 오각∼. |
211 | 決 | 决 | 決 | 決 | 터질 결; ⽔-총7획; [jué] 터지다, 제방이 무너져서 물이 넘쳐흐르다, 터놓다, 막아 놓은 것을 제거하여 물을 이끌어 내다, 갈라놓다, 열어 놓다 |
212 | 身 | 身 | 身 | 身 | 몸 신; ⾝-총7획; [shēn,yuán] 몸, 신체, 나 자신, 자기의 능력․이익․성행(性行), 신분, 줄기, 칼날, 식물 줄기 |
213 | 改 | 改 | 改 | 改 | 고칠 개; ⽁-총7획; [gǎi] 고치다, 따로, 다시, 새삼스럽게, 고쳐지다, 바뀌다 |
214 | 車 | 车 | 車 | 車 | 수레 차{거}; ⾞-총7획; [chē,jū] 수레, 수레의 바퀴, 도르래 |
215 | 快 | 快 | 快 | 快 | 쾌할 쾌; ⼼-총7획; [kuài] 쾌하다, 상쾌하다, 병세가 좋아지다, 기뻐하다, 즐거워하다 |
216 | 花 | 花 | 花 | 花 | 꽃 화; ⾋-총8획; [huā] 꽃, 초목의 꽃, 특히 ‘모란’․‘해당’을 이르는 말, 꽃 형상을 한 물건, 꽃이 피다, 꽃답다, 아름다운 것의 비유 |
217 | 住 | 住 | 住 | 住 | 살 주; ⼈-총7획; [zhù] 살다, 거처, 살고 있는 사람 |
218 | 志 | 志 | 志 | 志 | 뜻 지; ⼼-총7획; [zhì] 뜻, 의향, 마음, 본심, 희망, 사심(私心), 뜻하다, 뜻을 두다 |
219 | 每 | 每 | 毎 | 每 | 매양 매; ⽏-총7획; [měi] 매양, 늘, 언제나, 마다, 그때마다, 잦다, 자주, 빈번히 【관형사】 ‘마다’·‘각각’의 뜻. ∼ 주일 ∼ 끼니. |
220 | 更 | 更 | 更 | 更 | 고칠 경{다시 갱}; ⽈-총7획; [gēng,gèng] 고치다, 다시, 재차, 개선하다, 새로워지다, 고쳐지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221 | 究 | 究 | 究 | 究 | 궁구할 구; ⽳-총7획; [jiū] 궁구하다, 끝, 극(極), 다하다 |
222 | 近 | 近 | 近 | 近 | 가까울 근; ⾡-총8획; [jìn] 가깝다, 닮다, 알기 쉽다, 천박하다, 딱 들어맞다, 요사이, 가까이 【관형사】 (수량을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) 그것에 거의 가까움을 나타내는 말. ∼ 한 달 동안 ∼ 백 리. |
223 | 何 | 何 | 何 | 何 | 어찌 하; ⼈-총7획; [hé] 어찌, 무엇, 얼마 |
224 | 步 | 步 | 歩 | 步 | 걸음 보; ⽌-총7획; [bù] 걸음, 걷다, 걸리다, 보병, 처하다, 행위, 운수, 나루, 여섯 자 【의존명사】 ① 거리를 재는 단위. 주척(周尺)으로 여섯 자. ② 거리를 발걸음으로 재는 단위. 1∼ 후퇴 2∼ 전진. |
225 | 技 | 技 | 技 | 技 | 재주 기; ⼿-총7획; [jì] 재주, 방술(方術), 의술, 점술 따위, 공인(工人), 장인(匠人) |
226 | 告 | 告 | 告 | 告 | 알릴 고; ⼝-총7획; [gào] 알리다, 묻다, 안부를 묻다, 가르치다, 깨우쳐 주다 |
227 | 兵 | 兵 | 兵 | 兵 | 군사 병; ⼋-총7획; [bīng] 군사 병, 싸움, 전쟁, 무기, 【명사】 ⦗군⦘ ‘병장·상등병·일등병·이등병’을 일컫는 말. |
228 | 言 | 言 | 言 | 言 | 말씀 언; ⾔-총7획; [yán] 말씀, 언어, 가르치는 말, 호령하는 말, 맹세하는 말, 글, 문자, 말하다, 발언하다, 꾀 |
229 | 低 | 低 | 低 | 低 | 밑 저; ⼈-총7획; [dī] 밑, 속, 안, 이르다 【접두사】 ‘낮음’의 뜻. ∼기압 ∼자세. |
230 | 足 | 足 | 足 | 足 | 발 족; ⾜-총7획; [zú] 발, 뿌리, 근본, 산기슭, 그치다, 머무르다, 가다, 달리다 【명사】 소·돼지 따위의 무릎 아랫부분을 식용으로 이르는 말. ∼을 고다. 【의존명사】 켤레. 버선 한 ∼. |
231 | 角 | 角 | 角 | 角 | 뿔 각; ⾓-총7획; [jiǎo,jué] 뿔, 짐승의 뿔, 달팽이나 곤충의 촉각, 모, 귀, 구석, 한 모퉁이 【명사】 ① 뿔. 사슴의 ∼이 돋다. ② 면이 만나 이루는 모서리. ∼이 지다. ③ ⦗수⦘ 두 직선의 한 끝이 서로 만나는 곳. ④ ‘각도’의 준말. ∼이 크다 ∼을 맞추다. |
232 | 助 | 助 | 助 | 助 | 도울 조; ⼒-총7획; [zhù] 돕다, 도움, 구조, 구원 【접두사】 ‘직위’나 ‘직위’를 나타내는 말 앞에 붙어, ‘보조적인’ 또는 ‘버금가는’의 뜻을 나타냄. ∼감독 ∼교수. |
233 | 防 | 防 | 防 | 防 | 둑 방; ⾩-총7획; [fáng] 둑, 막다, 말리다, 대비하다, 방호하다, 덮다, 가리다, 수비, 방비 |
234 | 希 | 希 | 希 | 希 | 바랄 희; ⼱-총7획; [xī] 바라다, 드물다, 사이가 배지 아니하다 |
235 | 村 | 村 | 村 | 村 | 마을 촌; ⽊-총7획; [cūn] 마을, 시골, 촌스럽다, 꾸밈이 없다, 야비(野鄙)하다 【명사】 도시에서 떨어진 마을. 부락. 시골. ∼에서 살다 |
236 | 投 | 投 | 投 | 投 | 던질 투; ⼿-총7획; [tóu] 던지다, 주다, 보내다, 증여하다, 들이다, 받아들이다 |
237 | 弟 | 弟 | 弟 | 弟 | 아우 제; ⼸-총7획; [dì] 아우, 나이 어린 사람 【인칭대명사】 ‘아우’의 뜻으로, 평교간 편지에서 자기를 낮추어 쓰는 말. |
238 | 良 | 良 | 良 | 良 | 좋을 양{량}; ⾉-총7획; [liáng] 좋다, 어질다, 뛰어나다, 아름답다, 경사스럽다, 공교하다, 편안하다, 순진하다 |
239 | 初 | 初 | 初 | 初 | 처음 초; ⼑-총7획; [chū] 처음, 시작, 첫, 처음의 【의존명사】 ‘초기’·‘처음’의 뜻. 내년 ∼ 학년 ∼ |
240 | 均 | 均 | 均 | 均 | 고를 균; ⼟-총7획; [jūn,jùn,yùn] 고르다, 평평하게 하다, 조화를 이루다, 갈다, 밭을 갈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241 | 男 | 男 | 男 | 男 | 사내 남; ⽥-총7획; [nán] 사내, 장부, 아들, 사내자식, 젊은이, 장정 【명사】 ① 남자. 사내. ↔여(女). ② ‘남작(男爵)’의 준말. |
242 | 判 | 判 | 判 | 判 | 판가름할 판; ⼑-총7획; [pàn] 판가름하다, 나누다, 구별하다, 떨어지다, 흩어지다 【접미사】 책이나 종이의 길이 및 너비의 규격을 나타내는 말. 국(菊)∼ 명함∼ 사륙∼. |
243 | 冷 | 冷 | 冷 | 冷 | 찰 냉{랭}; ⼎-총7획; [lěng] 차다, 식히다, 맑다 【명사】 ⦗한의⦘ ① 아랫배가 늘 싸늘한 병.② 냉병 |
244 | 材 | 材 | 材 | 材 | 재목 재; ⽊-총7획; [cái] 재목, 건축, 기구 등의 재료로 쓰이는 나무, 원료, 자질(資質), 바탕 【접미사】‘재료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생산∼ 건축∼. |
245 | 君 | 君 | 君 | 君 | 임금 군; ⼝-총7획; [jūn] 임금, 주권자, 세자 【명사】⦗역⦘ 조선 때, 왕의 서자의 봉작에 붙이던 존칭. 왕자군(王子君). 【의존명사】성이나 이름 뒤에 쓰여, 친구나 손아랫사람을 부르는 호칭어. 이 ∼. |
246 | 困 | 困 | 困 | 困 | 괴로울 곤; ⼞-총7획; [kùn] 괴롭다, 부족하다, 통하지 아니하다 |
247 | 否 | 否 | 否 | 否 | 아닐 부; ⼝-총7획; [fǒu,pǐ] 아니다, 부정하다 【명사】① ‘아님’을 나타내는 말.② 의안 표결에서의 불찬성. ↔가(可). |
248 | 迎 | 迎 | 迎 | 迎 | 맞이할 영; ⾡-총8획; [yíng] 맞이하다, 마음으로 따르다 |
249 | 吹 | 吹 | 吹 | 吹 | 불 취; ⼝-총7획; [chuī] 불다, 부추기다, 바람 |
250 | 私 | 私 | 私 | 私 | 사사 사; ⽲-총7획; [sī] 사사, 자기, 개인, 불공평, 사곡(邪曲), 사사로운 욕망, 비밀, 사사로이 하다, 홀로 【명사】 ① 사사로움. 공(公)과 ∼의 구별. ↔공(公). ② 개인적인 욕심과 이익만을 꾀하는 일. ∼가 없는 사람. |
251 | 忘 | 忘 | 忘 | 忘 | 잊을 망; ⼼-총7획; [wàng,wáng] 잊다, 건망증, 다하다 |
252 | 序 | 序 | 序 | 序 | 차례 서; ⼴-총7획; [xù] 차례, 차례를 매기다, 담 【명사】① 문장의 한 체《사적(事蹟)의 요지를 적은 글》. ② ‘서문’의 준말. |
253 | 佛 | 佛 | 仏 | 佛 | 부처 불; ⼈-총7획; [fó,fú] 부처, 어렴풋하다, 어기다 【명사】⦗불⦘ ‘불타(佛陀)’의 준말. |
254 | 辛 | 辛 | 辛 | 辛 | 매울 신; ⾟-총7획; [xīn] 맵다, 매운맛, 고생하다, 살상(殺傷)하다 【명사】⦗민⦘① 천간(天干)의 여덟째.② ‘신방(辛方)’의 준말.③ ‘신시(辛時)’의 준말. |
255 | 尾 | 尾 | 尾 | 尾 | 꼬리 미; ⼫-총7획; [wěi,yǐ] 꼬리, 등, 등 뒤, 흘레하다 【명사】① 인삼 뿌리의 잔 가닥.② ‘미성(尾星)’의 준말. |
256 | 妙 | 妙 | 妙 | 妙 | 묘할 묘; ⼥-총7획; [miào] 묘하다, 젊다, 나이가 20살 안팎이다 【명사】 말할 수 없이 빼어나고 교묘함. 조화(造化)의 ∼ 구상의 ∼ 용병의 ∼를 체득하다. |
257 | 壯 | 壮 | 壮 | 壯 | 씩씩할 장; ⼠-총7획; [zhuàng] 씩씩하다, 장하다, 기상이 굳세다, 성하다 |
258 | 貝 | 贝 | 貝 | 貝 | 조개 패; ⾙-총7획; [bèi] 조개, 돈, 옛날 화폐로 유통하던 조가비, 무늬, 조개껍데기의 무늬와 같은 비단의 무늬 |
259 | 忍 | 忍 | 忍 | 忍 | 참을 인; ⼼-총7획; [rěn] 참다, 견디어내다, 용서하다 |
260 | 豆 | 豆 | 豆 | 豆 | 콩 두; ⾖-총7획; [dòu] 콩, 또 팥, 콩과에 딸린 식물의 총칭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261 | 秀 | 秀 | 秀 | 秀 | 빼어날 수; ⽲-총7획; [xiù] 빼어나다, 높이 솟아나다, 꽃 피다, 꽃이 피고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것 【명사】 성적 평점의 최고《우(優)의 위》. |
262 | 卵 | 卵 | 卵 | 卵 | 알 란{난}; ⼙-총7획; [luǎn] 알, 기르다, 크다, 굵다 |
263 | 臣 | 臣 | 臣 | 臣 | 신하 신; ⾂-총6획; [chén] 신하, 신하가 되어 섬기다 【명사】 신하. 【인칭대명사】 신하가 임금에게 대하여 자기를 일컫던 말. |
264 | 赤 | 赤 | 赤 | 赤 | 붉을 적; ⾚-총7획; [chì] 붉다, 붉은 빛, 발가숭이, 적나라(赤裸裸), 비다, 아무 것도 없다 【명사】 ‘적색(赤色)’의 준말. |
265 | 扶 | 扶 | 扶 | 扶 | 도울 부; ⼿-총7획; [fú] 돕다, 떠받치다, 붙들다, 곁, 옆 |
266 | 孝 | 孝 | 孝 | 孝 | 효도 효; ⼦-총7획; [xiào] 효도, 부모의 상(喪)을 입다, 상복(喪服), 보모(保姆) 【명사】 부모를 잘 섬기는 일. ↔불효. |
267 | 姊 | 姊 | 姉 | 姊 | 손윗누이 자; ⼥-총8획; [zǐ] 손윗누이, 여자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, 어머니, 姊의 俗字 |
268 | 的 | 的 | 的 | 的 | 과녁 적; ⽩-총8획; [dė,dí,dì] 과녁, 표준, 사물을 행하는 기준, 사북, 요점 【명사】 대상. 목표. 표적. 선망의 ∼. |
269 | 來 | 来 | 来 | 來 | 올 래{내}; ⼈-총8획; [lái,lȧi] 오다, 장래, 부르다 |
270 | 和 | 和 | 和 | 和 | 화할 화; ⼝-총8획; [hé,huó,huò] 화하다, 서로 응하다 【명사】 서로 뜻이 맞아 사이 좋은 상태. |
271 | 到 | 到 | 到 | 到 | 이를 도; ⼑-총8획; [dào] 이르다, 빈틈없이 찬찬하다, 속이다, 기만하다 |
272 | 事 | 事 | 事 | 事 | 일 사; ⼅-총8획; [shì] 일, 일삼다, 전념하다, 정치 【의존명사】 (‘―ㄹ’·‘―을’의 뒤에 쓰여) ‘일’·‘것’ 따위의 뜻을 나타내는 말. 정시(定時)에 귀가할 ∼. |
273 | 所 | 所 | 所 | 所 | 바 소; ⼾-총8획; [suǒ] 바, 일정한 곳이나 지역, 지위, 자리, 위치, 경우 【접미사】 ‘어떤 일을 하는 장소 또는 기관’의 뜻. 연구∼ 사무∼ 교습∼. |
274 | 長 | 长 | 長 | 長 | 길 장; ⾧-총8획; [cháng,zhǎng] 길다, 길이, 오래도록 【명사】 길이¹1. |
275 | 法 | 法 | 法 | 法 | 법 법; ⽔-총8획; [fǎ,fá,fà] 법, 예의, 도리, 모범, 모형, 품등(品騰), 본받다, 모범으로 삼아 좇다, 법을 지키다 【명사】 ① 법률·법령·조례 등 구속력을 갖는 온갖 규칙과 규범. ∼의 존엄성 ∼을 제정하다 ② ⦗불⦘ 삼보(三寶)의 하나. [속담][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] 사리를 따지기 전에 완력을 먼저 쓴다. |
276 | 定 | 定 | 定 | 定 | 정할 정; ⼧-총8획; [dìng] 정하다, 정해지다, 반드시 |
277 | 兩 | 两 | 両 | 兩 | 두 양{량}; ⼊-총8획; [liǎng] 두, 둘, 짝, 짝을 하다, 아울러 |
278 | 明 | 明 | 明 | 明 | 밝을 명; ⽇-총8획; [míng] 밝다, 밝히다, 밝게, 환하게 【명사】 ⦗불⦘① 지혜2.② 진언(眞言)2. |
279 | 使 | 使 | 使 | 使 | 하여금 사; ⼈-총8획; [shǐ,shì] 하여금, 시키다, 좇다 |
280 | 物 | 物 | 物 | 物 | 만물 물; ⽜-총8획; [wù] 만물, 일, 무리, 종류 【명사】⦗철⦘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실재적 사물. 또는 느낄 수 없어도 그 존재를 사유할 수 있는 일체의 것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281 | 知 | 知 | 知 | 知 | 알 지; ⽮-총8획; [zhī] 알다, 깨닫다, 느끼다, 분별하다, 기억하다, 들어서 알다, 보아서 알다, 사귀다, 나타나다 |
282 | 表 | 表 | 表 | 表 | 겉 표; ⾐-총8획; [biǎo] 겉, 거죽, 겉면, 나타내다, 밝히다, 드러내다, 나타나다 【명사】 ① 위. 겉. 바깥쪽. ② 표지(標識). ③ 마음속의 생각을 적어 임금에게 올리던 글. 출사(出師)∼.④ 요항(要項)을 순서에 따라 열기한 것. ∼를 작성하다 |
283 | 者 | 者 | 者 | 者 | 놈 자; ⽼-총9획; [zhě] 놈, 사람, 것, 일을 가리켜 이른다,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, 곳 【의존명사】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. 힘으로는 그에게 당할 ∼가 없다. |
284 | 兒 | 儿 | 児 | 兒 | 아이 아; ⼉-총8획; [ér,ní] 아이, 어버이에 대한 아이의 자칭(自稱), 남을 낮잡아 이르는 말 【접미사】 ① ‘어린아이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신생∼. ② ‘사나이’ 또는 ‘젊은 남자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풍운∼ |
285 | 命 | 命 | 命 | 命 | 목숨 명; ⼝-총8획; [mìng] 목숨, 운수, 운, 명하다 【명사】 ① 목숨1. ∼이 길다 ∼이 다하다.② ‘운명’의 준말.③ ‘명령’의 준말. 천자의 ∼을 받다. ♣ 명 붙이다 【관용구】 ㉠목숨을 잇다.㉡자신의 몸을 남에게 의지하다. |
286 | 性 | 性 | 性 | 性 | 성품 성; ⼼-총8획; [xìng]성품, 성질, 생명, 목숨 【명사】 ① 사람·사물 따위의 본바탕이나 본성. ② ⦗철⦘ 사람이 나면서부터 지닌 성품. ③ ⦗생⦘ 남녀·자웅·암수의 구별. ∼의 구별 남녀의 ∼의 특성. ④ 남녀의 육체적 관계. 또는 그에 관련된 일. ∼의 문란 ♣ 성에〔성이〕 차다 【관용구】 흡족하게 여기다. ┈┈∘ 밥 한 공기를 다 먹어도 성에 차지 않았다. |
287 | 果 | 果 | 果 | 果 | 실과 과; ⽊-총8획; [guǒ] 실과, 나무의 열매, 해내다, 이루다, 굳세다, 용감하다 【명사】 ① 결과. ② ⦗불⦘ 원인에 따른 결과. ↔인(因). |
288 | 門 | 门 | 門 | 門 | 문 문; ⾨-총8획; [mén] 문, 출입문, 문간, 문전, 집안 【명사】 ① (집이나 건물 따위에서) 드나들거나 통할 수 있게 만든 여닫는 시설《방문·대문 따위》. ∼을 쾅 닫다 ∼을 꼭 잠그다 ② 거쳐야 할 관문이나 고비.• 취업의 좁은 ∼을 뚫다. ♣ 문(을) 닫다 【관용구】 ㉠하루의 영업을 마치다. 문 닫을 시간이 되다. ㉡사업을 그만두다. 폐업하다. 불경기로 ♣ 문(을) 열다 【관용구】 ㉠하루의 영업을 시작하다. |
289 | 東 | 东 | 東 | 東 | 동녘 동; ⽊-총8획; [dōng] 동녘, 동쪽, 오행(五行)으로 목(木), 사시(四時)로 봄, 오색(五色)으론 청(靑), 【명사】동쪽. [속담][동에 번쩍 서에 번쩍] 정처가 없고 종적을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여기저기 나타남. |
290 | 放 | 放 | 放 | 放 | 놓을 방; ⽁-총8획; [fàng] 놓다, 내치다, 좇아내다, 추방하다, 놓이다, 석방되다, 추방되다 【의존명사】 ① 총포를 발사하는 횟수를 세는 말. 공포를 한 ∼ 쏘다. ② 주먹이나 방망이 따위로 때리는 횟수를 세는 말. 홈런 한 ∼에 나가떨어지다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291 | 官 | 官 | 官 | 官 | 벼슬 관; ⼧-총8획; [guān,guǎn] 벼슬, 벼슬자리, 벼슬아치, 관청, 공무를 집행하는 곳 【명사】 정부나 관청 따위를 이르는 말. ♣ 관 물(을) 먹다 【관용구】 국가의 관료로 생활을 하다. 관청 물(을) 먹다. ♣ 관 물(이) 들다 【관용구】 오랜 관리 생활로 관료적인 영향을 받다. |
292 | 爭 | 争 | 争 | 爭 | 다툴 쟁; ⽖-총8획; [zhēng] 다투다, 잡아끌다, 결판을 내다, 소송하다, 따져 말하다, 다툼, 싸움, 하소연 |
293 | 取 | 取 | 取 | 取 | 취할 취; ⼜-총8획; [qǔ] 취하다, 골라 뽑다, 돕다 |
294 | 育 | 育 | 育 | 育 | 기를 육; ⾁-총8획; [yù,yò] 기르다, 자라다, 낳다 |
295 | 直 | 直 | 直 | 直 | 곧을 직; ⽬-총8획; [zhí] 곧다, 바른 도(道), 또는 바른 행위, 바루다, 고치다, 펴다, 억울함을 씻다 |
296 | 治 | 治 | 治 | 治 | 다스릴 치; ⽔-총8획; [zhì] 다스리다, 관리하다, 바로잡다, 평정하다, 수리하다, 다스려지다, 다스려지는 일이나 그 상태 |
297 | 金 | 金 | 金 | 金 | 성 김{쇠 금}; ⾦-총8획; [jīn] 성, 쇠, 금속 광물의 총칭, 돈, 황금, ‘五行’의 하나, 방위는 서․계절은 가을․성음은 상(商)․간지는 경신(庚辛), 황금색 |
298 | 受 | 受 | 受 | 受 | 수受 받을 수; ⼜-총8획; [shòu] 받다, 얻다, 이익을 누리다, 받아들이다, 받아들여 쓰다 |
299 | 非 | 非 | 非 | 非 | 아닐 비; ⾮-총8획; [fēi] 아니다, 부정(否定)의 조사, 등지다, 배반하다, 거짓 【명사】 잘못되거나 그른 것. 시(是)와 ∼를 가리다. ↔시(是). |
300 | 油 | 油 | 油 | 油 | 기름 유; ⽔-총8획; [yóu] 기름,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, 나아가지 아니하는 모양 【접미사】 ‘기름’이나 ‘석유’의 뜻. 야자∼ 윤활∼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01 | 林 | 林 | 林 | 林 | 林 수풀 임{림}; ⽊-총8획; [lín] 수풀, 숲, 사물이 많이 모이는 곳, 같은 동아리 |
302 | 空 | 空 | 空 | 空 | 빌 공; ⽳-총8획; [kōng,kòng] 비다, 다하다, 없다, 모자라다, 내실이 없다, 근거가 없다, 쓸쓸하다, 부질없이, 헛되이, 비게 하다 【명사】 ① 속이 빈 것. 또는 사실이 아닌 것. ② 영(零). ③ 아라비아 숫자 ‘0’의 이름. ④ 부호 ‘0’의 이름. ⑤ ⦗불⦘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에 따라 생긴 가상(假相)이며, 영구불변의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. |
303 | 往 | 往 | 往 | 往 | 갈 왕; ⼻-총8획; [wǎng] 가다, 옛, 예, 이따금 |
304 | 易 | 易 | 易 | 易 | 바꿀 역; ⽇-총8획; [yì] 바꾸다, 고치다, 교환하다, 바뀌다, 새로워지다, 도마뱀 【명사】 주역(周易). |
305 | 京 | 京 | 京 | 京 | 서울 경; ⼇-총8획; [jīng] 서울, 크다, 높다 【수사】【관형사】 조(兆)의 만 배. 곧, 10¹⁶. |
306 | 服 | 服 | 服 | 服 | 옷 복; ⽉-총8획; [fú] 옷, 의복, 입다, 옷을 입다 【명사】 ① ‘복제(服制)’의 준말. ② 상복(喪服). ♣ 복(을) 벗다 【관용구】 복제에 따라 첫 1년 동안 상복을 입게 되어 있는 기간이 지나가다. |
307 | 河 | 河 | 河 | 河 | 강 이름 하; ⽔-총8획; [hé] 강 이름, 황하, 내, 강, 운하 |
308 | 若 | 若 | 若 | 若 | 같을 약; ⾋-총9획; [ruò,rě] 같다, 너, 만일 |
309 | 房 | 房 | 房 | 房 | 방 방; ⼾-총8획; [fáng] 방, 이십팔수의 하나, 집 【명사】 사람이 살거나 일을 하기 위하여 벽 따위로 막아 만든 공간. ∼을 구하다 ∼이 좁다∼을 빼다 ♣ 방(을) 놓다 【관용구】 방고래를 켜고 구들을 놓아 방바닥을 만들다. |
310 | 注 | 注 | 注 | 注 | 물 댈 주; ⽔-총8획; [zhù] 물 대다, 붓다, 따르다, 쏟다 【명사】 ① 글이나 말의 뜻을 자세히 풀어 주거나 보충 설명을 더하여 주는 글이나 말. ∼를 참조하다. ② ‘주석·주해’의 준말. ♣ 주를 달다 【관용구】 본문의 뜻을 설명 또는 보충하는 글을 적어 넣다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11 | 英 | 英 | 英 | 英 | 꽃부리 영; ⾋-총9획; [yīng] 꽃부리, 꽃잎 전체를 이르는 말, 열매가 열지 아니하는 꽃, 꽃 장식 【명사】 ① ‘영국’을 줄여 이르는 말. ② 영어. |
312 | 苦 | 苦 | 苦 | 苦 | 쓸 고; ⾋-총9획; [kǔ] 쓰다, 쓴맛, 씀바귀, 쓴 나물 【명사】 ① 괴로움. ② ⦗불⦘ 전세에 지은 업 때문에 받는 심신의 괴로움《이고(二苦)·사고(四苦)·팔고(八苦) 따위》. ↔낙. |
313 | 始 | 始 | 始 | 始 | 처음 시; ⼥-총8획; [shǐ] 처음, 비롯하다, 시작하다, 근본, 근원 |
314 | 念 | 念 | 念 | 念 | 생각할 념{염}; ⼼-총8획; [niàn] 생각하다, 생각, 외다, 읊다 |
315 | 武 | 武 | 武 | 武 | 굳셀 무; ⽌-총8획; [wǔ] 굳세다, 용맹하다, 자만하다, 남을 업신여기다, 군인, 병법, 무기, 무인 【명사】 전쟁에 관한 일 또는 무술과 병법을 일컫는 말. ↔문(文). |
316 | 例 | 例 | 例 | 例 | 법식 예{례}; ⼈-총8획; [lì] 법식, 보기, 다, 대부분 |
317 | 雨 | 雨 | 雨 | 雨 | 비 우; ⾬-총8획; [yǔ,yù] 비, 많은 모양의 비유, 흩어지는 모양의 비유 |
318 | 固 | 固 | 固 | 固 | 굳을 고; ⼞-총8획; [gù] 굳다, 단단하다, 방비, 수비, 오로지, 한결같이 |
319 | 夜 | 夜 | 夜 | 夜 | 밤 야; ⼣-총8획; [yè] 밤, 성(姓), 고을 이름 |
320 | 協 | 协 | 協 | 協 | 맞을 협; ⼗-총8획; [xié] 맞다, 화합하다, 적합하다, 합하다, 좇다, 따르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21 | 免 | 免 | 免 | 免 | 면할 면; ⼉-총7획; [miǎn] 면하다, 벗다, 모자 따위를 벗다, 해직하다 |
322 | 承 | 承 | 承 | 承 | 받들 승; ⼿-총8획; [chéng] 받들다, 공경하여 높여 모시다, 잇다, 계승하다, 받다, 받아들이다 【명사】 ‘승구(承句)’의 준말. *기(起). |
323 | 依 | 依 | 依 | 依 | 의지할 의; ⼈-총8획; [yī] 의지하다, 돕다, 힘이 되다 |
324 | 波 | 波 | 波 | 波 | 물결 파; ⽔-총8획; [bō] 물결, 물결이 일다, 파도가 일어나다, 주름 【접미사】 ‘파동·물결’의 뜻. 전자기(電磁氣)∼ 충격∼. |
325 | 居 | 居 | 居 | 居 | 있을 거; ⼫-총8획; [jū] 있다, 살다, 거주하다, 앉다, 차지하다 |
326 | 呼 | 呼 | 呼 | 呼 | 부를 호; ⼝-총8획; [hū] 부르다, 숨을 내쉬다, 호통 치다 |
327 | 妹 | 妹 | 妹 | 妹 | 누이 매; ⼥-총8획; [mèi] 누이, 소녀 【명사】 손아래 누이. 누이동생. 동생. |
328 | 味 | 味 | 味 | 味 | 맛 미; ⼝-총8획; [wèi] 맛, 맛보다, 뜻, 의의 |
329 | 松 | 松 | 松 | 松 | 소나무 송; ⽊-총8획; [sōng] 소나무 |
330 | 季 | 季 | 季 | 季 | 오얏 이{리}; ⽊-총7획; [lǐ] 자두나무, 자두, 자두나무의 열매, 다스리는 벼슬아치 |
331 | 枝 | 枝 | 枝 | 枝 | 재주 기; ⼿-총7획; [jì] 재주, 방술(方術), 의술, 점술 따위, 공인(工人), 장인(匠人) |
332 | 宗 | 宗 | 宗 | 宗 | 마루 종; ⼧-총8획; [zōng] 마루, 일의 근원, 근본, 사당, 가묘, 종묘, 우두머리, 가장 뛰어난 것 |
333 | 招 | 招 | 招 | 招 | 부를 초; ⼿-총8획; [zhāo] 부르다, 오라고 손짓하다, 구하다, 얽어매다, 속박하다, 결박하다 |
334 | 店 | 店 | 店 | 店 | 가게 점; ⼴-총8획; [diàn] 가게, 여관 【명사】 토기나 철기 따위를 만드는 곳. |
335 | 幸 | 幸 | 幸 | 幸 | 다행 행; ⼲-총8획; [xìng] 다행, 행복, 다행하다, 운이 좋다, 바라다, 희망하다 【명사】 ‘다행(多幸)’의 준말. ∼인지 불행인지 모르겠다. |
336 | 妻 | 妻 | 妻 | 妻 | 아내 처; ⼥-총8획; [qī,qì] 아내, 시집보내다 【명사】 아내. |
337 | 抱 | 抱 | 抱 | 抱 | 안을 포; ⼿-총8획; [bào] 안다, 품다, 품, 품에 안기다, 가슴, 흉부 |
338 | 虎 | 虎 | 虎 | 虎 | 범 호; ⾌-총8획; [hū] 범, 용맹스럽다, 용맹함의 비유, 사납고 모짊의 비유, 바둑 수법 이름, 호구 치다 |
339 | 卷 | 卷 | 巻 | 卷 | 쇠뇌 권; ⼙-총8획; [juǎn,juàn] 쇠뇌, 돌을 쏘는 힘이 센 활 【의존명사】 ① 책을 세는 단위. 한 ∼② 여러 책으로 된 책의 차례를 나타내는 말. 토지 3∼을 읽고 있다. ③ 한지(韓紙) 20장을 한 묶음으로 하여 세는 단위. ┈┈• 창호지 두 ∼. ④ 영화 필름의 길이의 단위《한 권은 305m임》. 릴(reel). ┈┈• 필름 열 ∼. |
340 | 杯 | 杯 | 杯 | 杯 | 잔 배; ⽊-총8획; [bēi] 잔, 그릇, 수효를 나타내는 말 【의존명사】 술·음료수의 잔 수를 세는 말. 술 삼 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41 | 姓 | 姓 | 姓 | 姓 | 성 성; ⼥-총8획; [xìng] 성, 겨레, 아들 【명사】 한 혈통을 잇는 겨레붙이의 칭호《김(金)·이(李) 등》. 이름도 ∼도 모른다. ♣ 성을 갈겠다 【관용구】 단언할 때나, 다시는 하지 않겠다고 다짐할 때에, 굳은 맹세를 간곡하게 이르는 말. ┈┈∘ 앞으로 담배를 다시 피우면 ∼. |
342 | 典 | 典 | 典 | 典 | 법 전; ⼋-총8획; [diǎn] 법, 규정, 책, 서적, 가르침 |
343 | 彼 | 彼 | 彼 | 彼 | 저 피; ⼻-총8획; [bǐ] 저, 저 사람, 삼인칭 대명사, 그, 그이, 아니다(匪) |
344 | 奉 | 奉 | 奉 | 奉 | 받들 봉; ⼤-총8획; [fèng] 받들다, 기르다, 돕다 |
345 | 舍 | 舍 | 舎 | 舍 | 집 사; ⾆-총8획; [shè,shě] 집, 머무는 곳, 관청 |
346 | 叔 | 叔 | 叔 | 叔 | 아재비 숙; ⼜-총8획; [shū] 아재비, 줍다, 젊다, 나이가 어리다 |
347 | 忠 | 忠 | 忠 | 忠 | 충성 충; ⼼-총8획; [zhōng] 충성, 진심, 참마음, 진실, 정성을 다하다 |
348 | 宙 | 宙 | 宙 | 宙 | 집 주; ⼧-총8획; [zhòu] 집, 하늘, 동량(棟梁) |
349 | 泣 | 泣 | 泣 | 泣 | 울 읍; ⽔-총8획; [qì] 울다, 울음, 눈물, 근심, 근심하다 |
350 | 昔 | 昔 | 昔 | 昔 | 예 석; ⽇-총8획; [xī] 예, 옛, 옛날, 오래다, 오래 되다, 접때, 앞서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51 | 卒 | 卒 | 卒 | 卒 | 군사 졸; ⼗-총8획; [zú,cù] 군사, 하인, 심부름꾼, 집단, 【명사】 ‘卒·兵’ 자를 새긴 장기짝. 쫄때기. ∼이 다 죽다. |
352 | 是 | 是 | 是 | 是 | 옳을 시; ⽇-총9획; [shì] 옳다, 바르다, 옳다고 하다, 바르다고 인정하다, 바로잡다, 바르게 하다 【명사】 옳거나 맞는 일. ∼와 비를 가리다. ↔비(非). |
353 | 要 | 要 | 要 | 要 | 구할 요; ⾑-총9획; [yào,yāo] 구하다, 요구하다, 원하다, 바라다, 잡다 【명사】 (주로 ‘요는’의 꼴로 쓰여) ‘요점·요지·대요’ 등의 뜻. ∼는 누가 적임자이냐 하는 점이다. |
354 | 活 | 活 | 活 | 活 | 살 활; ⽔-총9획; [huó] 살다, 소생하다, 생존하다, 생기가 있다, 태어나다, 생계, 생활 |
355 | 面 | 面 | 面 | 面 | 낯 면; ⾯-총9획; [miàn] 낯, 얼굴, 앞, 겉, 표면 【명사】 ① 무엇을 향하고 있는 쪽. 삼 ∼이 바다로 둘러싸였다. ② 겉으로 드러난 쪽의 평평한 바닥. 표면. ∼이 고르다 ③ ⦗수⦘ 도형의 한 요소. 길이와 너비를 가진 2차원의 연속체로 평면·곡면 등이 있음. ④ 신문의 지면. 신문 한 ∼을 가득 채운 기사. ⑤ 어떤 측면이나 방면. 경제적인 ∼ 긍정적인 ∼.⑥ 낯이나 체면. ∼이 깎이다 |
356 | 後 | 后 | 後 | 後 | 뒤 후; ⼻-총9획; [hòu] 뒤, 늦다, 능력 따위가 뒤떨어지다 【명사】 ① 뒤. 나중. 또는 그 다음. 죽은 ∼ 알려지다. ↔전(前). ② ‘추후(追後)’의 준말. ∼에 연락하마. |
357 | 看 | 看 | 看 | 看 | 볼 간; ⽬-총9획; [kàn,kān] 보다, 손을 이마에 얹고 바라보다, 방문하다, 지키다, 번서다 |
358 | 前 | 前 | 前 | 前 | 앞 전; ⼑-총9획; [qián] 앞, 앞서다, 나아가다, 전진하다 【명사】 ① 이전. 조금 ∼ 며칠 ∼ 10년 ∼② 막연히 과거의 어느 때를 이르는 말. ∼에 만난 일이 있다 ③ 편지나 사연을 상대 앞으로 보냄을 높여 이르는 말. 부모님 ∼상서(上書). |
359 | 政 | 政 | 政 | 政 | 정사 정; ⽁-총8획; [zhèng] 정사(政事), 나라를 다스리는 일, 바루다, 부정(不正)을 바로잡다, 법규 |
360 | 度 | 度 | 度 | 度 | 법도 도; ⼴-총9획; [dù,duó] 법도, 제도, 기량, 국량 【명사】 ① 어떠한 정도나 한도. ∼가 지나친 행동 ② 거듭되는 횟수. 만남의 ∼를 거듭할수록 정(情)도 깊어 간다. 【의존명사】 ① 각도의 단위. 직각의 90분의 1. ② 온도의 단위. 섭씨 100∼.③ 횟수를 세는 단위. 2∼ 인쇄. ④ ⦗지⦘ 지구의 경도나 위도를 나타내는 단위. 동경 125∼ 북위 37∼.⑤ ⦗악⦘ 음정(音程)을 나타내는 단위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61 | 重 | 重 | 重 | 重 | 무거울 중; ⾥-총9획; [zhòng,chóng] 무겁다, 무겁게 하다, 무게 【접두사】 무엇이 겹쳤거나 둘이 합쳤음의 뜻. ∼수소 |
362 | 相 | 相 | 相 | 相 | 서로 상; ⽬-총9획; [xiāng,xiàng] 서로, 보다, 자세히 보다, 바탕 【명사】 ① 관상에서, 얼굴의 생김새. 얼굴이 부자될 ∼이다. ② 그때그때 나타나는 얼굴의 표정. ♣ 상(을) 보다 【관용구】 사람의 얼굴·골격·체격 따위나 지세(地勢)를 살펴보고 그 운명·길흉을 점치다. |
363 | 便 | 便 | 便 | 便 | 편할 편; ⼈-총9획; [biàn,bián,pián] 편하다, 소식, 편안하다 【명사】 여러 패로 나누었을 때 그 하나하나의 쪽. 우리 ∼ ∼을 가르다. 【의존명사】 ① 사람이 오고 가거나 물건을 보내는 데 이용하는 기회나 수단. 자동차 ∼ 아저씨 ∼에 보내다. ② 사물을 몇 가지로 나누어 생각했을 때의 한쪽. 가려면 일찍 가는 ∼이 낫지. ③ 어떤 쪽. 어떤 방향. 바람이 부는 ∼.④ (주로 ‘―은〔―는〕 편이다’의 꼴로 쓰여) 그와 같은 부류에 속해 있음을 나타내는 말. ┈┈• 오늘은 아주 조용한 ∼이다. |
364 | 軍 | 军 | 軍 | 軍 | 군사 군; ⾞-총9획; [jūn] 군사(軍士), 군사(軍事), 진을 치다, 송대(宋代)의 행정 구획의 이름 【명사】 ① ‘군대’의 준말. ∼에 입대하다. ② ‘군부’의 준말. ∼의 동태 ∼의 지지를 받다. ③ 육군의 최고 편성 단위. 군단의 위. ④ ‘군사령부’의 준말. |
365 | 建 | 建 | 建 | 建 | 세울 건; ⼵-총9획; [jiàn] 세우다, 월건(月建), 북두성의 자루 쪽에 있는 여섯 개의 별 |
366 | 革 | 革 | 革 | 革 | 가죽 혁; ⾰-총9획; [gé,jí] 가죽, 피부(皮膚), 북, 팔음(八音)의 하나, 갑주(甲冑), 투구 |
367 | 美 | 美 | 美 | 美 | 아름다울 미; ⽺-총9획; [měi] 아름답다, 맛이 좋다, 좋다 【명사】 ① 아름다움. ∼소년 각선∼ 교양∼ 조화의 ∼ ② ⦗철⦘ 지각·감각·정감을 자극해서 내적 쾌감을 주는 대상. ③ ⦗지⦘ ‘미국’을 줄여서 이르는 말. ④ 평점의 하나. 우(優)의 아래, 양(良)의 위. |
368 | 南 | 南 | 南 | 南 | 남녘 남; ⼗-총9획; [nán] 남녘, 남쪽으로 향하다, 남쪽으로 가다, 풍류 이름, 시의 한 체제 【명사】 ‘남쪽’의 준말. ↔북(北). |
369 | 計 | 计 | 計 | 計 | 꾀 계; ⾔-총9획; [jì] 꾀, 계략, 계획, 경영, 꾀하다, 계획하다, 의논하다, 세다, 헤아리다 【명사】 합계. 총계. ∼를 내다. |
370 | 界 | 界 | 界 | 界 | 지경 계; ⽥-총9획; [jiè] 지경, 경계, 경계를 접하다, 이웃하다, 사이하다, 이간하다 【명사】 ① ⦗생⦘ 생물 분류상의 가장 큰 단위《동물계·식물계 따위》. ② ⦗지⦘ 지질 시대의 대(代)에 해당하는 지층. 대층(代層)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71 | 海 | 海 | 海 | 海 | 바다 해; ⽔-총10획; [hǎi] 바다, 바닷물, 물산(物産)이 풍부한 모양 【접미사】 ‘바다’의 뜻. 다도∼ 지중∼. |
372 | 思 | 思 | 思 | 思 | 생각할 사; ⼼-총9획; [sī,sāi] 생각하다, 어조사, 생각, 뜻, 마음 |
373 | 品 | 品 | 品 | 品 | 물건 품; ⼝-총9획; [pǐn] 물건, 품별을 하다, 품평하다 【명사】 ① ‘품질’의 준말. ∼이 낮다. ② 품격(品格). 품위(品位). ③ ⦗역⦘ ‘직품(職品)’의 준말. |
374 | 指 | 指 | 指 | 指 | 손가락 지; ⼿-총9획; [zhǐ] 손가락, 발가락, 가리키다 |
375 | 科 | 科 | 科 | 科 | 과정 과; ⽲-총9획; [kē] 과정, 조목, 품등, 그루 【명사】 ① 학과나 연구 분야를 구분하는 단위. 국어∼ ∼를 바꾸다 그는 무슨 ∼에 다닌다더냐. ② 생물학상의 분류 단위《목(目)의 아래, 속(屬)의 위임》. 소나뭇∼ 고양이는 무슨 ∼에 속하느냐. |
376 | 保 | 保 | 保 | 保 | 지킬 보; ⼈-총9획; [bǎo] 지키다, 편안하게 하다, 돕다 【명사】 ① 보증. ∼를 서다. ② 보증인(人). |
377 | 則 | 则 | 則 | 則 | 법칙 칙{곧 즉,본받을 측}; ⼑-총9획; [zé] 법칙, 곧, 법, 본받다, 모범으로 삼다 |
378 | 信 | 信 | 信 | 信 | 믿을 신; ⼈-총9획; [xìn] 믿다, 진실, 분명히 하다 【명사】 오상(五常)의 하나. 믿음성이 있고 성실함. |
379 | 省 | 省 | 省 | 省 | 살필 성; ⽬-총9획; [shěng,xǐng] 살피다, 분명하다, 깨닫다 |
380 | 風 | 风 | 風 | 風 | 바람 풍; ⾵-총9획; [fēng] 바람, 불다, 바람이 불다, 바람을 쐬다 【명사】 ‘허풍’의 준말. 그놈은 밤낮 ∼만 떨고 다닌다 워낙 ∼이 센 사람이라 통 믿을 수가 없다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81 | 持 | 持 | 持 | 持 | 가질 지; ⼿-총9획; [chí] 가지다, 보전하다, 보존하다, 지키다, 유지하다 |
382 | 約 | 约 | 約 | 約 | 묶을 약; ⽷-총9획; [yuē,yāo] 묶다, 다발 짓다, 합치다, 따르다, 약속하다 【명사】 화투에서, 풍약이나 비약·초약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. |
383 | 神 | 神 | 神 | 神 | 귀신 신; ⽰-총10획; [shén] 귀신, 불가사의한 것, 정신, 【명사】 ① 종교의 대상으로 우주를 주재하는 초인간적·초자연적인 존재. ∼의 조화. ② 귀신. ③ ⦗기⦘ 하나님. ♣ 신(이) 내리다 【관용구】 신이 무당에게 붙어 영적(靈的)인 행동을 하다. |
384 | 甚 | 甚 | 甚 | 甚 | 심할 심; ⽢-총9획; [shèn,shén,shí] 성하다, 정도에 지나치다, 편안하고 즐겁다, 두텁다, 중후하다 |
385 | 飛 | 飞 | 飛 | 飛 | 날 비; ⾶-총9획; [fēi] 날다, 떨어지다, 오르다, 빨리 가다, 튀다, 넘다, 날리다, 높다, 누각 같은 것이 높이 솟아 있는 것의 형용 |
386 | 食 | 食 | 食 | 食 | 밥 식; ⾷-총9획; [shí,sì,yì] 밥, 먹을거리, 먹다, 갉다, 깨물다, 새김질하다, 식언하다, 녹봉을 받다, 식사 |
387 | 首 | 首 | 首 | 首 | 머리 수; ⾸-총9획; [shǒu] 머리, 시초(始初), 먼저, 앞 【의존명사】 ① 시나 노래를 세는 단위. 시조 한 ∼. ② 마리. 오리 한 ∼. |
388 | 故 | 故 | 故 | 故 | 옛 고; ⽁-총9획; [gù] 예, 이미 지나간 때, 옛, 예전의, 옛날의, 원래, 본래 【관형사】 이미 세상을 떠난. ∼ 김○○ 선생 추모식. |
389 | 草 | 草 | 草 | 草 | 풀 초; ⾋-총10획; [cǎo] 풀, 초원(草原), 거친 풀, 잡초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① ‘기초(起草)’의 준말. ∼를 잡다. ② ‘초서(草書)’의 준말. |
390 | 送 | 送 | 送 | 送 | 보낼 송; ⾡-총10획; [sòng] 보내다, 사람을 보내다, 물품을 보내다, 쫓다, 물러나게 하다, 다하다, 바치다, 전송, 선물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391 | 音 | 音 | 音 | 音 | 소리 음; ⾳-총9획; [yīn] 소리, 음악, 가락, 글 읽는 소리, 음신(音信), 성(姓) 【명사】 ① 귀로 느낄 수 있는 소리.② 사람이 말을 하기 위하여 내는 소리. 목소리.③ 자음(字音). |
392 | 洋 | 洋 | 洋 | 洋 | 바다 양; ⽔-총9획; [yáng] 바다, 대해(大海), 넘치다, 가득 차서 넘치다, 큰 물결, 거센 파도 【접두사】 ‘서양의’·‘서양식’의 뜻. ∼담배 ∼배추. |
393 | 紅 | 红 | 紅 | 紅 | 붉을 홍; ⽷-총9획; [hóng,gōng] 붉다, 붉은빛, 붉은 모양, 연지 【명사】‘홍색’의 준말. |
394 | 城 | 城 | 城 | 城 | 성 성; ⼟-총10획; [chéng] 성, 나라, 도읍, 구축하다, 성을 쌓다 【명사】 적을 막기 위해 높이 쌓은 큰 담이나 튼튼하게 지은 큰 건물. 또는 그런 담으로 둘러싼 지역. ∼을 지키다 ∼을 쌓다 ∼을 겹겹이 포위하다 ∼을 함락시키다. |
395 | 客 | 客 | 客 | 客 | 손 객; ⼧-총9획; [kè] 손님, 붙이다, 의탁하다, 상객(上客), 한 자리의 공경 받는 사람 【명사】 ① 찾아온 사람. 손. 낯선 ∼이 찾아오다 ② 여행길을 가는 사람. 나그네. 길 가던 ∼이 하룻밤 재워 주기를 청하다. |
396 | 屋 | 屋 | 屋 | 屋 | 집 옥; ⼫-총9획; [wū] 집, 주거, 지붕, 덮개, 수레의 덮개 【접미사】 음식점이나 상점의 상호에 붙이는 말. 부산∼. |
397 | 律 | 律 | 律 | 律 | 법 률{율}; ⼻-총9획; [lǜ] 법, 법령, 정도, 비율, 자리, 지위, 등급, 가락 【접미사】 ‘ㄴ’ 받침 이외의 받침 있는 명사 뒤에 붙어, ‘법칙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황금∼ 도덕∼. |
398 | 施 | 施 | 施 | 施 | 베풀 시; ⽅-총9획; [shī] 베풀다, 퍼지다, 널리 전하여지다, 행하다 |
399 | 急 | 急 | 急 | 急 | 급할 급; ⼼-총9획; [jí] 급하다, 갑자기(亟), 빠르다 【접두사】 ① ‘갑작스러운’의 뜻. ∼강하 ∼상승 ∼회전. ② ‘매우 급한’·‘매우 심한’의 뜻. ∼커브 ∼선무. |
400 | 星 | 星 | 星 | 星 | 별 성; ⽇-총9획; [xīng] 별, 오성(五星), 성수(星宿), 이십팔수의 범칭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01 | 帝 | 帝 | 帝 | 帝 | 임금 제; ⼱-총9획; [dì] 임금, 하느님, 오제(五帝)의 약칭 |
402 | 待 | 待 | 待 | 待 | 기다릴 대; ⼻-총9획; [dài,dāi] 기다리다, 갖추다, 대비하다, 막다, 방비하다 |
403 | 春 | 春 | 春 | 春 | 봄 춘; ⽇-총9획; [chūn] 봄, 젊은 때, 남녀(男女)의 정(情), 주로 여자가 남자를 생각하는 정 |
404 | 限 | 限 | 限 | 限 | 한계 한; ⾩-총9획; [xiàn] 한계, 지경, 경계, 구역, 규정, 제한, 끝, 기한, 문지방, 원수, 환난, 한정하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자동사】 ① 넘지 못하게 정하거나 이미 정해진 정도의 범위. 한도(限度). 사람의 욕망은 ∼이 없다 기쁘기 ∼이 없다. ② ‘제한’의 준말. 참가자는 여성에 ∼한다. |
405 | 室 | 室 | 室 | 室 | 집 실; ⼧-총9획; [shì] 집, 건물, 방, 거처 【명사】 관청·회사의 사무를 분담해서 처리하는 부서의 하나. |
406 | 香 | 香 | 香 | 香 | 향기 향; ⾹-총9획; [xīang] 향기, 향기롭다, 소리․빛․모양․맛 같은 것의 아름다움 【명사】 ① 향내를 풍기는 물건. ② 제전(祭奠)에 피우는 향내 나는 물건. ∼을 피우다. |
407 | 退 | 退 | 退 | 退 | 물러날 퇴; ⾡-총10획; [tuì] 물러나다, 그만두다, 피하다, 떠나가다, 돌아가다, 옮기다, 겸양하다, 뉘우치다 【명사】 ① 물림2. ② ‘툇마루’의 준말.③ ‘툇간’의 준말. |
408 | 祖 | 祖 | 祖 | 祖 | 조상 조; ⽰-총10획; [zǔ] 조상, 사당, 할아비 【접미사】 ‘대(代)’ 뒤에 붙어, ‘조상’의 뜻을 나타냄. 육 대∼ 칠 대∼. |
409 | 威 | 威 | 威 | 威 | 위엄 위; ⼥-총9획; [wēi] 위엄, 두려워하다, 으르다, 협박하다 |
410 | 洞 | 洞 | 洞 | 洞 | 골 동; ⽔-총9획; [dòng] 골, 골짜기, 굴, 동굴, 비다, 공허하다 【명사】 시·구·읍을 구성하는 작은 행정 구획. |
411 | 洗 | 洗 | 洗 | 洗 | 씻을 세{깨끗할 선}; ⽔-총9획; [xǐ,xiǎn] 씻다, 낯이나 몸 등을 씻은 더러워진 물을 버리는 그릇, 깨끗하다 |
412 | 昨 | 昨 | 昨 | 昨 | 어제 작; ⽇-총9획; [zuó] 어제, 앞서 【관형사】 ‘어제’의 뜻. ∼ 15일. |
413 | 拜 | 拜 | 拝 | 拜 | 절 배; ⼿-총9획; [bài] 절, 절하다, 감사하다, 사의를 표하다, 내리다, 벼슬을 내리다 【명사】 ‘배상(拜上)’의 준말. 박문수 ∼. |
414 | 秋 | 秋 | 秋 | 秋 | 가을 추; ⽲-총9획; [qīu] 가을, 결실, 성숙한 때, 결실한 때 |
415 | 厚 | 厚 | 厚 | 厚 | 두터울 후; ⼚-총9획; [hòu] 두텁다, 두터이 하다, 두터이 |
416 | 追 | 追 | 追 | 追 | 쫓을 추; ⾡-총10획; [zhuī] 쫓다, 내쫓다, 목적한 데에 이르다, 따르다, 이루다, 완수하다, 구(救)하다, 돕다 |
417 | 皆 | 皆 | 皆 | 皆 | 개皆 다 개; ⽩-총9획; [jiē] 다, 모두, 두루 미치다, 함께 |
418 | 勇 | 勇 | 勇 | 勇 | 날쌜 용; ⼒-총9획; [yǒng] 날쌔다, 과감하다, 결단력이 있다 |
419 | 恨 | 恨 | 恨 | 恨 | 한할 한; ⼼-총9획; [hèn] 한하다, 원통하다, 원망스럽게 생각하다, 뉘우치다, 억울하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① 억울하고 원통한 일이 풀리지 못하고 응어리져 맺힌 마음. 원한(怨恨). 천추의 ∼ ∼을 품다 ∼이 맺히다 ∼을 달래다 |
420 | 皇 | 皇 | 皇 | 皇 | 임금 황; ⽩-총9획; [huáng] 임금, 천자, 또는 상제에 관한 사물 위에 붙이는 말, 천제(天帝), 만물의 주재자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21 | 怒 | 怒 | 怒 | 怒 | 성낼 노; ⼼-총9획; [nù] 성내다, 화내다, 성, 화, 힘쓰다, 떨쳐 일어나다 |
422 | 俗 | 俗 | 俗 | 俗 | 풍속 속; ⼈-총9획; [sú] 풍속, 바라다, 잇다 |
423 | 祝 | 祝 | 祝 | 祝 | 빌 축; ⽰-총10획; [zhù] 빌다, 기원하다, 신(神)을 섬기는 일을 업(業)으로 하는 사람, 사내 무당, 박수 【명사】 ‘축문(祝文)’의 준말. |
424 | 拾 | 拾 | 拾 | 拾 | 주울 습; ⼿-총9획; [shí,shě,shè] 줍다, 칼집, 팔찌 |
425 | 柳 | 柳 | 柳 | 柳 | 버들 류{유}; ⽊-총9획; [liǔ] 버들, 버드나무의 총칭, 별자리 이름, 모이다 |
426 | 泉 | 泉 | 泉 | 泉 | 샘 천; ⽔-총9획; [quán] 샘, 땅속에서 솟는 물, 돈 |
427 | 柔 | 柔 | 柔 | 柔 | 부드러울 유; ⽊-총9획; [róu] 부드럽다, 성질이 화평하고 순하다, 약하다, 여리다, 무르다, 좇다, 복종하다 |
428 | 哀 | 哀 | 哀 | 哀 | 슬플 애; ⼝-총9획; [āi] 슬프다, 슬퍼하다, 불쌍히 여기다 |
429 | 怨 | 怨 | 怨 | 怨 | 원망할 원; ⼼-총9획; [yuàn] 원망하다, 슬퍼하다, 한탄하다, 미워하다 【명사】 ‘원한’의 준말. |
430 | 逆 | 逆 | 逆 | 逆 | 거스를 역; ⾡-총10획; [nì] 거스르다, 배반하다, 어기다, 어지러워지다, 맞이하다, 마중하다, 불러들이다, 받다, 거절하다, 오는 것을 막다 【명사】 ① 반대 또는 거꾸로임. ∼으로 말하면 이렇다. ② ⦗철⦘ 어떤 정리의 가정과 결론을 뒤바꾸어 얻은 정리. ∼도 또한 참이다.③ ⦗수⦘ A의 B에 대한 관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 그 거꾸로 되는 B의 A에 대한 관계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31 | 個 | 个 | 個 | 個 | 낱 개; ⼈-총10획; [gè,gě] 낱, 개, 낱으로 된 물건의 수효를 세는 단위 【의존명사】 낱으로 된 물건의 수효를 세는 말. 사탕 한 ∼ 밤 두 ∼. |
432 | 時 | 时 | 時 | 時 | 때 시; ⽇-총10획; [shí] 때, 때에, 때맞추다, 때를 어기지 아니하다 【명사】 ① 사람이 태어난 시각. ② 때¹. ∼를 잘 만나다. 【의존명사】 ① 시간의 단위. 하루의 1/24. 지금 몇 ∼냐 ② (일부 명사나 ‘―을’ 뒤에 쓰여) 어떤 일·현상이 일어난 때나 경우. 차량 운전 ∼ 휴대 전화 사용을 금함 |
433 | 能 | 能 | 能 | 能 | 능할 능; ⾁-총10획; [néng] 능하다, 잘하다,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, 미치다 【명사】 ① 재능. 놀고먹는 게 ∼이 아니다. ② 능력. |
434 | 家 | 家 | 家 | 家 | 집 가; ⼧-총10획; [jiā,gū,jiȧ,jiė] 집, 건물, 집 안, 지아비 【명사】 ⦗법⦘ 같은 호적에 들어 있는 친족 집단. |
435 | 起 | 起 | 起 | 起 | 일어날 기; ⾛-총10획; [qǐ] 일어나다, 날아오르다, 내닫다, 가다, 기동하다, 분기(奮起)하다, 출세하다, 일으키다, 기용하다, 파견하다, 병을 고치다, 소생시키다, 세우다 【명사】 ① 한시(漢詩)의 첫째 구(句). ② 논설문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부분. |
436 | 高 | 高 | 高 | 高 | 높을 고; ⾼-총10획; [gāo] 높다, 높아지다, 뽐내다 【명사】 높이. |
437 | 氣 | 气 | 気 | 氣 | 기운 기; ⽓-총10획; [qì] 기운, 공기, 대기, 숨, 숨 쉴 때 나오는 기운 【명사】 ① 활동하는 힘. 또는 뻗어 나가는 기운. ∼가 세다 ∼가 살다 ∼가 왕성하다 ∼를 꺾다 ∼가 죽다 ② 숨 쉴 때 나오는 기운. ∼가 막히다 ∼가 통하다. ③ 막연한 전체적인 느낌. 분위기. 살벌한 ∼가 돌다. ④ ⦗철⦘ 동양 철학에서, 만물을 생성하는 근원이 되는 기운. 원기(元氣). *이기(理氣). ♣ 기(가) 꺾이다 【관용구】 기세가 수그러지다. ♣ 기(가) 차다 【관용구】 하도 어이가 없어 말이 나오지 않다. 기가 차서 말을 못하겠다. |
438 | 原 | 原 | 原 | 原 | 근원 원; ⼚-총10획; [yuán] 근원, 들, 벌판, 용서하다 【접두사】 ‘본디·시초’의 뜻. ∼주인 ∼작자 ∼자재 ∼주민. |
439 | 展 | 展 | 展 | 展 | 펼 전; ⼫-총10획; [zhǎn] 펴다, 늘이다, 발달하다 【접미사】 ‘전람회’·‘전시회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사진∼ 미술∼. |
440 | 通 | 通 | 通 | 通 | 통할 통; ⾡-총11획; [tōng,tǒng] 통하다, 꿰뚫다, 두루 미치다, 걷다, 보급되다, 탈 없이 통하다, 환히 비치다 【명사】 ⦗역⦘ 과거(科擧) 강서과(講書科)의 성적을 매기던 다섯 등급의 둘째《순(純)·통(通)·약(略)·조(組)·불(不)》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41 | 華 | 华 | 華 | 華 | 꽃 화; ⾋-총12획; [huá,huà] 꽃, 꽃이 피다, 색채, 빛 |
442 | 特 | 特 | 特 | 特 | 수컷 특; ⽜-총10획; [tè] 수컷, 세 살이나 네 살 난 짐승, 한 마리의 희생 |
443 | 書 | 书 | 書 | 書 | 쓸 서; ⽈-총10획; [shū] 쓰다, 글씨를 쓰다, 기록하다, 글자, 문자, 글씨, 서법 |
444 | 馬 | 马 | 馬 | 馬 | 말 마; ⾺-총10획; [mǎ] 말, 산가지, 투호(投壺)를 할 때 득점을 세는 물건, 크다, 큰 것의 비유 【명사】 ‘馬’ 자를 새긴 장기짝. |
445 | 造 | 造 | 造 | 造 | 지을 조; ⾡-총11획; [zào] 짓다, 만들다, 세우다, 꾸미다, 조작하다 |
446 | 流 | 流 | 流 | 流 | 흐를 류{유}; ⽔-총9획; [liú] 흐르다, 물이 낮은 데로 흐르다, 떠내려가다, 시간이 지나가다, 흘러내리다, 흘리다, 물이나 눈물이 흐름, 흐름, 흘러가는 물 【접미사】 어떤 사람·유파의 특유한 방식·경향의 뜻. 자기∼ 영국∼. |
447 | 記 | 记 | 記 | 記 | 기록할 기; ⾔-총10획; [jì] 기록하다, 적다, 외다, 기억하다, 문서, 글, 교서, 상주하는 글 【명사】 한문 문체의 하나《사적(事蹟)과 경치를 적은 글》. |
448 | 根 | 根 | 根 | 根 | 뿌리 근; ⽊-총10획; [gēn] 뿌리, 뿌리박다, 뿌리째 뽑아 없애다 【명사】 ① 부스럼 속에서 곪아 단단하게 된 망울. ∼이 빠지다. ② ⦗식⦘ 뿌리. ③ ⦗화⦘ 기(基). ④ ⦗수⦘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미지수의 값. ⑤ ⦗수⦘ 거듭제곱근. |
449 | 料 | 料 | 料 | 料 | 되질할 요{료}; ⽃-총10획; [liào] 되질하다, 세다, 헤아리다, 생각하다 |
450 | 連 | 连 | 連 | 連 | 잇닿을 연{련}; ⾡-총11획; [lián] 잇닿다, 이어지다, 계속되다, 맺다, 연결하다, 길다, 모이다, 끌다, 늘어세우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51 | 師 | 师 | 師 | 師 | 스승 사; ⼱-총10획; [shī] 스승, 전문적인 기예를 닦는 사람, 스승으로 삼다 【명사】 ① 스승. ② ‘사괘(師卦)’의 준말. |
452 | 校 | 校 | 校 | 校 | 학교 교; ⽊-총10획; [xiào,jiào] 학교, 본받다, 가르치다 【의존명사】 인쇄 교정(校正)의 횟수를 나타내는 말. 4∼를 보면 OK다. |
453 | 席 | 席 | 席 | 席 | 자리 석; ⼱-총10획; [xí] 자리, 깔다, 앉음새 【접미사】 ‘자리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경로∼ 내빈∼ |
454 | 病 | 病 | 病 | 病 | 병 병; ⽧-총10획; [bìng] 병, 질병, 흠, 하자, 근심,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, 괴로워하다, 어려워하다, 피곤하다, 원망하다, 괴롭히다, 비방하다, 욕보이다, 책망하다 【명사】 ① 생물체의 전신 또는 일부분에 기능 장애가 생겨 고통을 느끼는 상태. 불치의 ∼ ∼이 나다 ∼이 낫다 ② 사물에 생기는 탈. 고장. ③ ‘병집’의 준말. 술을 너무 좋아하는 게 ∼이다 ④ (일부 명사 뒤에 붙어) ‘질병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눈∼ 위장∼. ∘ [속담][병 주고 약 준다] 해를 입힌 뒤에 어루만진다는 뜻으로, 교활하고 음흉한 자의 행동을 비유한 말. |
455 | 笑 | 笑 | 笑 | 笑 | 웃을 소; ⽵-총10획; [xiào] 웃다, 꽃이 피다, 개가 사람을 반겨 짖는 소리 |
456 | 除 | 除 | 除 | 除 | 섬돌 제; ⾩-총10획; [chú] 섬돌, 길, 도로, 뜰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① ⦗수⦘ ‘제법(除法)’의 준말. ② ‘제거(除去)’의 준말. |
457 | 速 | 速 | 速 | 速 | 빠를 속; ⾡-총11획; [sù] 빠르다, 빨리 하다, 빨리 |
458 | 害 | 害 | 害 | 害 | 해칠 해; ⼧-총10획; [hài] 해치다, 손해, 훼방하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이롭지 못하거나 손상시킴. 또는 그런 것. ∼를 입다 건강에 ∼가 된다 |
459 | 消 | 消 | 消 | 消 | 사라질 소; ⽔-총10획; [xiāo] 사라지다, 빠지다, 모자라다, 쇠하다, 약해지다 |
460 | 破 | 破 | 破 | 破 | 깨뜨릴 파; ⽯-총10획; [pò] 깨뜨리다, 풀어 떨어지게 하다, 일을 망치다, 째다, 가르다, 지우다, 패배시키다, 깨짐, 깨지는 일, 다하다, 남김이 없다 【명사】 ① 깨어지거나 상한 물건. ∼가 나다. ② 사람의 결점. ∼를 잡다. ③ ⦗민⦘ 풍수지리에서, 혈(穴) 안의 물이 흘러간 곳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61 | 容 | 容 | 容 | 容 | 얼굴 용; ⼧-총10획; [róng] 얼굴, 모양, 모습, 몸가짐, 담다, 그릇 안에 넣다 |
462 | 修 | 修 | 修 | 修 | 닦을 수; ⼈-총10획; [xiū] 닦다, 다스리다, 고치다 |
463 | 效 | 效 | 効 | 效 | 본받을 효; ⽁-총10획; [xiào] 본받다, 본받아 배우다, 주다, 수여(授與)하다, 드리다, 바치다 |
464 | 留 | 留 | 留 | 留 | 머무를 유{류}; ⽥-총10획; [liú] 머무르다, 기다리다, 변하지 아니하다, 지체하다, 머뭇거리다, 오래다 |
465 | 致 | 致 | 致 | 致 | 보낼 치; ⾄-총10획; [zhì] 보내다, 전송해 보내다, 돌려 바치다, 바치다, 내던지다, 맡기다, 전하다, 끌어들이다 |
466 | 財 | 财 | 財 | 財 | 재물 재; ⾙-총10획; [cái] 재물, 녹(祿), 마르다, 처리하다 【명사】 ① 보배. 재산. ② 가재(家財). ③ 인간의 욕망을 만족시킬 수 있는 물건. |
467 | 旅 | 旅 | 旅 | 旅 | 군사 여{려}; ⽅-총10획; [lǔ] 군사, 500명을 1대(隊)로 하는 군제(軍制), 무리, 많은 사람, 많은, 많이 |
468 | 益 | 益 | 益 | 益 | 더할 익; ⽫-총10획; [yì] 더하다, 증가, 느는 일, 유익하다 |
469 | 素 | 素 | 素 | 素 | 흴 소; ⽷-총10획; [sù] 희다, 흰빛, 생명주, 한 빛깔의 무늬가 없는 피륙, 기물에 장식이 없는 것도 이른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자동사】 ① 흰 빛의 비단. ② 흰 빛. ③ 꾸미지 않고 수수한 것. ④ 음식에 고기나 생선을 쓰지 않고 채소류만으로 만든 음식. ∼로 끓인 콩나물국. |
470 | 恩 | 恩 | 恩 | 恩 | 은혜 은; ⼼-총10획; [ēn] 은혜, 사랑하다, 예쁘게 여기다, 인정, 동정 【명사】 ‘은공·은덕·은혜’의 준말. |
471 | 酒 | 酒 | 酒 | 酒 | 술 주; ⾣-총10획; [jiǔ] 술, 누룩으로 빚은 술, 무술, 현주(玄酒), 잔치, 주연(酒宴) 【접미사】 ‘술’의 뜻. 포도∼ 과실∼ 인삼∼. |
472 | 降 | 降 | 降 | 降 | 내릴 강{항복할 항}; ⾩-총9획; [jiàng,xiáng] 내리다, 항복하다, 적에게 굴복하다, 항복받다, 크게 |
473 | 案 | 案 | 案 | 案 | 책상 안; ⽊-총10획; [àn] 책상, 앉을 때에 몸을 기대는 방석, 소반, 밥상 【명사】 ① ‘안건’의 준말. 첫 번째 ∼을 표결에 부치다. ② 앞을 막는 산·고개 또는 담·벽 등의 총칭. ③ 생각. 고안. 좋은 ∼이 있다. |
474 | 紙 | 纸 | 紙 | 紙 | 종이 지; ⽷-총10획; [zhǐ] 종이, 장, 종이를 세는 말 【접미사】 ① 어떤 명사의 뒤에 붙어 ‘종이’의 뜻을 나타냄. 포장∼ 원고∼. ② ‘신문’의 뜻을 나타냄. 조간∼ 일간∼ 주간∼. |
475 | 借 | 借 | 借 | 借 | 빌 차; ⼈-총10획; [jiè] 빌다, 빌리다, 돕다, 가령 |
476 | 殺 | 杀 | 殺 | 殺 | 죽일 살; ⽎-총11획; [shā,shài] 죽이다, 죽다, 베다 |
477 | 射 | 射 | 射 | 射 | 궁술사; ⼨-총10획; [shè] 궁술, 사궁(射宮)의 약칭 【명사】 육예(六藝)의 하나로 활을 쏘는 법. 사예(射藝). |
478 | 針 | 针 | 針 | 針 | 바늘 침; ⾦-총10획; [zhēn] 바늘, 바느질하다, 재봉하다, 침놓다, 침으로 찌르다 【명사】 ① 바늘. ② 시계의 바늘. 시계 ∼. 식⦘ 가시¹1. |
479 | 烈 | 烈 | 烈 | 烈 | 세찰 열{렬}; ⽕-총10획; [liè] 세차다, 위엄, 맵다, 강하고 곧다 |
480 | 訓 | 训 | 訓 | 訓 | 가르칠 훈; ⾔-총10획; [xùn] 가르치다, 인도하다, 경계하다 【명사】 한자(漢字)의 새김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481 | 夏 | 夏 | 夏 | 夏 | 여름 하; ⼢-총10획; [xià] 여름, 약초 이름, 안거(安居), 승려가 90일간을 좌선 수행하는 일 【명사】 ⦗역⦘① 중국 전설상의 최고(最古)의 왕조. 우(禹)가 순제(舜帝)로부터 양위를 받아 세운 나라. ② 오호 십육국(五胡十六國)의 하나. |
482 | 骨 | 骨 | 骨 | 骨 | 뼈 골; ⾻-총10획; [gǔ,gū] 뼈, 됨됨이, 굳다, 강직(剛直)하다 |
483 | 孫 | 孙 | 孫 | 孫 | 손자 손; ⼦-총10획; [sūn] 손자, 자손, 후손, 움, 새싹 【명사】 ‘후손(後孫)’의 준말. ∼이 귀한 집 ∼이 끊기다. |
484 | 庭 | 庭 | 庭 | 庭 | 뜰 정; ⼴-총10획; [tíng] 뜰, 집 안에 있는 마당, 집 안, |
485 | 島 | 岛 | 島 | 島 | 섬 도; ⼭-총10획; [dǎo] 섬 【접미사】 ‘섬’의 뜻. 제주∼ 강화∼. |
486 | 弱 | 弱 | 弱 | 弱 | 약할 약; ⼸-총10획; [ruò] 약하다, 약한 자, 약해지다, 쇠해지다 |
487 | 徒 | 徒 | 徒 | 徒 | 무리 도; ⼻-총10획; [tú] 무리, 동아리, 걷다, 보병(步兵) 【접미사】 일부 명사 뒤에 붙어, ‘사람·무리’의 뜻. 법학∼ 화랑∼. |
488 | 浪 | 浪 | 浪 | 浪 | 물결 랑{낭}; ⽔-총10획; [làng] 물결, 파도, 물결이 일다, 파도가 일다, 방자하다, 삼가지 아니하다 |
489 | 純 | 纯 | 純 | 純 | 생사 순; ⽷-총10획; [chún] 생사(生絲), 실, 순색의 비단, 순수하다, 섞임이 없다 【관형사】 잡물이 섞이지 않은. 순수한. 순전한. ∼ 살코기 ∼ 한국식. |
490 | 乘 | 乘 | 乗 | 乘 | 승乘 탈 승; ⼃-총10획; [chéng,shèng] 타다, 오르다, 업신여기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⦗수⦘① ‘승법(乘法)’의 준말. ② ‘곱하기’의 구용어. |
491 | 耕 | 耕 | 耕 | 耕 | 밭갈 경; ⽾-총10획; [gēng] 밭 갈다, 논밭을 갈다, 고르다, 평평하게 하다, 농사에 힘쓰다 |
492 | 悟 | 悟 | 悟 | 悟 | 깨달을 오; ⼼-총10획; [wù] 깨닫다, 도리를 알다, 진리를 체득하다, 깨달음, 총명하다 |
493 | 泰 | 泰 | 泰 | 泰 | 클 태; ⽔-총10획; [tài] 크다, 넉넉하다, 편안하다, 편안하고 자유롭다 【명사】 ① ‘태괘(泰卦)’의 준말. ② ⦗지⦘ ‘태국(泰國)’의 준말. |
494 | 浮 | 浮 | 浮 | 浮 | 뜰 부; ⽔-총10획; [fú] 뜨다, 둥실둥실 떠 움직이다, 떠오르다 |
495 | 胸 | 胸 | 胸 | 胸 | 가슴 흉; ⾁-총10획; [xiōng] 가슴, 가슴속, 마음, 앞, 앞쪽 |
496 | 栽 | 栽 | 栽 | 栽 | 심을 재; ⽊-총10획; [zāi] 심다, 가꾸다, 묘목, 어린 싹 |
497 | 勉 | 勉 | 勉 | 勉 | 힘쓸 면; ⼒-총9획; [miǎn] 힘쓰다, 권하다, 억지로 하게 하다, 강요하다 |
498 | 眠 | 眠 | 眠 | 眠 | 잠잘 면; ⽬-총10획; [mián] 잠자다, 조수(鳥獸)가 쉬다, 시들다, 지각이 없다, 모르다, 어지럽다 |
499 | 浴 | 浴 | 浴 | 浴 | 목욕할 욕; ⽔-총10획; [yù] 목욕하다, 물로 몸을 씻다, 목욕, 미역, 목욕을 시키다, 목욕하게 하다 |
500 | 國 | 国 | 国 | 國 | 나라 국; ⼞-총11획; [guó] 나라, 서울, 나라를 세우다 【접미사】 ‘나라’의 뜻. 공화∼ 약소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01 | 得 | 得 | 得 | 得 | 얻을 득; ⼻-총11획; [dé,dė,děi] 얻다, 이익, 이득, 덕) 【명사】 소득이나 이득. ∼을 보다 ∼보다 실이 많다. ↔실(失). |
502 | 動 | 动 | 動 | 動 | 움직일 동; ⼒-총11획; [dòng] 움직이다, 나다, 살다, 살아나다, 변하다 |
503 | 都 | 都 | 都 | 都 | 도읍 도; ⾢-총12획; [dū,dōu] 도읍, 서울, 채지(采地), 제후(諸侯)의 하읍(下邑) 【접두사】 ‘우두머리’의 뜻. ∼편수 ∼목수 ∼원수. |
504 | 進 | 进 | 進 | 進 | 나아갈 진; ⾡-총12획; [jìn] 나아가다, 벼슬하다, 전진하다, 힘쓰다, 움직이다, 이기다, 선(善)으로 나아가다 |
505 | 著 | 着 | 著 | 著 | 분명할 저; ⾋-총13획; [zhù,zhuó] 분명하다, 드러나다, 분명하다, 나타내다, 분명하게 하다, 짓다, 저술하다 【명사】 ‘저술’의 준말. |
506 | 部 | 部 | 部 | 部 | 거느릴 부; ⾢-총11획; [bù] 거느리다, 나누다, 분류(分類) 【명사】 ① 우리나라의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《접미사적으로도 씀》. 각 ∼의 장관 보건 복지∼.② 관청·회사 따위의 업무 조직의 한 구분《접미사적으로도 씀》. 총무∼ 【의존명사】 ① 사물을 여러 갈래로 나누었을 때의 하나. 소설의 제1∼.② 책이나 신문 따위를 세는 단위. 5,000∼ 한정판. |
507 | 問 | 问 | 問 | 問 | 물을 문; ⼝-총11획; [wèn] 묻다, 물음, 질문, 알리다, 고하다 【명사】 물음. 문제. ↔답(答). |
508 | 從 | 从 | 従 | 從 | 좇을 종; ⼻-총11획; [cóng] 좇다, 순직하다, 숙부드럽다, 나아가다 |
509 | 現 | 现 | 現 | 現 | 나타날 현; ⽟-총11획; [xiàn] 나타나다, 나타내다, 밝다, 【명사】 ‘현세(現世)’의 준말. |
510 | 著 | 著 | 著 | 著 | 분명할 저; ⾋-총13획; [zhù,zhuó] 분명하다, 드러나다, 분명하다, 나타내다, 분명하게 하다, 짓다, 저술하다 【명사】 ‘저술’의 준말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11 | 理 | 理 | 理 | 理 | 다스릴 리; ⽟-총11획; [lǐ] 다스리다, 옥을 갈다, 바루다, 통하다, 재판하다, 처리하다, 손질하다, 구별하다 【의존명사】 어미 ‘―ㄹ’ 뒤에 붙어, ‘까닭·이치’의 뜻으로 쓰는 말《반드시 부정이나 반문하는 말로 뒤가 이어짐》. 올 ∼가 없다 그 회사가 망할 ∼가 있나. |
512 | 第 | 第 | 第 | 第 | 차례 제; ⽵-총11획; [dì] 차례, 숫자 위에 붙여 써서 차례를 나타내는 말, 차례를 정하다, 등급을 매기다 【접두사】 한자어 수사 앞에 붙어, 차례의 몇 째를 가리키는 말. ∼일 과 ∼이 전선. |
513 | 將 | 将 | 将 | 將 | 장차 장; ⼨-총11획; [jiāng,jiàng] 장차, 막-하려 한다, 마땅히-하여야 한다, 어찌(何), 오히려 【명사】 ① 장수(將帥). ② 장기에서 ‘초(楚)’·‘한(漢)’ 자를 새긴 짝. ③ ‘장군²(將軍)?’의 준말. ∼을 부르다. |
514 | 情 | 情 | 情 | 情 | 뜻 정; ⼼-총11획; [qíng] 뜻, 정, 본성(本性) 【명사】 ①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. 감사의 ∼을 표하다 연민의 ∼을 느끼다 ② 사랑이나 친근감을 느끼는 마음. 부부간의 ∼이 들다 ⦗심⦘ 마음을 이룬 두 요소 중의 하나. 곧, 이지적인 요소에 대해 극히 감동적인 요소. [속담][정에서 노염이 난다] 정다울수록 예의를 지켜야 한다. ♣ 정을 쏟다 【관용구】 정성을 다해 아끼고 사랑하다. 애정을 기울이다. 늦게 얻은 자식이라 유난히 ∼. ♣ 정을 통하다 【관용구】 부부 사이가 아닌 남녀가 부도덕한 육체관계를 맺다. |
515 | 常 | 常 | 常 | 常 | 항상 상; ⼱-총11획; [cháng] 항상, 법, 전법, 불변의 도, 사람으로서 행해야 할 도 |
516 | 接 | 接 | 接 | 接 | 사귈 접; ⼿-총11획; [jiē] 사귀다, 교제하다, 엇갈리다, 교차하다, 흘레하다 【명사】 ⦗역⦘ ① 글방 학생이나 과거에 응하던 유생(儒生)의 동아리.② 보부상(褓負商)의 동아리.③ 포¹(包)3. |
517 | 設 | 设 | 設 | 設 | 베풀 설; ⾔-총11획; [shè] 베풀다, 진열하다, 세우다, 설립하다, 설비하다, 주연, 연회, 설비, 베풀어 둔 것 |
518 | 許 | 许 | 許 | 許 | 허락할 허; ⾔-총11획; [xǔ] 허락하다, 받아들이다, 승인하다, 가담하다, 약속하다, 맡기다, 진실을 인정하다 【접미사】 ① 그쯤 되는 곳. 십 리∼ 떨어진 곳. ② 평교(平交) 이하의 사람에 대한 편지나 적발에서, 성명 뒤에 써서 ‘앞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|
519 | 務 | 务 | 務 | 務 | 일 무; ⼒-총11획; [wù] 일, 힘쓰다, 힘써 하다, 힘쓰게 하다, 권장하다 |
520 | 基 | 基 | 基 | 基 | 터 기; ⼟-총11획; [jī] 터, 기초, 업, 사업, 꾀, 꾀하다 【명사】 ⦗화⦘ 화학 반응에서, 다른 화합물로 변화할 때 분해되지 않고 마치 한 원자처럼 작용하는 원자단《메틸기·히드록시기 따위》. 【의존명사】 ① 무덤·비석·탑 따위를 세는 단위. ② 원자로·유도탄 따위를 세는 단위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21 | 深 | 深 | 深 | 深 | 깊을 심; ⽔-총11획; [shēn] 깊다, 깊게 하다, 깊이, 매우 |
522 | 處 | 处 | 処 | 處 | 살 처; ⾌-총11획; [chù,chǔ] 살다, 머물러 있다, 남아서 지키다, 묵다, 쉬다, 마음을 두다, 거처하다,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, 집에 있다, 야(野)에 있다, 벼슬을 하지 않다 【명사】 ① 중앙 관서의 하나《법제처·국가 보훈처 따위》. ② 육군의 사단급 이상 사령부의 참모 부서의 이름《작전처·인사처 따위》. ③ 대학 따위의 조직에서, 일정한 사무를 보는 부서를 분류하는 단위의 하나《교무처·학생처 따위》. |
523 | 眼 | 眼 | 眼 | 眼 | 눈 안; ⽬-총11획; [yǎn] 눈, 눈구멍, 눈매, 보다, 보는 일, 구멍 |
524 | 望 | 望 | 望 | 望 | 바랄 망; ⽉-총11획; [wàng] 바라다, 기대하다, 원하다, 멀리 내다보다, 향하여 보다, 기다리다, 우러러보다 【명사】 ① 상대편의 동태를 알기 위해 멀리서 동정을 살피는 일. ∼을 보다 ∼을 세우다. ② 명망(名望). ③ ⦗역⦘ 천망(薦望). ♣ 망에 들다 【관용구】 후보자로 지목되어 삼망(三望) 안에 끼이다. 망이 돌다. ♣ 망(을) 서다 【관용구】 일정한 곳에서 동정을 살피다. ┈┈∘ 오늘 밤은 내가 망을 서야겠다. |
525 | 商 | 商 | 商 | 商 | 헤아릴 상; ⼝-총11획; [shāng] 헤아리다, 장사, 이익을 얻기 위해 물건을 팔고 사는 행위, 장사하다 【명사】 ① ⦗수⦘ ‘몫’의 구용어. ↔적(積). ② ⦗악⦘ 동양 음악의 오음(五音)의 하나. 곧, 궁(宮)을 주음(主音)으로 하여 둘째 음. ③ ‘상업’의 준말. |
526 | 習 | 习 | 習 | 習 | 익힐 습; ⽻-총11획; [xí] 익히다, 되풀이하여 행하다, 연습하다, 배우다, 닦다, 숙달하다, 익다, 손에 익다 |
527 | 參 | 参 | 参 | 參 | 간여할 참; ⼛-총11획; [cān,cēn,shēn] 간여하다, 셋(三), 섞이다, 뒤섞다 |
528 | 婚 | 婚 | 婚 | 婚 | 혼인할 혼; ⼥-총11획; [hūn] 혼인하다, 아내의 친정, 또는 아내의 친정 살붙이 |
529 | 球 | 球 | 球 | 球 | 공 구; ⽟-총11획; [qiú] 공(毬), 아름다운 옥, 경(磬), 옥으로 만든 경 【명사】 ① 공같이 둥글게 생긴 물체. ② ⦗수⦘ 구면(球面)으로 둘러싸인 입체. |
530 | 細 | 细 | 細 | 細 | 가늘 세; ⽷-총11획; [xì] 가늘다, 미미하다, 작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31 | 推 | 推 | 推 | 推 | 옮을 추; ⼿-총11획; [tuī] 옮다, 변천하다, 천거하다, 추천하다, 받들다 |
532 | 族 | 族 | 族 | 族 | 겨레 족; ⽅-총11획; [zú] 겨레, 가계(家系), 무리, 동류(同類) 【접미사】 ① 겨레의 뜻. 여진∼ 거란∼.② 같은 동아리나 부류의 사람을 뜻하는 말. 히피∼ 제비∼. |
533 | 船 | 船 | 船 | 船 | 배 선; ⾈-총11획; [chuán] 배, 옷깃 【접미사】 ‘배’의 뜻. 유조∼ 화물∼ 유람∼ 여객∼. |
534 | 魚 | 鱼 | 魚 | 魚 | 고기 어; ⿂-총11획; [yú] 고기, 물고기, 물속에 사는 동물의 범칭, 말의 이름, 양쪽 눈이 흰 말 |
535 | 婦 | 妇 | 婦 | 婦 | 며느리 부; ⼥-총11획; [fù] 며느리, 아내, 여자 【명사】 문어체에서, 아내를 이르는 말. |
536 | 黃 | 黄 | 黄 | 黃 | 누를 황; ⿈-총12획; [huáng] 누르다, 누른 빛, 누레지다, 어린아이 【명사】 ① ‘황색’의 준말. ② ⦗한의⦘ 우황·구보(狗寶) 등이 들어 있는 한약을 이름. ③ 보리나 밀의 줄기에 누렇게 내리는 병적인 가루. |
537 | 視 | 视 | 視 | 視 | 볼 시; ⾒-총12획; [shì] 보다, 자세히 살피다, 조사하여 보다, 맡아보다, 주관하다, 본받다, 문안하다, 대우(待遇)하다, 대접하다, 돌보다, 기르다 【접미사】 ‘그렇게 여김’·‘그렇게 봄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등한∼ 백안∼ 중요∼. |
538 | 責 | 责 | 責 | 責 | 꾸짖을 책; ⾙-총11획; [zé] 꾸짖다, 요구하다, 꾸지람하다, 따져 밝히다, 규명하다, 바라다, 권장하다, 책임, 해야 할 임무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① ‘책임’의 준말. ② ‘책망(責望)’의 준말. |
539 | 密 | 密 | 密 | 密 | 빽빽할 밀; ⼧-총11획; [mì] 빽빽하다, 촘촘하다, 조용하다, 고요하다, 깊숙하다, 그윽하다 |
540 | 貨 | 货 | 貨 | 貨 | 재화 화; ⾙-총11획; [huò] 재화, 물품, 뇌물을 주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41 | 救 | 救 | 救 | 救 | 건질 구; ⽁-총11획; [jiù] 건지다, 돕다, 구원하다, 고치다, 치료하다, 막다, 못하게 하다, 금지하다 |
542 | 終 | 终 | 終 | 終 | 끝날 종; ⽷-총11획; [zhōng] 끝나다, 다되다, 극에 이르다, 그치다, 완료되다, 미치다, 이루어지다, 차다, 죽다, 끝, 종말, 마침내, 종국에는 끝까지 |
543 | 停 | 停 | 停 | 停 | 머무를 정; ⼈-총11획; [tíng] 머무르다, 정해지다, 밀리다 |
544 | 章 | 章 | 章 | 章 | 글 장; ⽴-총11획; [zhāng] 글, 문장, 악곡의 절(節), 시문의 절(節) 【명사】 ① 문장을 몇 부분으로 크게 나눈 단락. ② 예산 편성상 구분의 하나. 장 아래에는 관·항·목 등이 있음. |
545 | 頂 | 顶 | 頂 | 頂 | 정수리 정; ⾴-총11획; [dǐng] 정수리, 머리, 꼭대기 |
546 | 假 | 假 | 仮 | 假 | 거짓 가; ⼈-총11획; [jiǎ,jià] 거짓, 임시적, 빌다 【접두사】 ① 임시적인. 시험적인. ∼건물 ∼등기 ∼매장. ② 가짜의. 거짓의. ∼문서. *진(眞)―. |
547 | 訪 | 访 | 訪 | 訪 | 찾을 방; ⾔-총11획; [fǎng] 찾다, 구하다, 방문하다, 널리 꾀하다, 묻다, 문의하다 |
548 | 野 | 野 | 野 | 野 | 들 야; ⾥-총11획; [yě] 들, 들판, 백성, 촌스럽다, 거칠다 【명사】 ‘야당’·‘민간’의 뜻. ┈┈• 여와 ∼. |
549 | 麥 | 麦 | 麦 | 麥 | 보리 맥; ⿆-총11획; [mài] 보리, 작은 매미, 묻다, 매장하다 |
550 | 唱 | 唱 | 唱 | 唱 | 노래 창; ⼝-총11획; [chàng] 노래, 부르다, 말을 꺼내다, 앞장서서 주장하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자동사】 ① 노래를 부름. 가창(歌唱). ② ⦗악⦘ 판소리나 잡가 등을 가락에 맞추어 높은 소리로 노래를 부름. 또는 그 노랫소리《판소리의 경우, ‘발림’·‘아니리’와 함께 3대 요소를 이룸》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51 | 菜 | 菜 | 菜 | 菜 | 나물 채; ⾋-총12획; [cài] 나물, 푸성귀, 반찬, 굶어서 얼굴빛이 푸른 모양 【명사】 채소·산나물·오이 따위를 양념하여 만든 반찬《온갖 나물을 가리킴》. |
552 | 堂 | 堂 | 堂 | 堂 | 집 당; ⼟-총11획; [táng] 집, 향(鄕)의 학교, 평평하다 【명사】 ① ‘당집’의 준말. ∼을 세우다. ② 대청(大廳). ③ 큰 절의 문 앞에, 그 절의 이름난 승려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세우는 기. ④ ⦗불⦘ 신불 앞에 세우는 기의 하나. ⑤ 서당. |
553 | 移 | 移 | 移 | 移 | 옮길 이; ⽲-총11획; [yí] 옮기다, 딴 데로 가다, 변하다, 나아가다, 미치다, 떠나다, 피하다, 옮기다, 모내기하다 |
554 | 異 | 异 | 異 | 異 | 다를 이; ⽥-총12획; [yì] 다르다, 딴 것, 기이하다, 뛰어나다, 달리하다, 특별하게 다루다, 의심하다 |
555 | 脫 | 脱 | 脱 | 脫 | 벗을 탈; ⾁-총11획; [tuō] 벗다, 옷을 벗다, 살이 빠지다, 여위다, 벗기다, 껍질을 벗기다 【접두사】 ‘벗어남’·‘자유로워짐’ 등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냉전 ∼공업화. |
556 | 執 | 执 | 執 | 執 | 잡을 집; ⼟-총11획; [zhí] 잡다, 지키다, 가지다 |
557 | 貧 | 贫 | 貧 | 貧 | 가난할 빈; ⾙-총11획; [pín] 가난하다, 가난, 곤궁, 가난한 사람 |
558 | 敗 | 败 | 敗 | 敗 | 깨뜨릴 패; ⽁-총11획; [bài] 깨뜨리다, 부수다, 무너지다, 부서지다, 해치다, 손상시키다 【명사】 어떤 일을 실패함. 싸움이나 승부를 가리는 경기 등에서 짐. 일방적인 ∼ 몇 차례의 ∼를 겪다. 【의존명사】 운동 경기에서, 진 횟수를 세는 단위. 1승 2∼. ↔승(勝). |
559 | 混 | 混 | 混 | 混 | 섞을 혼; ⽔-총11획; [hùn,hún] 섞다, 섞이다, 흐리다, 혼탁하다, 합하다, 맞추다 |
560 | 探 | 探 | 探 | 探 | 찾을 탐; ⼿-총11획; [tàn] 찾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61 | 盛 | 盛 | 盛 | 盛 | 담을 성; ⽫-총12획; [shèng,chéng] 담다, 채우다, 세상에 차려 놓은 음식, 바리, 주발 |
562 | 鳥 | 鸟 | 鳥 | 鳥 | 새 조; ⿃-총11획; [niǎo,diǎo] 새, 봉황, 별 이름 |
563 | 陸 | 陆 | 陸 | 陸 | 뭍 육{륙}; ⾩-총11획; [lù,liù] 뭍, 육지, 언덕, 높고 평평한 산의 꼭대기 |
564 | 陰 | 阴 | 陰 | 陰 | 응달 음; ⾩-총11획; [yīn] 응달, 음(陰), 습기, 축축함 【명사】 ① ⦗철⦘ 역학(易學)에서, 태극이 나누인 두 기운 가운데의 하나《어둠·땅·없음 등 소극적인 것을 상징함》. ② ⦗수⦘ 음수(陰數)를 나타내는 말. ③ ⦗한의⦘ 체질이나 약의 성질, 병의 증상 따위가 정적이고 차고 소극적인 것. ④ ⦗물⦘ ‘음극’의 준말. ↔양(陽). ♣ 음으로 양으로 【관용구】 남이 모르는 가운데. ┈┈∘ ∼ 도와주다. |
565 | 欲 | 欲 | 欲 | 欲 | 하고자 할 욕; ⽋-총11획; [yù] 하고자 하다, 하려고 하다, -할 것 같다, 바라다, 기대하거나 원하다 【접미사】 욕구 또는 욕망의 뜻. 명예∼ 성취∼. |
566 | 閉 | 闭 | 閉 | 閉 | 닫을 폐; ⾨-총11획; [bì] 닫다, 닫히다, 잠그다, 끊다, 단절하다, 덮다, 오므라들다, 지키다, 막다, 간직하다 |
567 | 唯 | 唯 | 唯 | 唯 | 오직 유; ⼝-총11획; [wéi] 오직, 발어사, 비록-하더라도 |
568 | 雪 | 雪 | 雪 | 雪 | 눈 설; ⾬-총11획; [xuě,xuè] 눈, 눈이 오다, 씻다, 더러움을 씻다, 누명이나 치욕을 벗다, 희다, 흰 것의 비유 |
569 | 淨 | 净 | 浄 | 淨 | 깨끗할 정; ⽔-총11획; [jìng] 깨끗하다, 정하다, 맑다, 사념이 없다, 깨끗이 하다, 악역(惡役) |
570 | 淺 | 浅 | 浅 | 淺 | 얕을 천; ⽔-총11획; [qiǎn,jiān] 얕다, 물이 얕다, 너비가 좁다, 소견, 지식이 깊지 않다, 오래지 않다 |
571 | 虛 | 虚 | 虚 | 虛 | 빌 허; ⾌-총12획; [xū] 비다, 없다, 적다, 드물다, 모자라다, 준비가 없다, 욕심이 없다, 약하다, 비워두다, 틈 【명사】 ① 허점. ∼를 찌르다〔노리다〕. ② ⦗철⦘ 실(實)에 반대되는 개념《유(有)의 반대인 무(無)와는 성격이 약간 다름》. |
572 | 惜 | 惜 | 惜 | 惜 | 아낄 석; ⼼-총11획; [xī] 아끼다, 아까워하다, 아깝다, 가엾다 |
573 | 授 | 授 | 授 | 授 | 줄 수; ⼿-총11획; [shòu] 주다, 내려지다, 받다(受) |
574 | 患 | 患 | 患 | 患 | 근심 환; ⼼-총11획; [huàn] 근심, 걱정, 고통, 재난, 병(病), 근심하다, 앓다, 병들다 |
575 | 宿 | 宿 | 宿 | 宿 | 묵을 숙; ⼧-총11획; [sù,xiǔ,xiù] 묵다, 하룻밤을 숙박하다, 머무는 집, 머무르다 |
576 | 涼 | 凉 | 涼 | 涼 | 서늘할 량; ⼎-총10획; [liáng,liàng] 서늘하다, 엷다, 맑다, 슬퍼하다, 涼의 俗字 |
577 | 晝 | 昼 | 昼 | 晝 | 낮 주; ⽇-총11획; [zhòu] |
578 | 崇 | 崇 | 崇 | 崇 | 높을 숭; ⼭-총11획; [chóng] 높다, 높게 하다, 존중하다 |
579 | 祭 | 祭 | 祭 | 祭 | 제사 제; ⽰-총11획; [jì] 제사, 제사 지내다, 사귀다, 사람과 신이 서로 접하다 【명사】 ‘제사’의 범연한 일컬음. ∼를 올리다 ∼를 지내다. |
580 | 就 | 就 | 就 | 就 | 이룰 취; ⼪-총12획; [jiù] 이루다, 나아가다, 좇다, 따르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81 | 道 | 道 | 道 | 道 | 길 도; ⾡-총13획; [dào] 길, 이치, 근원, 기능, 방법, 사상, 인의(仁義), 덕행(德行), 기예, 정령(政令), , 행정(行程), 바둑․장기에서 行馬의 길, 통하다 【명사】 ①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(道理). ∼에 어긋난 행동은 삼가야 한다. ② 종교적으로 깊이 깨달은 이치. 또는 그런 경지. ∼를 깨치다. ③ 무술이나 기예 따위를 행하는 방법. 검술에 ∼가 트이다. |
582 | 發 | 发 | 発 | 發 | 쏠 발; ⽨-총12획; [fā] 쏘다, 가다, 떠나다, 보내다, 파견하다 【의존명사】 총알·포탄·화살 따위의 수효를 나타내는 말. 한 ∼의 총알. |
583 | 過 | 过 | 過 | 過 | 지날 과; ⾡-총13획; [guò,guō,guȯ] 지나다, 초월하다, 낫다, 빠져나가다, 여유가 있다, 심하다, 동떨어지다, 실수하다, 틀리다, 분수를 잃다, 잘못하여 법을 어기다, 실수 【접두사】 ① ‘지나친·과도한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보호 ∼소비 ∼적재. ② ⦗화⦘ 산소가 과다하게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말. ∼산화물 ∼인산. |
584 | 等 | 等 | 等 | 等 | 가지런할 등; ⽵-총12획; [děng] 가지런하다, 가지런히 하다, 등급, 계단, 구분하다, 차별, 계급, 등급, 무리 【명사】 ① ‘등급’의 준말. ② 등급이나 석차를 나타내는 말《의존 명사적으로 씀》. 1∼ 삼 ∼. |
585 | 無 | 无 | 無 | 無 | 없을 무; ⽕-총12획; [wú,mó] 없다, 허무(虛無)의 도, 말라, 금지하는 말 【명사】【~하다 → 형용사】 없음. 존재하지 않음. ∼에서 유(有)를 창조하다. ↔유(有). |
586 | 然 | 然 | 然 | 然 | 그러할 연; ⽕-총12획; [rán] 그러하다, 그렇다고 여기다, 그리하여 【접미사】 (일부 명사 뒤에 붙어) ‘그것인 체함’ 또는 ‘그것인 것처럼 뽐냄’의 뜻을 나타냄. 학자∼. |
587 | 間 | 间 | 間 | 間 | 틈 간; ⾨-총12획; [jiān,xián] 틈, 閒의 俗字 【명사】 ‘칸?’의 잘못. 【의존명사】 ‘칸?’의 잘못. 〔주의〕 ‘초가삼간·윗간·육간대청’ 따위는 ‘간’임. |
588 | 量 | 量 | 量 | 量 | 헤아릴 량{양}; ⾥-총12획; [liáng,liàng] 헤아리다, 길이, 좋다 【접미사】 ‘분량’·‘수량’의 뜻《한자말 뒤에 붙음》. 생산∼ 분자∼. |
589 | 幾 | 几 | 幾 | 幾 | 기미 기; ⼳-총12획; [jǐ,jī] 기미, 낌새, 조짐, 거의, 위태하다, 위태롭다 |
590 | 最 | 最 | 最 | 最 | 가장 최; ⽈-총12획; [zuì] 가장, 제일, 모두, 모조리, 최상, 가장 뛰어난 것 【접두사】 ‘가장·제일’의 뜻. ∼첨단 ∼우수 ∼고급 ∼신식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591 | 結 | 结 | 結 | 結 | 맺을 결; ⽷-총12획; [jié,jiē] 맺다, 맺히다, 열매를 맺다, 마음에 뭉쳐있다, 사귀다, 끝내다, 완성하다, 다지다 【명사】 ‘결전(結錢)’의 준말. 【의존명사】 ⦗역⦘ 조세를 계산하기 위한 논밭의 면적 단위. 목. |
592 | 給 | 给 | 給 | 給 | 넉넉할 급; ⽷-총12획; [gěi,jǐ] 넉넉하다, 더하다, 보태다, 대다, 공급하다 |
593 | 期 | 期 | 期 | 期 | 기약할 기; ⽉-총12획; [qī,jī] 만나다, 약속에 따라 만나다, 정하다, 단단히 결심하다, 기약하다 기 (氣) |
594 | 萬 | 万 | 万 | 萬 | 일만 만; ⾋-총13획; [wàn,mò] 일만, 수의 많음을 나타내는 말, 다수, 크다 【수사】【관형사】 천의 열 배. ∼ 원짜리 돈 ∼에 하나라도 |
595 | 報 | 报 | 報 | 報 | 갚을 보; ⼟-총12획; [bào] 갚다, 갚음, 알리다 |
596 | 運 | 运 | 運 | 運 | 돌 운; ⾡-총13획; [yùn] 돌다, 돌리다, 회전하다, 길, 천체의 궤도 【명사】 ‘운수(運數)’의 준말. 아주 ∼이 좋았다 ∼이 따르지 않는다. |
597 | 極 | 极 | 極 | 極 | 다할 극; ⽊-총13획; [jí] 다하다, 떨어지다, 남아있지 않다, 끝나다, 그만두다, 극, 한계, 전극(電極), 자극(磁極), 【명사】 ① 정도가 더 할 수 없는 지경. 화가 ∼에 달하다.② ⦗지⦘ 지축의 양쪽 끝. 남극과 북극. 지구의 양∼. ③ ⦗물⦘ 전극. 양극과 음극.④ ⦗물⦘ 자석(磁石)에서 자기력이 가장 센 두 끝. 남극과 북극. ♣ 극과 극을 달리다 【관용구】 서로 완전히 다르다. |
598 | 統 | 统 | 統 | 統 | 큰 줄기 통; ⽷-총12획; [tǒng] 큰 줄기, 본 가닥의 실, 혈통, 핏줄, 실마리 【명사】 ① ⦗역⦘ 조선 때, 민호(民戶) 편제의 한 단위《다섯 집을 한 통, 다섯 통을 한 리(里)로 함》. ② ⦗정⦘ 시(巿) 행정의 말단 조직의 하나《동(洞)의 아래, 반(班)의 위》. |
599 | 勞 | 劳 | 労 | 勞 | 일할 노{로}; ⼒-총12획; [láo] 일하다, 노력하다, 힘쓰다, 근심하다 |
600 | 場 | 场 | 場 | 場 | 마당 장; ⼟-총12획; [chǎng,cháng] 마당, 신을 모시는 곳, 시험장 【명사】 많은 사람이 모여 물건을 사고파는 곳. 또는 그 일. 시장. ∼이 서다 ∼이 파하다 쌀을 사러 ∼에 가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01 | 達 | 达 | 達 | 達 | 통달할 달; ⾡-총13획; [dá,tà] 통달하다, 다다르다, 미치다, 나오다, 꿰뚫다, 자라다, 깨닫다, 생기다, 정통하다, 통하게 하다, 길이 엇갈리다 |
602 | 單 | 单 | 単 | 單 | 홑 단; ⼝-총12획; [dān,chán] 홑, 하나, 오직, 다만, 혼자, 외롭다 【관형사】 단지. 겨우. 오직. ∼ 하나밖에 없는 아들 ∼ 며칠이라도 묵어 가시오. |
603 | 須 | 须 | 須 | 須 | 모름지기 수; ⾴-총12획; [xū] 모름지기, 마땅히, 수염, 기다리다, 대기하다 |
604 | 備 | 备 | 備 | 備 | 갖출 비; ⼈-총12획; [bèi] 갖추다, 갖추어지다, 준비 |
605 | 集 | 集 | 集 | 集 | 모일 집; ⾫-총12획; [jí] 모이다, 만나다, 모으다, 이르다, 도착하다 【접미사】 시가·문장 등을 모은 책을 나타내는 말. 논문∼ 소설∼. |
606 | 勝 | 胜 | 勝 | 勝 | 이길 승; ⼒-총12획; [shèng,shēng] 이기다, 낫다, 뛰어나다, 뛰어난 것 【명사】 승부 따위에서 이기는 일. 첫 ∼을 올리다 바둑에서 흑이 반집 ∼을 거두었다. 【의존명사】 운동 경기에서, 이긴 횟수를 세는 단위. 5전 4∼ 1패. ↔패(敗). |
607 | 遊 | 游 | 遊 | 遊 | 놀 유; ⾡-총13획; [yóu] 놀다, 즐겁게 지내다, 여행하다, 취학하다, 자적하다, 벼슬에 나아가다, 사귀다, 틈, 무사(無事), 놀이 |
608 | 喜 | 喜 | 喜 | 喜 | 기쁠 희; ⼝-총12획; [xǐ] 기쁘다, 즐겁다, 즐거워하다, 좋아하다, 즐기다 |
609 | 落 | 落 | 落 | 落 | 떨어질 락; ⾋-총13획; [luò,là,luō] 떨어지다, 흩어지다, 빠지다, 수습되다, 몰락하다, 벗겨지다, 그치다, 죽다, 버리다, 쓸모 없게 되다 |
610 | 黑 | 黑 | 黒 | 黑 | 검을 흑; ⿊-총12획; [hēi] 검은 색, 오색(五色)의 하나, 검다, 나쁜 마음, 어리석은 마음, 어둡다, 거메지다, 검은 빛으로 변하다, 날이 어두워지다, 눈이 어두워지다 【명사】 ① ‘흑색’의 준말. ② ‘흑지’의 준말. ∼을 잡다 ∼을 쥐다. ↔백(白)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11 | 買 | 买 | 買 | 買 | 살 매; ⾙-총12획; [mǎi] 사다, 성(姓) |
612 | 堅 | 坚 | 堅 | 堅 | 굳을 견; ⼟-총11획; [jiān] 굳다, 굳게, 튼튼하게, 굳게 하다, 단단하게 하다 |
613 | 陽 | 阳 | 陽 | 陽 | 볕 양; ⾩-총12획; [yáng] 볕, 양지, 양(陽), 밝다 【명사】 ① ⦗철⦘ 역학(易學)에서, 태극(太極)이 나뉜 두 가지 성질, 또는 기운의 하나《천(天)·남(男)·주(晝)·동(動) 등의 능동적·남성적인 것을 상징하는 데 씀》. ② ⦗물⦘ ‘양극(陽極)’의 준말. ③ ⦗수⦘ 양수(陽數)를 나타내는 말. ④ ⦗한의⦘ 체질·약성(藥性)·증상의 활발하고 덥고 적극적인 속성. ↔음(陰). |
614 | 富 | 富 | 富 | 富 | 가멸 부; ⼧-총12획; [fù] 가멸다, 재물이 많고 넉넉하다, 풍성풍성하다, 성하다, 세차다 【명사】 ① 특정한 경제 주체가 가진 재산의 총계. ② 재산이 많음. 넉넉한 재산. 오복(五福)의 하나. ∼를 누리다. |
615 | 答 | 答 | 答 | 答 | 팥 답; ⽵-총12획; [dá,dā] 팥, 소두(小豆), 대답하다, 맞다, 맞추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자동사】 ① ‘대답’의 준말. 묻는 말에 아무 ∼이 없다. ② ‘해답’의 준말. ∼이 맞다 다음의 물음에 ∼하시오. ③ ‘회답’의 준말. 편지에 ∼을 보내다 성원에 ∼하다. |
616 | 揚 | 扬 | 揚 | 揚 | 버들 양; ⽊-총13획; [yáng] 버들, 버드나무, 양 주(楊朱), 춘추시대 사상가, 극단적인 이기주의(利己主義), 개인주의(個人主義)를 주창함 |
617 | 葉 | 叶 | 葉 | 葉 | 잎 엽; ⾋-총13획; [yè,yié] 잎, 초목의 잎, 뽕나무, 끝, 갈래, 가지 【명사】 우리나라 전통 음악의 한 형식. 악곡(樂曲) 중에서 기악(器樂)으로만 연주되는 부분. |
618 | 朝 | 朝 | 朝 | 朝 | 아침 조; ⽉-총12획; [zhāo,cháo] 아침, 처음, 시작의 때, 뵙다, 알현하다 【접미사】 ‘왕명(王名)’ 또는 ‘왕조’를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, ‘통치 기간’ 또는 ‘왕조’의 뜻을 나타냄. 고려∼ • 조선∼ 세종∼. |
619 | 雲 | 云 | 雲 | 雲 | 구름 운; ⾬-총12획; [yún] 구름, 습기, 높음의 비유 |
620 | 敢 | 敢 | 敢 | 敢 | 감히 감; ⽁-총12획; [gǎn] 감히, 감히 하다, 감행하다, 굳세다, 용맹스럽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21 | 圓 | 圆 | 円 | 圓 | 둥글 원; ⼞-총13획; [yuán] 둥글다(圜), 원, 동그라미, 둘레, 언저리 【명사】 ① 동그라미. ② ⦗수⦘ 한 평면 상의 일정한 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또는 그것으로 둘러싸인 평면. |
622 | 畫 | 画 | 画 | 畫 | 그림 화; ⽥-총13획; [huà] 그림, 그리다, 채색, 색을 칠하다 |
623 | 減 | 减 | 減 | 減 | 덜 감; ⽔-총12획; [jiǎn] 덜다, 수량을 적게 하다, 가볍게 하다, 줄다, 상하다, 죽이다 |
624 | 短 | 短 | 短 | 短 | 짧을 단; ⽮-총12획; [duǎn] 짧다, 숨이 가쁘다, 오래 되지 아니하다, 적다, 부족하다, 가깝다, 짧게 하다 【명사】 화투에서, 같은 종류의 띠 석 장을 갖춘 약《홍단·초단·청단 따위》. |
625 | 飯 | 饭 | 飯 | 飯 | 밥 반; ⾷-총13획; [fàn] 밥, 밥을 먹다, 먹이다, 기르다 |
626 | 善 | 善 | 善 | 善 | 착할 선; ⼝-총12획; [shàn] 착하다, 착하고 정당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는 것, 높다, 많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형용사】 ① 착하고 올바름. 어질고 좋음. 또는 그런 일. ∼을 행하다〔쌓다〕 악을 ∼으로 갚다. ② ⦗철⦘ 도덕적 생활의 최고 이상. ↔악. |
627 | 童 | 童 | 童 | 童 | 아이 동; ⽴-총12획; [tóng] 아이, 열대여섯 살 이하의 아이, 어리석다, 아직 뿔이 나지 아니한 양이나 소 【명사】 족보에서, 미혼 남자. |
628 | 散 | 散 | 散 | 散 | 흩을 산; ⽁-총12획; [sǎn,sàn] 흩다, 흩뜨리다, 흩어지다, 헤어지다, 내치다, 풀어놓다 【명사】 ⦗한의⦘ ① 땀을 내는 일. ② ‘가루약’의 딴 이름. ③ 막히고 엉긴 것을 푸는 일. |
629 | 惡 | 恶 | 悪 | 惡 | 악할 악; ⼼-총12획; [è,ě,wū,wù] 악하다, 추하다, 불길하다 【명사】 ① 착하지 않음. 올바르지 않음. ∼의 화신. ② ⦗윤⦘ 양심을 좇지 않고 도덕률을 어기는 일. ↔선(善). ∘ [속담][악으로 모은 살림 악으로 망한다] 나쁜 짓을 하여 모은 재산은 곧 없어질 뿐 아니라 도리어 해롭게 된다는 말. |
630 | 貴 | 贵 | 貴 | 貴 | 귀할 귀; ⾙-총12획; [guì,guǐ] 귀하다, 신분이 높다, 값이 비싸다, 소중하다, 빼어나다, 우수하다, 귀히 여기다, 【관형사】 상대편을 높이는 말. ∼ 출판사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31 | 植 | 植 | 植 | 植 | 심을 식; ⽊-총12획; [zhí] 심다, 뿌리를 땅에 묻다, 초목의 총칭, 일정한 곳에 근거를 두게 하다 |
632 | 登 | 登 | 登 | 登 | 오를 등; ⽨-총12획; [dēng] 오르다, 지위에 오르다, 높은 곳을 오르다, 수레에 타다, 올리다, 윗사람에게 바치다, 싣다, 사람을 끌어올려 쓰다, 더하다, 보태다 |
633 | 敬 | 敬 | 敬 | 敬 | 공경할 경; ⽁-총13획; [jìng] 공경하다, 훈계하다, 잡도리하다, 정중하다, 예의가 바르다 |
634 | 景 | 景 | 景 | 景 | 볕 경; ⽇-총12획; [jǐng] 볕, 빛, 햇살, 햇볕, 해, 태양, 밝다, 환히 밝다 【명사】 ① ‘경치(景致)’의 준말. ② ‘경황(景況)’의 준말. 【의존명사】 ⦗연⦘ 무대의 같은 장면에서, 등장인물의 교체 따위로 변화가 나타난 장면을 세는 단위. 제1∼. *막(幕)·장(場). |
635 | 偉 | 伟 | 偉 | 偉 | 훌륭할 위; ⼈-총11획; [wěi] 훌륭하다, 크다, 아름답다 |
636 | 遇 | 遇 | 遇 | 遇 | 만날 우; ⾡-총13획; [yù] 만나다, 우연히 만나다, 뜻이 합치하다, 때를 만나다, 등용되다, 알현, 회합, 맞서다 |
637 | 順 | 顺 | 順 | 順 | 순할 순; ⾴-총12획; [shùn] 순하다, 좇다, 도리를 따르다, 거스르지 아니하다, 잇다, 이어받다 【접미사】 어떤 말 뒤에 붙어 차례를 나타내는 말. 가나다∼ 선착∼. |
638 | 筆 | 笔 | 筆 | 筆 | 붓 필; ⽵-총12획; [bǐ] 붓, 쓰다, 덧보태어 쓰다 【의존명사】 논·밭·임야 등의 구획을 셀 때 쓰는 단위. 필지(筆地). 대지 한 ∼. |
639 | 街 | 街 | 街 | 街 | 거리 가; ⾏-총12획; [jiē] 거리, 시가, 한길, 대로, 네거리, 십자로 【접미사】 ① 도시의 특별한 지역. 유흥∼ 대학∼. ② 큰 동(洞)이나 거리를 다시 나눌 때 쓰는 말. 종로 3∼ |
640 | 湖 | 湖 | 湖 | 湖 | 호수 호; ⽔-총12획; [hú] 호수 【명사】 (주로 호수 이름 뒤에 쓰여) ‘호수’를 일컫는 말《접미사적으로도 씀》. 영랑∼ 석촌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41 | 雄 | 雄 | 雄 | 雄 | 수컷 웅; ⾫-총12획; [xióng] 수컷, 이기다, 승리하다, 우수하다, 뛰어나다 |
642 | 稅 | 税 | 税 | 稅 | 구실 세; ⽲-총12획; [shuì] 구실, 징수하다, 두다, 방치하다 【명사】 ① ⦗역⦘ 사전(私田)의 수확물을 일정한 비율로 나라에 바치게 한 구실. ② ‘조세(租稅)’의 준말. |
643 | 寒 | 寒 | 寒 | 寒 | 찰 한; ⼧-총12획; [hán] 차다, 차갑다, 얼다, 추위로 손발 등이 곱다, 차게 하다, 식히다 |
644 | 尊 | 尊 | 尊 | 尊 | 높을 존; ⼨-총12획; [zūn] 높다, 높이가 높다, 지위가 높다, 높이다, 우러러보다 |
645 | 番 | 番 | 番 | 番 | 갈마들 번; ⽥-총12획; [fān,pān] 갈마들다, 차례로 임무를 맡는 일, 수, 차례, 개(箇), 장(張), 번성하다 【명사】 ① 차례로 갈마드는 일. ② 차례대로 숙직이나 당직을 하는 일. ∼을 서다. 【의존명사】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말. 1∼ 타자 해외에 여러 ∼ 다녀오다. ♣ 번을 나다 【관용구】 번을 치르고 나오다. ♣ 번을 들다 【관용구】 번의 차례가 되어 번을 서는 곳으로 들어가다. |
646 | 勤 | 勤 | 勤 | 勤 | 부지런할 근; ⼒-총13획; [qín] 부지런하다, 일, 근심하다 |
647 | 賀 | 贺 | 賀 | 賀 | 하례 하; ⾙-총12획; [hè] 하례하다, 경축, 경사, 위로하다, 치하하다 |
648 | 悲 | 悲 | 悲 | 悲 | 슬플 비; ⼼-총12획; [bēi] 슬프다, 슬픔, 비애, 슬퍼하다 |
649 | 喪 | 丧 | 喪 | 喪 | 죽을 상; ⼝-총12획; [sāng,sàng] 죽다, 복(服), 복제(服制), 복을 입다, 상제 노릇을 하다 【명사】 ① ‘거상(居喪)’의 준말. ∼을 당하다. ② 부모·승중(承重)의 조부모·증조부모와 맏아들의 상사에 대한 의례. ∼을 치르다. |
650 | 閑 | 闲 | 閑 | 閑 | 막을 한; ⾨-총12획; [xián] 막다, 막히다, 문지방, 가로막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51 | 惠 | 惠 | 恵 | 惠 | 은혜 혜; ⼼-총12획; [huì] 은혜, 은혜를 베풀다, 사랑하다 |
652 | 晴 | 晴 | 晴 | 晴 | 갤 청; ⽇-총12획; [qíng] 개다, 비가 그치다, 하늘에 구름이 없다, 마음이 개운하다 【명사】 ‘청천(晴天)’의 준말. |
653 | 暑 | 暑 | 暑 | 暑 | 관청 서; ⽹-총14획; [shǔ] 관청, 부(部)․국(局)등으로 나누어 베풀다, 두다 【명사】 ① ‘경찰서’의 준말. ∼에 연행되다. ② ‘세무서’·‘소방서’ 따위를 일컫는 말. |
654 | 貯 | 贮 | 貯 | 貯 | 쌓을 저; ⾙-총12획; [zhù] 쌓다, 저축하다, 갈무리 해 두다, 우두커니 서다, 가게, 상점 |
655 | 會 | 会 | 会 | 會 | 모일 회; ⽈-총13획; [huì,kuài] 모이다, 모으다, 모임 【명사】【~하다 → 자동사】 단체적인 공동 목적을 위해 여럿이 모이는 일. 또는 그 모임. |
656 | 經 | 经 | 経 | 經 | 날 경; ⽷-총13획; [jīng,jìng] 날, 날실, 세로, 길, 조리(條理), 도로(道路) 【명사】 ① ‘경서(經書)’의 준말. ② ⦗불⦘ ‘불경(佛經)’의 준말. ③ ⦗기⦘ 기도문. ④ 판수가 외는 기도문과 주문(呪文). ⑤ 직물의 날. ↔위(緯). |
657 | 新 | 新 | 新 | 新 | 신新 새 신; ⽄-총13획; [xīn] 새, 새로운, 처음, 처음으로, 새로, 새롭게 【접두사】 ‘새로운’의 뜻. ∼세계 ∼기록. ↔구―(舊). |
658 | 電 | 电 | 電 | 電 | 번개 전; ⾬-총13획; [diàn] 번개, 빠름의 비유, 남에게 대하여 경의를 표하는 말 |
659 | 業 | 业 | 業 | 業 | 업 업; ⽊-총13획; [yè] 업, 일, 사업, 학문, 기예, 직업, 생계(生計), 생업(生業), 기초, 시작 【명사】 ① ‘직업’의 준말. ② ⦗불⦘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선악의 소행. ③ ⦗불⦘ 전세(前世)의 소행으로 말미암아 현세(現世)에서 받는 응보(應報). |
660 | 當 | 当 | 当 | 當 | 당할 당; ⽥-총13획; [dāng,dàng] 당하다, 대하다, 균형 있다, 대적하다, 맡다, 지키다, 짝하다, 비기다, 만나다, 갚음, 보수 【관형사】 ① ‘그·바로 그·이·지금의’ 등의 뜻. ∼ 회사의 제품입니다. ② 그 당시의 나이를 나타내는 말. ∼ 25세의 신체 건강한 청년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61 | 義 | 义 | 義 | 義 | 옳을 의; ⽺-총13획; [yì] 옳다, 바르다, 평평하다 【명사】 ① 사람으로서 행하여야 할 바른 도리. ∼를 행하다. ② ‘도의(道義)’의 준말. ③ 남과 맺은 혈연과 같은 관계. 형제의 ∼를 맺다. ④ 글자나 글의 뜻. ⑤ 군신(君臣) 사이의 바른 도리. ⑥ ⦗역⦘ 경서(經書)의 뜻을 해석시키던, 과거 시문(試問)의 하나. |
662 | 意 | 意 | 意 | 意 | 뜻 의; ⼼-총13획; [yì] 뜻, 생각하다, 정취, 풍경 【명사】 ⦗불⦘ 생각하는 모든 활동. 또는 정신의 본체. |
663 | 想 | 想 | 想 | 想 | 생각할 상; ⼼-총13획; [xiǎng] 생각하다, 생각, 모양, 형상 【명사】 ① 작품을 제작하는 작자의 생각. 좋은 ∼이 떠오르다. ② ⦗불⦘ 대상(對象)을 속으로 가만히 생각하는 일. |
664 | 話 | 话 | 話 | 話 | 말할 화; ⾔-총13획; [huà] 말하다, 이야기하다, 이야기, 다스리다 |
665 | 與 | 与 | 与 | 與 | 줄 여; ⾅-총14획; [yǔ,yú,yù] 주다, 베풀다, 동아리, 무리, 동아리가 되다, 따르다, 돕다, 허락하다, 편을 들다, 좋아하다 【명사】 ‘여당1’의 준말. ∼와 야의 국회의원들이 모이다. |
666 | 路 | 路 | 路 | 路 | 길 로{노}; ⾜-총13획; [lù] 길, 거쳐 가는 길, 겪는 일, 크다 |
667 | 農 | 农 | 農 | 農 | 농사 농; ⾠-총13획; [nóng] 농사, 농업, 농부, 백성, 전답(田畓) |
668 | 解 | 解 | 解 | 解 | 풀 해; ⾓-총13획; [jiě,jiè,xiè] 풀다, 가르다, 해부하다, 벗기다, 흩뜨리다, 열다, 용서하다, 놓아주다, 타이르다, 풀리다 【명사】 ① ⦗수⦘ 방정식이나 부등식을 성립시키는 미지수의 값. 또는 미분 방정식 등을 만족시키는 함수(函數). ② 주어진 문제의 답. ③ 한문 문체의 하나. 의혹이나 비난에 답함을 목적으로 한 것. |
669 | 愛 | 爱 | 愛 | 愛 | 사랑 애; ⼼-총13획; [ài] 사랑, 사랑하다, 친밀하게 대하다 【접미사】 ‘자애’·‘사랑’ 등의 뜻. 동성∼ 모성∼ 조국∼ |
670 | 號 | 号 | 号 | 號 | 부르짖을 호; ⾌-총13획; [hào,háo] 부르짖다, 큰 소리로 울면서 한탄하다, 닭이 울다 【명사】 ① 본명이나 자(字) 이외에 쓰는 이름. 당호. 별호. ∼로 부르다 ∼를 짓다. ② (주로 ‘호가 나다’의 구성으로 쓰여) 세상에 널리 드러난 이름. 욕심이 많기로 ∼가 난 사람. 【의존명사】 ① 차례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. 107동 702∼실 ② 같은 번지의 집들이 여럿이 있을 경우에, 일정하게 순서를 매기어 쓰는 말. 35번지 3∼. ③ 신문이나 잡지 등 정기 간행물의 발행 순서·발행월·발행 계절·종별 등을 나타내는 말. 일월 ∼ 임시 증간 ∼. ④ ⦗인⦘ 활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《숫자가 커질수록 활자가 작아짐》. 5∼ 활자. ⑤ ⦗미술⦘ 그림의 화포(畫布)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《숫자가 커질수록 화포가 커짐》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71 | 節 | 节 | 節 | 節 | 마디 절; ⽵-총15획; [jié,jiē] 마디, 대, 또는 초목의 마디, 뼈의 마디, 사물의 한 단락, 음악의 곡조, 절개, 규칙, 제도 【명사】 ① ⦗언⦘ 주어와 술어를 갖추었으나, 독립하지 않고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. 마디. ② ⦗물⦘ ‘마디8’의 한자말. ③ ‘절개(節槪)’의 준말. ④ 예산 편성에서 맨 아래 구분의 명목《목(目)의 다음으로, 현재는 잘 쓰이지 않음》. ⑤ 시가·문장·음곡 중의 작은 단락(段落). 애국가의 1∼. |
672 | 傳 | 传 | 伝 | 傳 | 전할 전; ⼈-총13획; [chuán,zhuàn] 전하다, 말하다, 보내다 |
673 | 勢 | 势 | 勢 | 勢 | 기세 세; ⼒-총13획; [shì] 기세, 무리, 인중(人衆), 불알 【명사】 ① ‘세력’의 준말. ∼를 꺾다 ∼를 펴다 ∼가 대단하다 ② 인원수. 병력. ∼가 불리하다.③ 형세. 그런 경향은 자연의 ∼이다. |
674 | 遠 | 远 | 遠 | 遠 | 멀 원; ⾡-총14획; [yuǎn] 멀다, 아득하다, 세월이 오래다, 이목이 미치지 못하다, 소원하다, 번거롭다, 넓다, 깊다 |
675 | 感 | 感 | 感 | 感 | 느낄 감; ⼼-총13획; [gǎn] 느끼다, 마음을 움직이다, 고맙게 여기다 【명사】 ① 느낌이나 생각. 미진한 ∼을 느끼다 때늦은 ∼이 있다. ② ‘감도(感度)’의 준말. ∼이 좋은 전화기 ∼이 멀다. ♣ 감(을) 잡다 【관용구】 눈치로 대강 알아채거나 확신을 가지다. 재빨리 감을 잡고 도망치다. |
676 | 溫 | 温 | 温 | 溫 | 따뜻할 온; ⽔-총13획; [wēn,yūn] 따뜻하다, 온화하다, 순수하다, 원만하다 |
677 | 試 | 试 | 試 | 試 | 시험할 시; ⾔-총13획; [shì] 시험하다, 맛보다, 간을 보다, 시험 삼아 해 보다, 조사하다, 점검하다, 찾다, 점검하다 |
678 | 滿 | 满 | 満 | 滿 | 찰 만; ⽔-총14획; [mǎn] 차다, 가득하다, 넉넉하다, 둥그레지다, 곡식이 익다, 활을 힘껏 당기다, 교만하다, 속이다 【명사】 (주로 ‘만으로’의 꼴로 쓰여) 시기나 햇수가 꽉 참을 나타내는 말. ∼으로 열 살. 【관형사】 정해진 기간이 꽉 참을 나타내는 말. ∼ 스무 살 |
679 | 歲 | 岁 | 歳 | 歲 | 해 세; ⽌-총13획; [suì] 해, 새해, 신념, 시일, 세월, 광음 【의존명사】 (한자말로 된 숫자 뒤에 쓰여) 나이를 나타내는 단위. 방년 십팔 ∼. |
680 | 煙 | 烟 | 煙 | 煙 | 연기 연; ⽕-총13획; [yān,yīn] 연기, 연기가 끼다, 그을음 【명사】 연수정(煙水晶)의 빛깔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81 | 傷 | 伤 | 傷 | 傷 | 상처 상; ⼈-총13획; [shāng] 상처, 닿다, 이지러지다 |
682 | 福 | 福 | 福 | 福 | 복 복; ⽰-총14획; [fú] 복, 복 내리다, 돕다, 제사에 쓴 고기와 술, 제사가 끝나면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【명사】 ① 편안하고 만족한 상태와 그에 따른 기쁨. 좋은 운수. 복조(福祚). ∼ 받은 사람 ∼을 빌다 ∼이 터지다 ② 배당되는 몫이 많음의 비유. 먹을 ∼은 타고났나 보다. |
683 | 漢 | 汉 | 漢 | 漢 | 한수 한; ⽔-총14획; [hàn] 한수(漢水), 섬서성(陝西省) 영강현(寧羌縣) 파총산(嶓冢山)에서 발원한 강, 은하수, 사나이 【명사】 ① ⦗역⦘ 중국의 옛 왕조. 전한·후한·북한·남한·촉한(蜀漢)·성한(成漢)이 있었으나, 보통 전한과 후한을 이름. ② 장기의 궁의 하나. |
684 | 罪 | 罪 | 罪 | 罪 | 허물 죄; ⽹-총13획; [zuì] 허물, 죄, 형벌, 재앙, 죄주다 【명사】 ① 양심이나 도의에 벗어난 행위. ∼와 벌 ∼를 짓다. ② 벌을 받을 만한 일. 지각한 ∼로 청소를 하다. ③ ⦗법⦘ 법률에 위반되어 처벌을 면치 못하는 불법 행위. 범죄. ④ ⦗불⦘ 도리에 거슬리어 괴로움의 과보(果報)를 부르는 나쁜 행위. ⑤ ⦗기⦘ 하나님의 계명을 거역하고 그의 명령을 지키지 않는 행위. ∘ [속담][죄는 지은 데로 가고 덕은 닦은 데로 간다] 죄를 지으면 벌을 받고 덕을 닦으면 복을 받는다. |
685 | 暗 | 暗 | 暗 | 暗 | 어두울 암; ⽇-총13획; [àn] 어둡다, 주위가 어둡다, 사리에 어둡다, 밤, 어둠, 몰래, 남이 알지 못하게 |
686 | 園 | 园 | 園 | 園 | 동산 원; ⼞-총13획; [yuán] 동산, 정원, 과수원, 울타리가 있는 밭 【명사】 ⦗역⦘ ‘원소(園所)’의 준말. |
687 | 詩 | 诗 | 詩 | 詩 | 시 시; ⾔-총13획; [shī] 시, 시경(詩經), 악보(樂譜)․악장(樂章) 【명사】 ⦗문⦘① 문학의 한 장르. 자연과 인생에 대한 감흥·사상 등을 함축적·음률적으로 표현한 글. ∼를 짓다 ∼를 낭송하다. ② 한시(漢詩). |
688 | 禁 | 禁 | 禁 | 禁 | 금할 금; ⽰-총13획; [jìn,jīn] 금하다, 기(忌)하다, 꺼리다, 규칙 |
689 | 聖 | 圣 | 聖 | 聖 | 성스러울 성; ⽿-총13획; [shèng] 성스럽다, 성인, 한 방면에 대하여 더할 수 없이 뛰어난 사람 【명사】 ① 지덕이 가장 뛰어나 천하가 우러러 사표로 삼음. 또는 그 사람. ② 그 방면에 가장 걸출한 인물. 시(詩)∼. ③ ‘신성(神聖)’의 준말. ④ ‘성인(聖人)’의 준말. |
690 | 暖 | 暖 | 暖 | 暖 | 따뜻할 난; ⽇-총13획; [nuǎn] 따뜻하다, 따뜻하게 하다, 따뜻해지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691 | 誠 | 诚 | 誠 | 誠 | 정성 성; ⾔-총14획; [chéng] 정성, 순수한 마음, 참되게 하다, 삼가다, 공경하다 |
692 | 愁 | 愁 | 愁 | 愁 | 시름 수; ⼼-총13획; [chóu] 시름, 시름겹다, 얼굴빛을 바꾸다 |
693 | 慈 | 慈 | 慈 | 慈 | 사랑할 자; ⼼-총13획; [cí] 사랑하다, 사랑, 어머니, 자식 |
694 | 說 | 说 | 説 | 說 | 말씀 설; ⾔-총14획; [shuō,shuì,yuè] 말씀, 말, 도(道), 도리(道理), 말하다, 이야기하다, 서술하다, 논하다, 해석하다, 타이르다, 교육하다, 변명하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① 의견. 주의. 학설. ∼이 분분하다 ∼을 달리하다. ② 풍설. 이상한 ∼이 나돌다. |
695 | 對 | 对 | 対 | 對 | 대답할 대; ⼨-총14획; [duì] 대답하다, 대하다, 대(對), 짝, 상대 【명사】 ① 같은 종류로 이루어진 짝. 같이 ∼를 이루다. ② 비교하거나 대조할 때의 상대. 일에서는 둘은 서로 ∼가 된다. 【의존명사】 ① 두 짝으로 한 벌이 되는 물건을 세는 말. 주련(柱聯) 한 ∼. ② 사물과 사물의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. A팀 ∼ B팀의 경기. |
696 | 種 | 种 | 種 | 種 | 씨 종; ⽲-총14획; [zhǒng,zhòng] 씨, 곡식의 씨, 동물의 씨, 근본, 원인, 핏줄, 혈통, 품류, 종류, 부족 【명사】 ① 종자. ② 종류. 같은 부류. 같은 ∼에 속하다. ③ ⦗생⦘ 생물 분류의 기초 단위《최소 개체를 형성하며 비슷한 종이 모여서 속(屬)을 이룸》. ∼의 기원(起原). |
697 | 實 | 实 | 実 | 實 | 열매 실; ⼧-총14획; [shí] 열매, 차다, 가득 차다, 익다, 곡식이 익다 【명사】 ① 실질. 명분보다 ∼을 취하다. ② ⦗수⦘ 피승수 또는 피제수(被除數). ③ ⦗수⦘ 실수(實數). ↔허(虛). |
698 | 領 | 领 | 領 | 領 | 옷깃 령{영}; ⾴-총14획; [lǐng] 옷깃, 목, 가장 요긴한 곳 【접미사】 나라 이름 뒤에 붙어, 그 나라의 영토임을 나타내는 말. 영국∼ 미국∼. |
699 | 認 | 认 | 認 | 認 | 알 인; ⾔-총14획; [rèn] 알다, 인식하다, 알아서 정하다, 인정하다, 발견하여 알다, 승인하다, 허가하다, 행하다, 진실을 행하다, 적다, 쓰다 |
700 | 圖 | 图 | 図 | 圖 | 그림 도; ⼞-총14획; [tú] 그림, 꾀하다, 그리다, 베끼다 【접미사】 ‘그림·도형’의 뜻. 미인∼ 산수∼ 설계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01 | 算 | 算 | 算 | 算 | 셀 산; ⽵-총14획; [suàn] 세다, 수, 수효, 바구니, 대그릇 【명사】 셈. 암만 따져도 ∼이 틀리다. |
702 | 廣 | 广 | 広 | 廣 | 넓을 광; ⼴-총15획; [guǎng] 넓다, 넓히다, 넓어지다 【명사】 ① 넓이. ② 너비¹. ∼이 넓은 피륙. |
703 | 精 | 精 | 精 | 精 | 쓿은 쌀 정; ⽶-총14획; [jīng] 쓿은 쌀, 정미, 쓿다, 찧다, 자세하다, 면밀하다 【명사】 ① ‘정수(精髓)1’의 준말. ② ‘정액(精液)1’의 준말. ③ ‘정기(精氣)2’의 준말. ④ ‘정령(精靈)4’의 준말. |
704 | 銀 | 银 | 銀 | 銀 | 은 은; ⾦-총14획; [yín] 은, 화폐, 돈, 도장 【명사】 ⦗광⦘ 금속 원소의 하나. 금보다 조금 가볍고 단단하며 백색의 미려한 광택을 가짐. 전기 전도율과 열전도율이 금속 중에 가장 높음《화학용 기구·화폐·장식품 따위에 씀》. |
705 | 盡 | 尽 | 尽 | 盡 | 다될 진; ⽫-총14획; [jìn,jǐn] 다되다, 비다, 줄다, 없어지다, 끝나다, 그치다, 죽다, 다하다, 한도에 이르다, 죄다 보이다, 맡기다, 몰살하다, 정성을 다하다 |
706 | 輕 | 轻 | 軽 | 輕 | 가벼울 경; ⾞-총14획; [qīng] 가볍다, 무게가 적다, 모자라다, 신분이 낮다, 손쉽다, 재빠르다, 경솔하다, 가벼이 하다, 깔보다 【접두사】 ‘가벼운·간편한’ 등의 뜻. ∼기관총 ∼공업 ∼음악 |
707 | 適 | 适 | 適 | 適 | 갈 적; ⾡-총15획; [shì] 가다, 이르다, 도달하다, 따르다, 시집가다, 만나다, 조우하다, 당연하다 |
708 | 端 | 端 | 端 | 端 | 바를 단; ⽴-총14획; [duān] 바르다, 곧다, 옳다, 바로잡다, 진실 |
709 | 聞 | 闻 | 聞 | 聞 | 들을 문; ⽿-총14획; [wén] 듣다, 삼가 받다, 가르침을 받다, 알다, 널리 견문하다, 냄새 맡다, 들려주다, 알리다, 찾다, 방문하다, 서신을 보내다 |
710 | 語 | 语 | 語 | 語 | 말씀 어; ⾔-총14획; [yǔ,yù] 말씀, 말, 어구(語句), 문구(文句), 속담, 말씨, 말 비슷한 소리, 새․벌레 따위의 우는 소리, 말하다, 의사를 발표하다, 논란하다, 대답하다, 설명하다, 의논하다 【접미사】 일부 명사 뒤에 붙어 ‘말’의 뜻을 나타냄. 고유∼ 한자∼ 독일∼ 학술∼. |
711 | 察 | 察 | 察 | 察 | 살필 찰; ⼧-총14획; [chá] 살피다, 알다, 살펴서 알다, 조사하다, 생각하여 보다 |
712 | 練 | 练 | 練 | 練 | 익힐 련{연}; ⽷-총15획; [liàn] 익히다, 누이다, 단련하다, 경험하다, 익다, 익숙하다, 누인 명주 |
713 | 誤 | 误 | 誤 | 誤 | 그릇할 오; ⾔-총14획; [wù] 그릇하다, 도리에 어긋나다, 실수하다, 잘못하다, 잘못 집다, 그르치게 하다, 그릇된 길로 이끌다, 헷갈리게 하다, 현혹되게 하다 |
714 | 歌 | 歌 | 歌 | 歌 | 노래 가; ⽋-총14획; [gē] 노래, 노래하다, 소리를 내어 억양을 붙여 읊다 【접미사】 노래의 이름이나 종류를 나타내는 말. 애국∼ 유행∼ |
715 | 綠 | 绿 | 緑 | 綠 | 초록빛 록{녹}; ⽷-총14획; [lǜ,lù] 초록빛 |
716 | 榮 | 荣 | 栄 | 榮 | 꽃 영; ⽊-총14획; [róng] 꽃, 꽃이 피다, 성하다, 영화, 영달 |
717 | 穀 | 谷 | 穀 | 穀 | 곡식 곡; ⽲-총14획; [gǔ] 곡식, 양식, 착하다, 기르다, 살다 |
718 | 墨 | 墨 | 墨 | 墨 | 먹 묵; ⼟-총15획; [mò] 먹, 형벌 이름, 오형(五刑)의 하나로 자자(刺字)하는 형벌, 검다, 검어지다 |
719 | 鳴 | 鸣 | 鳴 | 鳴 | 울 명; ⿃-총14획; [míng] 울다, 날짐승이 소리를 내다, 울리다, 음향이 나다, 명성이 들날리다, 부르다, 새가 서로 짝을 구하여 부르다 |
720 | 鼻 | 鼻 | 鼻 | 鼻 | 코 비; ⿐-총14획; [bí] 코, 구멍, 맞트이게 뚫은 자국, 코 꿰다, 짐승의 코에 코뚜레나 바 같은 것으로 꿰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21 | 漁 | 渔 | 漁 | 漁 | 고기 잡을 어; ⽔-총14획; [yú] 고기를 잡다, 침략하다, 이익을 낚다, 물고기를 잡는 일, 어부 |
722 | 壽 | 寿 | 寿 | 壽 | 목숨 수; ⼠-총14획; [shòu] 목숨, 수명, 장수(長壽), 오래 살다 【명사】 ① 오복의 하나로 오래 사는 일. ∼를 누리다. ② 늙은 사람의 나이를 높이어 일컫는 말. ③ ‘수명’의 준말. ∼를 다하다. |
723 | 暮 | 暮 | 暮 | 暮 | 저물 모; ⽇-총15획; [mù] 저물다, 해 질 무렵, 저물 무렵, 밤 |
724 | 論 | 论 | 論 | 論 | 말할 론{논}; ⾔-총15획; [lùn,lún] 말하다, 진술하다, 사리를 밝히다, 고하다, 여쭈다, 왈가왈부하다, 토론하다, 헤아리다, 사물의 이치를 헤아리다 |
725 | 數 | 数 | 数 | 數 | 셀 수; ⽁-총15획; [shù,shǔ,shuò] 세다, 계산하다, 셈에 넣다, 세어서 말하다, 들어 말하다 |
726 | 線 | 线 | 線 | 線 | 줄 선; ⽷-총15획; [xiàn] 줄, 실 【명사】 ① 그어 놓은 줄이나 금. ∼을 긋다〔치다〕 ② 철사나 전선 따위의 총칭. ∼이 짧아서 컴퓨터 연결이 안 된다. ③ 정해진 노선을 다니는 기차·버스·항공기 따위의 교통 기관이나 전화 따위의 경로. 서울로 가는 기차 ∼. ④ 서로 접하는 두 개 면의 경계. ∼을 넘다. ⑤ 대강의 방침·방향이나 줄기. 그 ∼에서 타협하자. ♣ 선을 긋다 【관용구】 한계를 정하다. ┈┈∘ 저들과는 분명히 선을 긋고 지낸다. ♣ 선을 넘다 【관용구】 한도나 경계를 넘다. ┈┈∘ 그와는 아직 선을 넘지 않았다. ♣ 선을 대다 【관용구】 잇속이나 배경이 될 기관이나 사람과 관계를 맺다. 감독과 선을 대고 부정을 저지르다. ♣ 선이 가늘다 【관용구】 성격이 잘고 꼼꼼하다. ♣ 선이 굵다 【관용구】 격이나 행동 따위가 대범하거나 통이 크다. |
727 | 質 | 质 | 質 | 質 | 바탕 질; ⾙-총15획; [zhì] 바탕, 꾸미지 아니한 본연 그대로의 성질, 진실, 순진하다 【명사】 ① 사물의 근본을 이루는 성질. 양보다 ∼이 우선이다. ② 사람의 됨됨이를 이루는 바탕. ∼이 나쁜 사람. |
728 | 熱 | 热 | 熱 | 熱 | 더울 열; ⽕-총15획; [rè] 덥다, 따뜻하다, 더워지다, 타다, 더위, 더운 기운 【명사】 ① ⦗물⦘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했을 때,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이동하는 에너지《이동 방법은 전도(傳導)·대류(對流)·복사(輻射) 따위가 있음》. ② 흥분한 상태. ∼을 올리다. ③ ‘신열(身熱)’의 준말. 독감으로 ∼이 대단하다. ④ ‘열성(熱誠)’의 준말. ∼과 성을 다하다. ♣ 열에 받히다 【관용구】 몹시 흥분하거나 격분하다. ┈┈∘ 열에 받혀 악을 쓰다. |
729 | 增 | 增 | 増 | 增 | 불을 증; ⼟-총15획; [zēng] 붇다, 늘다, 더하다, 늘리다, 거듭하다 |
730 | 調 | 调 | 調 | 調 | 고를 조; ⾔-총15획; [diào,tiáo] 고르다, 조절하다, 어울리다, 균형이 잡히다, 화합하다, 익히다, 길들이다, 꼭 맞다, 적합하다, 지키다, 수호하다 【명사】 ① 품격을 높고 깨끗하게 가지려는 행동. ∼를 지키다. 【의존명사】 ① ‘그런 말투나 행동’의 뜻. 시비하는 ∼로 대들다 ② 시가나 노래의 음수(音數)에 따라 리듬을 나타내는 단위. 삼사 ∼ 칠오 ∼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31 | 請 | 请 | 請 | 請 | 청할 청; ⾔-총15획; [qǐng] 청하다, 빌다, 고하다, 여쭈다, 구하다, 부르다, 초청하다, 청컨대, 청, 청탁, 뵈다, 알현하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자동사,타동사】 ① ‘청탁(請託)’의 준말. ∼을 드리다 ∼을 거절하다 ∼을 뿌리치다. ♣ 청을 넣다 【관용구】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사람을 넣어 특별히 부탁을 하다. |
732 | 德 | 德 | 徳 | 德 | 덕 덕; ⼻-총15획; [dé] 덕, 행위, 어진 이 【명사】 ①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행하려는 어질고 올바른 마음이나 훌륭한 인격. ∼이 높은 사람 겸양의 ∼을 갖추다 ② 은혜. 선배의 ∼을 입다 ∼을 베풀다. ③ 덕택. 원님 ∼에 나팔 분다 염려해 주신 ∼입니다. ④ 공덕(功德). 적선(積善)으로 ∼을 쌓다 ♣ 덕(을) 보다 【관용구】 남에게서 이득이나 혜택을 얻다. ┈┈∘ 오히려 그에게서 덕을 보게 되었다시세가 올라 덕을 본 상인이 많다. ♣ 덕(이) 되다 【관용구】 이익이나 도움이 되다. |
733 | 談 | 谈 | 談 | 談 | 말씀 담; ⾔-총15획; [tán] 말씀, 언론, 말하다, 이야기하다, 농담하다, 희롱하다 【접미사】 ‘이야기’의 뜻. 경험∼ 여행∼. |
734 | 選 | 选 | 選 | 選 | 가릴 선; ⾡-총16획; [xuǎn] 가리다, 가려 뽑다, 열거하다, 좋다 【명사】 시험이나 심사에 든 사람을 뽑는 일. ∼에 들다. 【의존명사】 여럿 가운데 뽑힌 횟수나 차례를 세는 말. 삼 ∼ 의원. |
735 | 價 | 价 | 価 | 價 | 값 가; ⼈-총15획; [jià,jiè,jiė] 값, 수(數), 값있다 【접미사】 ① 일부 명사 뒤에 붙어, ‘값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적정∼ 최고∼ 상한∼. ② ⦗화⦘ 숫자 뒤에 붙어, 원자가(原子價)를 나타내는 말. 2∼ 알코올. |
736 | 養 | 养 | 養 | 養 | 기를 양; ⾷-총15획; [yǎng] 기르다, 성장을 시키다, 사육하다, 양생(養生)하다, 진휼(賑恤)하다, 회유하다, 양육, 밥을 짓다 【접두사】 남의 자녀를 자기 자녀로 만들 때 상호 간의 연고 관계를 나타내는 말. ∼아버지 ∼딸. |
737 | 樂 | 乐 | 楽 | 樂 | 즐길 락{풍류 악,좋아할 요}; ⽊-총15획; [lè,yào,yuè] 즐기다, 풍류, 좋아하다, 음악, 아뢰다, 연주하다, 타다, 악기 |
738 | 敵 | 敌 | 敵 | 敵 | 원수 적; ⽁-총15획; [dí] 원수, 상대방, 대등하다, 맞서다 【명사】 ① 서로 싸우거나 해치고자 하는 상대. ∼을 섬멸하다 ∼과 치열한 교전을 벌이다 ∼의 수중에 떨어지다. ② 어떤 것에 해를 끼치는 요소의 비유. 피로는 건강의 ∼이다. ③ 경기나 시합 따위에서, 승부를 겨루는 상대편. |
739 | 誰 | 谁 | 誰 | 誰 | 누구 수; ⾔-총15획; [shéi,shuí] 누구, 어떤 사람, 묻다, 찾아 묻다, 옛날, 일설은 발어사 |
740 | 賣 | 卖 | 売 | 賣 | 팔 매; ⾙-총15획; [mài] 팔다, 속이다, 배신하다, 내통하다, 넓히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41 | 諸 | 诸 | 諸 | 諸 | 모든 제; ⾔-총16획; [zhū] 모든, 여러, 어조사, 어세 강조 발어사, -은․는, 이(대명사‘之’와 같다), -에게, -에서, 간수하다 【관형사】 한자어 명사 앞에 붙어, ‘모든’·‘여러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 단체. |
742 | 課 | 课 | 課 | 課 | 매길 과; ⾔-총15획; [kè] 매기다, 세금을 부과하다, 조세, 세금, 시험하다 【명사】 ① 사무 조직의 한 구분《부(部)의 아래, 계(係)의 위》. 그는 우리 ∼에서 근무하던 사람이다. ② 교과서 따위에서, 내용에 따라 차례로 벌여 놓은 학습의 단위. 아홉 번째 ∼를 공부하다. |
743 | 億 | 亿 | 億 | 億 | 억 억; ⼈-총15획; [yì] 억, 편안하다, 헤아리다 【수사】【관형사】 만(萬)의 만 배. 곧, 10⁸. |
744 | 舞 | 舞 | 舞 | 舞 | 춤출 무; ⾇-총14획; [wǔ] 춤추다, 춤, 춤추게 하다 |
745 | 齒 | 齿 | 歯 | 齒 | 이 치; ⿒-총15획; [chǐ] 이, 음식을 씹는 기관, 어금니, 나이 【명사】 이²1. ♣ 치(가) 떨리다 【관용구】 몹시 분하거나 지긋지긋해 이가 떨리다. ♣ 치(를) 떨다 【관용구】 ㉠매우 인색해서 내놓기를 꺼리다 돈 한 푼에 ∼. ㉡몹시 분하거나 지긋지긋해서 이를 떨다. 배신감에 ∼. |
746 | 慶 | 庆 | 慶 | 慶 | 경사 경; ⼼-총15획; [qìng] 경사, 축하할 만한 기쁜 일, 경사스럽다, 축하하다, 상(賞), 상으로 내리는 것 |
747 | 暴 | 暴 | 暴 | 暴 | 사나울 폭,햇볕 쪼일 폭; ⽇-총15획; [bào,pù] 사납다, 해치다, 해롭게 하다, 갑자기, 급작스럽게 |
748 | 潔 | 洁 | 潔 | 潔 | 깨끗할 결; ⽔-총15획; [jié] 깨끗하다, 품행이 바르다, 깨끗이 하다, 몸을 닦다 |
749 | 遺 | 遗 | 遺 | 遺 | 끼칠 유; ⾡-총16획; [yí,wèi] 끼치다, 후세에 전하다, 잃다, 버리다 |
750 | 賞 | 赏 | 賞 | 賞 | 상줄 상; ⾙-총15획; [shǎng] 상을 주다, 기리다, 찬양하다 【명사】 잘한 일이나 우수한 성과를 칭찬해 주는 표적. ∼을 타다 ∼을 주다 ∼을 내리다 ∼으로 손목시계를 받았다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51 | 憂 | 忧 | 憂 | 憂 | 근심할 우; ⼼-총15획; [yōu] 근심하다, 근심, 상(喪) |
752 | 學 | 学 | 学 | 學 | 학學 배울 학; ⼦-총16획; [xué] 배우다, 학문, 학자 【명사】 식의 체계. 학문. |
753 | 頭 | 头 | 頭 | 頭 | 머리 두; ⾴-총16획; [tóu,tȯu] 머리, 머리털, 꼭대기, 맨 앞, 시초, 우두머리, 첫째, 상위, 지혜, 재능, 근처, 근방 【명사】 속〉 골치. 아이고 ∼야. |
754 | 戰 | 战 | 戦 | 戰 | 싸울 전; ⼽-총16획; [zhàn] 싸우다, 싸움, 전쟁, 두려워하다, 두려워서 떨다 【접미사】 ‘전투’·‘시합’·‘경쟁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산악∼ 총격∼ 장기∼ 청백(靑白)∼ 단체∼ 결승∼. |
755 | 親 | 亲 | 親 | 親 | 친할 친; ⾒-총16획; [qīn,qìng] 친하다, 사랑하다, 사이좋게 지내다, 가까이하다, 가깝다, 화목하다, 친히, 손수 【접두사】 ①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붙어, ‘혈연관계로 맺어진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할아버지 ∼동생. ② 어떤 명사 앞에 붙어, ‘그것에 찬성하는’ 또는 ‘그것을 돕는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정부파. |
756 | 樹 | 树 | 樹 | 樹 | 나무 수; ⽊-총16획; [shù] 나무, 자라고 있는 나무, 초목, 담, 담장 |
757 | 錢 | 钱 | 銭 | 錢 | 돈 전; ⾦-총16획; [qián] 돈, 가래, 주효(酒肴) 【의존명사】 화폐의 단위《‘원’·‘환(圜)’의 1/100》. ② 예전에, 엽전 열 푼을 일컫던 말. |
758 | 興 | 兴 | 興 | 興 | 일 흥; ⾅-총16획; [xīng,xìng] 일다, 일어나다, 일으키다, 관(官)이 징수하다 【명사】 마음이 즐겁고 좋아서 일어나는 정서. ∼이 깨지다 ♣ 흥에 띄다 【관용구】 흥에 겨워서 마음이 들뜨다. |
759 | 餘 | 余 | 余 | 餘 | 남을 여; ⾷-총16획; [yú] 남다, 넉넉하다, 여유가 있다, 여가, 말미, 그 이외의 것, 뒤, 결말, 결국, 죄다, 남김없이, 나라 이름, 【접미사】 자로 된 수사 뒤에 붙어, 그 이상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. 백∼ 명의 학생 한 시간∼를 기다리다. |
760 | 獨 | 独 | 独 | 獨 | 홀로 독; ⽝-총16획; [dú] 홀로, 홀몸, 늙어서 자식이 없는 사람, 홀어미, 자손이 없는 사람, 어찌 【명사】 지⦘ ‘독일(獨逸)’의 준말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61 | 橋 | 桥 | 橋 | 橋 | 다리 교; ⽊-총16획; [qiáo] 다리, 교량, 시렁, 두레박틀의 도르래를 다는 가름대나무 |
762 | 燈 | 灯 | 灯 | 燈 | 등잔 등; ⽕-총16획; [dēng] 등잔, 등, 등불, (佛)부처의 가르침 【명사】 불을 켜서 밝게 하는 기구. ∼을 달다 ∼을 켜다. |
763 | 靜 | 静 | 静 | 靜 | 고요할 정; ⾭-총16획; [jìng] 고요하다, 맑다, 단청(丹靑)이 정밀하다 |
764 | 憶 | 忆 | 憶 | 憶 | 생각할 억; ⼼-총16획; [yì] 생각하다, 생각, 기억, 추억, 우울해지다, 울적해지다 |
765 | 應 | 应 | 応 | 應 | 응할 응; ⼼-총17획; [yīng] 응하다, 받다, 거두어 가지다, 응당-하여야 하다 |
766 | 聲 | 声 | 声 | 聲 | 소리 성; ⽿-총17획; [shēng] 소리, 음향, 음성, 소리를 내다, 탄식하는 따위의 소리, 음악 |
767 | 講 | 讲 | 講 | 講 | 익힐 강; ⾔-총17획; [jiǎng] 익히다, 읽다, 독서하다, 풀이하다, 해석하다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① 예전에, 배운 글을 선생이나 시관(試官) 또는 웃어른 앞에서 욈. ② ‘강의(講義)’의 준말. ♣ 강(을) 바치다 【관용구】 배운 글을 선생·시관 또는 웃어른 앞에서 외어 올리다. ┈┈∘ 얼마나 공부가 늘었는지 강을 바쳐 보아라. ♣ 강(을) 받다 【관용구】 자기가 듣는 앞에서 글을 외어 바치게 하다. |
768 | 舊 | 旧 | 旧 | 舊 | 예 구; ⾅-총18획; [jiù] 예, 오래다(久), 오래 【접두사】 ‘전날의’·‘묵은’·‘낡은’ 따위의 뜻. ∼체제. ↔신―(新). |
769 | 鮮 | 鲜 | 鮮 | 鮮 | 고울 선; ⿂-총17획; [xiān,xiǎn] 곱다, 뚜렷하다, 깨끗하다 |
770 | 謝 | 谢 | 謝 | 謝 | 사례할 사; ⾔-총17획; [xiè] 사례하다, 사죄하다, 용서를 빌다, 물러나다, 사퇴하다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71 | 關 | 关 | 関 | 關 | 빗장 관; ⾨-총19획; [guān] 빗장, 기관(機關), 자동장치, 닫다, 잠그다 【명사】 전에, 국경이나 요지의 통로에 두어 드나드는 사람과 짐 등을 조사하던 곳. |
772 | 題 | 题 | 題 | 題 | 표제 제; ⾴-총18획; [tí] 표제(表題), 이마, 맨 앞머리 【명사】 ① ‘제목(題目)’의 준말. ② ‘제사(題詞)’의 준말. |
773 | 難 | 难 | 難 | 難 | 어려울 난; ⾫-총19획; [nán,nàn,nuó] 어렵다, 재앙, 근심, 구슬 이름, 힐난하다, 꾸짖다, 성하다, 타다 【접두사】 ‘어려운’의 뜻을 나타내는 말. ∼문제 ∼공사. |
774 | 醫 | 医 | 医 | 醫 | 의원 의; ⾣-총18획; [yī] 의원, 치료하다, 무당 |
775 | 藝 | 艺 | 芸 | 藝 | 심을 예; ⾋-총19획; [yì] 심다, 기예, 궁극 |
776 | 歸 | 归 | 帰 | 歸 | 돌아갈 귀; ⽌-총18획; [guī] 돌아가다, 돌아오다, 돌려보내다, 반환하다, 시집가다, 시집을 보내다 |
777 | 蟲 | 虫 | 虫 | 蟲 | 벌레 충; ⾍-총18획; [chóng] 벌레, 동물의 총칭, 구더기 【명사】 ① 벌레. ② ‘회충’의 준말. |
778 | 藥 | 药 | 薬 | 藥 | 약 약; ⾋-총19획; [yào] 약, 독(毒), 고치다, 치료하다 【명사】 ① 병이나 상처를 고치는 데 복용하거나 바르거나 주사하는 물질. ∼을 바르다. ② ‘화약’의 준말. 총에 ∼을 재다. ③ 유해 동식물을 없애는 데 쓰는 물질《농약·파리약·쥐약 등》. 진딧물 ∼을 치다. ④ 물건에 윤을 내기 위해 바르는 물질《구두약 따위》. ⑤ ‘술’·‘아편’ 등의 곁말. ♣ 약에 쓰려도 없다 【관용구】 아무리 애써 찾아도 조금도 없다. ♣ 약(을) 지르다 【관용구】 ㉠술을 빚은 뒤에 주정 발효를 돕는 약품을 넣다. ㉡물고기를 잡거나 유해 생물을 없애기 위하여 약품을 쓰다. ♣ 약(을) 팔다 【관용구】 〈속〉 이것저것 끌어대어 입담 좋게 이야기를 늘어놓다. |
779 | 禮 | 礼 | 礼 | 禮 | 예도 예{례}; ⽰-총18획; [lǐ] 예도, 예절, 경의를 표하다, 폐백 |
780 | 豐 | 丰 | 豊 | 豐 | 풍성할 풍{굽 놉은 그릇 례}; ⾖-총13획; [fēng] 풍성하다, 굽이 높은 그릇, 예도, 禮의 古字, 풍년, 豐의 俗字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81 | 識 | 识 | 識 | 識 | 알 식; ⾔-총19획; [shí,zhì] 알다, 판별하다, 인정하다, 자세히하다, 명확히하다, 서로 낯이 익다, 사귀다, 지혜, 아는 것, 지식 【명사】 ⦗불⦘ 사물을 인식하거나 이해하는 마음의 작용. |
782 | 證 | 证 | 証 | 證 | 증거 증; ⾔-총19획; [zhèng] 증거, 증명하다, 알리다, 고하다 【명사】 ① ‘증거1’의 준말. ② ‘증명서’의 준말. ∼을 내보이다 |
783 | 願 | 愿 | 願 | 願 | 원할 원; ⾴-총19획; [yuàn] 원하다, 바라다, 마음에 품다, 희망하다, 빌다, 기원하다, 청하다, 부탁하다, 소원, 소망, 원컨대 【명사】【~하다 → 타동사】 바람. 바라는 바. 소원. ∼을 풀다 죽은 사람의 ∼도 풀어 준다는데 산 사람의 ∼을 못 풀어 주겠는가. |
784 | 勸 | 劝 | 勧 | 勸 | 권할 권; ⼒-총20획; [quàn] 권하다, 권장하다, 권, 하도록 하는 말이나 짓, 즐기다, 좋아하다 【명사】 어떤 일을 하도록 부추김.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. ∼에 못 이겨 입후보하다 친구의 ∼으로 컴퓨터를 배웠다 [속담][권에 못 이겨 방립(方笠) 쓴다] 남이 권하는 말이면 무엇이나 잘 듣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. 권에 띄어 방립 산다. |
785 | 議 | 议 | 議 | 議 | 의논할 의; ⾔-총20획; [yì] 의논하다, 꾀하다, 문의하다, 평의(評議)하다, 계획을 세우다, 강론하다 |
786 | 嚴 | 严 | 厳 | 嚴 | 엄할 엄; ⼝-총20획; [yán] 엄하다, 급하다, 임박하다, 혹독하다 |
787 | 鐘 | 钟 | 鐘 | 鐘 | 종 종; ⾦-총20획; [zhōng] 종, 쇠북 【명사】 ① 시간을 알리거나 신호용으로, 치거나 울리어 소리를 내는 금속 기구《보통, 청동으로 속이 비게 만들고, 아래는 퍼지고 위는 조금 좁음》. ∼을 치다 ∼이 울리다. ② 국악에서, 놋쇠로 만든 타악기의 하나. |
788 | 競 | 竞 | 競 | 競 | 겨룰 경; ⽴-총20획; [jìng] 겨루다, 나아가다, 향하여 가다 |
789 | 權 | 权 | 権 | 權 | 저울추 권; ⽊-총22획; [quán] 저울추, 저울, 저울질하다, 경중, 대소를 분별하다 【접미사】 일부 명사 뒤에 붙어, 그 명사에 따르는 권리나 자격을 나타내는 말. 입법∼ 참정∼. |
790 | 鐵 | 铁 | 鉄 | 鐵 | 쇠 철; ⾦-총21획; [tiě] 쇠, 검다, 검은 빛, 단단하다, 견고하다 【명사】 ① 금속 원소의 하나. 순수한 것은 백색 광택을 띰. 연성과 전성이 풍부하고, 강자성(強磁性)이며 습기가 있는 곳에서는 녹슬기 쉬움. 염소·황·인과는 적극적으로 작용하나 질소와는 직접 화합하지 않음. 용도가 넓음. |
番號 | 繁體字 | 中國 | 日本 | 韓國 | 字典 |
791 | 續 | 续 | 続 | 續 | 이을 속; ⽷-총21획; [xù] 잇다, 이어지다, 뒤를 잇다 【접두사】 ‘그 전 것에 잇대어 된’의 뜻. ∼미인곡(續美人曲). |
792 | 歡 | 欢 | 歓 | 歡 | 기뻐할 환; ⽋-총22획; [huān] 기뻐하다, 기쁘게 하다, 기쁨, 즐거움 |
793 | 露 | 露 | 露 | 露 | 이슬 로{노}; ⾬-총20획; [lù,lòu] 이슬, 적시다, 젖다, 은혜를 베풀다 |
794 | 聽 | 听 | 聴 | 聽 | 들을 청; ⽿-총22획; [tīng] 듣다, 자세히 듣다, 기다리다, 받다, 받아들이다 |
795 | 讀 | 读 | 読 | 讀 | 읽을 독; ⾔-총22획; [dú,dòu] 읽다, 소리를 내어 글을 읽다, 문장 구절의 뜻을 해독하다, 풀다, 설명하다, 읽기, 읽는 법 |
796 | 驚 | 惊 | 驚 | 驚 | 놀랄 경; ⾺-총23획; [jīng] 놀라다, 겁내다, 두려워하다, 동요하다, 어지러워지다, 떠들다, 일어서다, 놀래다, 놀라게 하다, 빠르다, 신속하다 |
797 | 體 | 体 | 体 | 體 | 몸 체; ⾻-총23획; [tǐ,tī] 몸, 신체(身體), 수족, 모양, 형상, 용모, 격식, 점괘(占卦) 【명사】 문장·글씨·그림 등의 본보기와 방식. 글씨의 ∼가 예쁘다. |
798 | 變 | 变 | 変 | 變 | 변할 변; ⾔-총23획; [biàn] 변하다, 달라지다, 변경되다, 변해가다, 움직이다, 화(化)하다, 수척해지다, 고치다, 변경하다, 바꾸다, 움직이게 하다, 이동시키다, 전변(轉變), 전화(轉化) 【명사】 ① 갑자기 생긴 재앙이나 괴이한 일. ∼이 생기다 ∼을 당하다 세상에 이런 ∼이 생기다니. ② (주로 ‘변으로’의 꼴로 쓰여) 별난 데가 있음. 올여름은 ∼으로 기온이 높았다. |
799 | 觀 | 观 | 観 | 觀 | 볼 관; ⾒-총25획; [guān,guàn] 보다, 자세히 보다, 보이다, 나타내 보이다, 드러내다, 명시하다 【명사】 도교의 사원. |
800 | 讓 | 让 | 譲 | 讓 | 사양할 양; ⾔-총24획; [ràng] 사양하다, 양보하다, 겸손해하다, 넘겨주다, 어기다, 좇지 아니하다, 물러나다, 사양, 양보, 꾸짖다 |
'漢字, Unic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구글에서 본고딕 출시!!! (0) | 2014.07.20 |
---|---|
中日韓の共通常用漢字800字、選定草案が発表 (第8回中日韓賢人会議) (0) | 2013.12.25 |
우분투 리눅스에서 한자 전용 입력 (한자어) 모드를 쓰는 방법 (0) | 2013.08.21 |
에스페란토, 한글, 한자가 모두 잘 표시되는 글꼴(폰트) 모음 (0) | 2012.11.28 |
우분투 리눅스에서 한자(漢字) 입력하는 영상 - 한자키가 필요 없어요. (0) | 2012.04.03 |